Ever since I can remember, African elephants have filled me with a sense of complete awe. 

제가 기억하는 한, 아프리카 코끼리들은 저에게 경외 그 자체였습니다.



They are the largest land mammal alive today on planet Earth, weighing up to seven tons, standing three and a half meters tall at the shoulder. 

그들은 오늘날 지구에 사는 포유류 중 가장 큰 포유류며, 무게는 7톤 정도 선 키는 어깨까지 3.5m정도입니다. 



They can eat up to 400 kilos of food in a day, 

하루에 400kg정도의 먹이를 먹고



and they disperse vital plant seeds across thousands of kilometers during their 50-to-60-year life span. 

수천 킬로미터의 땅까지 곳곳에 씨를 흩뿌려 놓습니다. 50에서 60년 동안 사는 동안에요. 



Central to their compassionate and complex society are the matriarchs. 

주로 동정심이 많고 복잡한 모계사회입니다. 



These female, strong leaders nurture the young and navigate 

무리 중에 강한 암컷 우두머리가 어린 코끼리들을 키우고 이들의 길을 안내하면서 



their way through the challenges of the African bush to find food, water and security. 

아프리카 초원의 길을 헤치며 먹을 것과 물을 찾고 안전을 확보합니다.



Their societies are so complex, we're yet to still fully tease apart how they communicate, 

그들의 사회는 매우 복잡해서 우리는 아직도 부분 밖에 알지 못하고 그들이 어떻게 소통하고 



how they verbalize to each other, how their dialects work. 

소통 수단은 무엇이며 방언은 어떤지 모릅니다. 



And we don't really understand yet how they navigate the landscape, remembering the safest places to cross a river. 

또한 아직도 밝혀내지 못한 건 그들이 어떻게 땅을 찾고 그 장소를 기억해 강을 건너는지입니다. 



I'm pretty sure that like me, most of you in this room have a similar positive emotional response to these most magnificent of all animals. 

저는 저처럼, 이 곳에 앉아있는 여러분 대부분이 이 놀랍고도 매력적인 동물에 긍정적인 감정을 갖고 있을 거라 확신합니다. 



It's really hard not to have watched a documentary, learned about their intelligence or,

다큐멘터리를 보지 않는 이상 이 동물에 대해 알기가 쉽지 않고



if you've been lucky, to see them for yourselves on safari in the wild. 

아니면 혹시 운이 좋아 야생에서 이 동물을 발견할 기회가 있겠죠. 



But I wonder how many of you have been truly, utterly terrified by them. 

하지만 여러분 몇 분이나 정말로 코끼리를 무서워할지 궁금하군요. 



I was lucky to be brought up in Southern Africa by two teacher parents 

운이 좋게도 전 교사인 두 부모님 덕분에 남아프리카에서 자랐습니다. 



who had long holidays but very short budgets. 

굉장히 부족한 예산으로 긴 휴가를 갖습니다. 



And so we used to take our old Ford Cortina Estate, and with my sister, 

그래서 우리는 올드 포드 코티나 에스테이트를 타고 다니며 언니와 함께, 



we'd pile in the back, take our tents and go camping in the different game reserves in Southern Africa. 

뒤에 짐을 쌓아놓고 텐트를 가져와 남아프리카의 다양한 사냥 금지 구역에서 캠핑을 했습니다.



It really was heaven for a young, budding zoologist like myself. 

저처럼 미래의 동물학자를 꿈꾸는 어린이에게는 천국 같았죠. 



But I remember even at that young age that I found the tall electric fences blocking off the game parks quite divisive. 

하지만 그렇게 어린 나이에도 큰 전기 울타리가 사냥 금지 구역 곳곳을 막아 분리해 놨다는 사실이 기억납니다. 



Sure, they were keeping elephants out of the communities, 

물론, 코키리들이 자신들의 구역에서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함도 있겠지만



but they also kept communities out of their wild spaces. 

자신들의 야생 보호구역을 보호하기 위해서였을 겁니다.



It really was quite a challenge to me at that young age. 

어린 저에게도 그건 문제처럼 보였습니다.



It was only when I moved to Kenya at the age of 14, 

제 나이 고작 14살 케냐에 갔을 때였죠. 



when I got to connect to the vast, wild open spaces of East Africa. 

거기서 저는 동아프리카의 넓고 탁 트인 야생을 마주했습니다. 



And it is here now that I feel truly, instinctively, really at home. 

거기에서 정말로 무의식적으로 집에 온 느낌을 받았습니다. 



I spent many, many happy years studying elephant behavior in a tent, in Samburu National Reserve, 

텐트에서 코끼리 행동을 연구하며 정말로 행복한 몇년을 보냈습니다. 삼부루 국립 보호구역에서




under the guideship of professor Fritz Vollrath and Iain Douglas-Hamilton, 

프리츠 보릴턴과 더글라스 해밀턴 교수님의 지도 아래, 



studying for my PhD and understanding the complexities of elephant societies. 

박사 논문을 쓰면서 코끼리 사회의 복잡성을 이해했죠. 



But now, in my role as head of the human-elephant coexistence program for Save the Elephants, 

하지만 지금은 코끼리를 살리기 위한 인간과 코끼리의 공생 프로그램의 수장으로서 



we're seeing so much change happening so fast 

너무나도 빠르게 많은 변화가 있었고



that it's urged a change in some of our research programs. 

우리의 연구 프로그램에도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죠. 



No longer can we just sit and understand elephant societies or study just how to stop the ivory trade, which is horrific and still ongoing. 

단순히 앉아서 코끼리의 사회를 이해하는 것 혹은 어떻게 하면 아직까지도 진행되고 있는 이 끔찍한 상아 무역을 멈출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연구하는 게 아니라요.



We're having to change our resources more and more to look at this rising problem of human-elephant conflict, 

우리는 연구 주제를 계속해서 바꿔야만 했습니다. 인간과 코끼리사이의 충돌에서 일어나는 문제점 중 



as people and pachyderms compete for space and resources. 

이 두 집단이 공간과 자원을 두고 경쟁하는 문제를 살펴봐야 했습니다. 



It was only as recently as the 1970s that we used to have 1.2 million elephants roaming across Africa. 

그렇게 오래 된 과거도 아닌 1970년대에는 1천 2백만 마리의 코끼리가 아프리카에 돌아다녔습니다. 



Today, we're edging closer to only having 400,000 left. 

오늘날에는 고작 40만 마리가 남았습니다. 



And at the same time period, the human population has quadrupled, and the land is being fragmented at such a pace that it's really hard to keep up with. 

그와 동시에 인구수는 네 배가 되었고 땅이 분배되는 속도는 그 속도를 따라잡지 못했습니다. 



Too often, these migrating elephants end up stuck inside communities, 

너무나도 자주 이런 떠돌아다니는 코끼리들이 인간사회에 침투해



looking for food and water but ending up breaking open water tanks, 

식량과 물을 찾아다니다 결국에는 물탱크를 부수고



breaking pipes and, of course, breaking into food stores for food. 

수도관을 부수고 당연히 먹이를 찾기 위해 식료품점을 부수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It's really a huge challenge. 

이건 정말 심각한 문제입니다. 



Can you imagine the terror of an elephant literally ripping the roof off your mud hut in the middle of the night

한 번 코끼리가 말그대로 정말로 움막 지붕을 침투해서 한밤중에 코로 어둠이 가득한 곳에서 먹이를 찾다가 



and having to hold your children away as the trunk reaches in, looking for food in the pitch dark? 

여러분의 아이를 데려갈 수 있다면 엄청나게 무섭겠죠? 



These elephants also trample and eat crops, and this is traditionally eroding away that tolerance that people used to have for elephants. 

이런 코끼리들은 작물을 짓밟고 먹고 이 모습은 보통 코끼리가 지나간 후의 모습이며 사람들은 코끼리의 이런 행동들을 감내하죠. 



And sadly, we're losing these animals by the day and, in some countries, by the hour -- 

슬프게도, 우리는 코끼리를 하루하루 잃어가고 있으며 어떤 나라에서는, 시간마다 잃어가고 있습니다. 



to not only ivory poaching but this rapid rise in human-elephant conflict as they compete for space and resources. 

상아 사냥 때문만이 아닌 인간과 코끼리사이의 충돌이 급격하게 증가해 공간과 자원을 두고 경쟁하기 때문이죠. 



It's a massive challenge. 

이건 엄청난 문제입니다. 



I mean, how do you keep seven-ton pachyderms, 

그러니까 어떻게 600kg 넘고



that often come in groups of 10 or 12, out of these very small rural farms when you're dealing 

10에서 12마리씩 몰려다니는 이 동물들을 이렇게 작은 농가에서 어떻게 키우며 사람들에게 처리하라고 했을 때



with people who are living on the very edge of poverty? 

가난에 허덕이는 사람들 중 누가 하겠어요?



They don't have big budgets. 

그들에게는 돈이 많이 없습니다.



How do you resolve this issue?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Well, one issue is, you can just start to build electric fences, and this is happening across Africa, 

첫 번째 해결책은 그냥 전기 울타리를 지으면 됩니다. 아프리카 전역에서 시행되고 있고,



we're seeing this more and more. 

앞으로 더 많이 보게 될겁니다. 



But they are dividing up areas and blocking corridors. 

하지만 구역을 나누고 통로를 막는 것은



And I'm telling you, these elephants don't think much of it either, 

코끼리들도 생각 못한 건 아니라서



particularly if they're blocking a really special water hole where they need water, or if there's a very attractive female on the other side. 

특히 코끼리들이필요한 물 웅덩이를 막아 놓으면 반대편에서 굉장히 강한 암컷이 다가옵니다. 



It doesn't take long to knock down one of these poles. 

이런 벽을 무너뜨리는데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죠.



And as soon as there's a gap in the fence, they go back, talk to their mates and suddenly they're all through, 

울타리 사이에 틈이 생기자마자 돌아가서 짝에게 얘기해 주면 갑자기 전체가 몰려오게 됩니다.



and now you have 12 elephants on the community side of the fence. 

여러분은 지금 코끼리 12마리가 울타리를 넘는 모습을 보고 있습니다. 



And now you're really in trouble. 

정말로 문제가 생긴 것이죠. 



People keep trying to come up with new designs for electric fences. 

사람들은 새로운 전기 울타리를 고안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Well, these elephants don't think much of those either. 

흠. 코끼리들이 과연 거기까지 생각 못할까 싶네요. 



So rather than having these hard-line, straight, electric, really divisive migratory-blocking fences, 

단단하고 곧은 전기줄로 이동을 막는 울타리를 치는 것보다



there must be other ways to look at this challenge. 

이 문제를 해결할 분명 다른 방법이 있을 겁니다. 



I'm much more interested in holistic and natural methods to keep elephants and people apart where necessary. 

전 인간과 코끼리가 필요할 때 떨어질 수 있는 전체적이고 자연적인 방법에 훨씬 더 관심이 많습니다.



Simply talking to people, talking to rural pastoralists in northern Kenya who have so much knowledge about the bush, 

사람들이랑 그냥 얘기해 보면, 북부 케냐에서 목축을 하는 사람들이랑 얘기를 해 보니 덤불에 대해서 훨씬 더 많이 알고 있어



we discovered this story that they had that elephants would not feed on trees that had wild beehives in them. 

코끼리가 야생 벌들이 먹는 나무는 먹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죠. 



Now this was an interesting story. 

이건 꽤 흥미로운 사실입니다. 



As the elephants were foraging on the tree, they would break branches and perhaps break open a wild beehive. 

코끼리들이 나무에서 먹이를 찾으면 가지를 부러트려 벌집을 건드리는 꼴이 되니까요. 



And those bees would fly out of their natural nests and sting the elephants. 

그러면 자기들의 둥지 안에 있던 벌들이 튀어나와 코끼리를 쏘는 겁니다. 



Now if the elephants got stung, perhaps they would remember that this tree was dangerous 

그래서 코끼리가 벌에 쏘이면 아마 이 나무는 위험하다고 생각해



and they wouldn't come back to that same site. 

다시는 같은 장소로 돌아오지 않겠죠. 



It seems impossible that they could be stung through their thick skin -- 

두꺼운 피부를 뚫고 쏘는 게 불가능해 보입니다. 



elephant skin is around two centimeters thick. 

코끼리의 피부 두께는 2cm입니다. 



But it seems that they sting them around the watery areas, 

하지만 벌들은 코끼리의 몸 중에서 수분이 많은 곳을 공략합니다.



around the eyes, behind the ears, in the mouth, up the trunk. 

눈 주위, 귀 뒤, 입 안, 몸통 위, 



You can imagine they would remember that very quickly. 

그렇게 쏘이면 여러분들도 기억할 겁니다. 



And it's not really one sting that they're scared of. 

코끼리들이 무서워하는 건 한 번 쏘이는 게 아닙니다.



African bees have a phenomenal ability: 

아프리카 벌들에겐 놀라운 능력이 있습니다. 



when they sting in one site, they release a pheromone that triggers the rest of the bees to come and sting the same site. 

한 곳을 쏘면, 페로몬을 발산해 나머지 벌들을 불러모아 같은 곳을 쏘게 합니다. 



So it's not one beesting that they're scared of -- 

한 마리면 코끼리가 별로 무서워하지 않았겠죠. 



it's perhaps thousands of beestings, coming to sting in the same area -- that they're afraid of. 

아마 수천 마리의 벌들이 같은 곳으로 곧장 날아오니 무서워하는 것이겠죠. 



And of course, a good matriarch would always keep her young away from such a threat. 

당연히, 뛰어난 암컷은 어린 아이들을 이런 위협에서 멀리 하려 하겠죠. 



Young calves have much thinner skins, 

어린 코끼리들은 피부가 훨씬 더 얇아



and it's potential that they could be stung through their thinner skins. 

벌들이 얇은 피부를 뚫고 쏠 가능성이 훨씬 더 높습니다. 



So for my PhD, I had this unusual challenge of trying to work out how African elephants and African bees would interact, 

제 박사 논문에서는 이 평범하지 않은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고 아프리카 코끼리들과 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when the theory was that they wouldn't interact at all. 

상호작용을 전혀 하지 않을 때의 일을 가설로 세웠죠. 



How was I going to study this? 

어떻게 연구했냐고요? 



Well, what I did was I took the sound of disturbed African honey bees, 

저는 아프리카 벌들의 소리를 모아서 



and I played it back to elephants resting under trees through a wireless speaker system, 

코끼리들이 쉬고 있는 나무 뒤에 틀어놨습니다. 무선 스피커를 이용해서요. 



so I could understand how they would react as if there were wild bees in the area. 

그래서 전 코끼리들이 뒤에 벌이 있으면 어떻게 행동하는지 알게 됐죠. 



And it turns out that they react quite dramatically to the sound of African wild bees. 

벌 소리에 반응이 꽤 격했습니다. 



Here we are, playing the bee sounds back to this amazing group of elephants. 

자 한 번 이 코끼리들 뒤에 벌들의 소리를 틀어봅시다.



You can see the ears going up, going out, 

귀가 올라가고, 퍼덕거리는 게 보이실 겁니다. 



they're turning their heads from side to side, one elephant is flicking her trunk to try and smell. 

옆으로 고개를 돌리며 한 코끼리는 몸을 빠르게 움직이며 냄새를 맡으려 하고 있군요.



There's another elephant that kicks one of calves on the ground to tell it to get up as if there is a threat. 

또 다른 코끼리는 땅바닥에 엎어져 있는 코끼리를 발로 차 깨우며 위협이 다가오고 있다고 알립니다.



And one elephant triggers a retreat, and soon the whole family of elephants are running after her across the savannah in a cloud of dust. 

한 코끼리가 후퇴의 조짐을 보이자 무리 전체가 그녀를 따라갑니다. 먼지를 휘날리며 대초원으로요. 



Now I've done this experiment many, many times, and the elephants almost always flee. 

이 실험을 수없이 많이 했는데 코키리들이 항상 달아났어요.



Not only do they run away, but they dust themselves as they're running, as if to knock bees out of the air. 

달아나는 것만이 아니라 달리면서 먼지를 뒤집어 썼죠. 혹시라도 날아다니는 벌들이 있을 까봐요. 



And we placed infrasonic microphones around the elephants as we did these experiments. 

우리는 실험을 할 때 초저주파 마이크를 코끼리 주위에 놓았습니다.



And it turns out they're communicating to each other in infrasonic rumbles to warn each other of the threat of bees and to stay away from the area. 

그래서 그들이 서로에게 벌들의 위협을 경고해 줄 때 낮게 우르르 소리를 내어 이 지역에서 멀리 떨어지라고 알려준다는 사실을 알게 됐죠. 



So these behavioral discoveries really helped us understand how elephants would react should they hear or see bee sounds. 

이러한 행동의 발견은 코끼리가 벌 소리가 나면 어떻게 행동하는지 이해하는데 정말로 도움이 됐습니다. 



This led me to invent a novel design for a beehive fence, 

벌집을 이용한 새로운 울타리를 고안했는데 



which we are now building around small, one-to-two-acre farms on the most vulnerable frontline areas 

1에서 2에이커 정도 되는 작은 농장을 만들어 인간과 코끼리들이 공간을 두고 경쟁하는 전선 중에 



of Africa where humans and elephants are competing for space. 

아프리카에서 가장 무해한 전선을 만들었습니다. 



These beehive fences are very, very simple. 

이 벌 울타리는 굉장히 간단합니다.



We use 12 beehives and 12 dummy hives to protect one acre of farmland. 

12개의 벌집과 12개의 가짜 벌집을 1에이커 정도 되는 농지를 보호하게 합니다. 



Now a dummy hive is simply a piece of plywood which we cut into squares, paint yellow and hang in between the hives. 

가짜 벌집은 합판으로 간단하게 만드는데 네모로 자른 다음 노란색으로 칠해 벌집 사이에 걸어놓으면 됩니다. 



We're basically tricking the elephants into thinking there are more beehives than there really are. 

기본적으로 코끼리들에게 실제로 벌집이 있는 것보다 더 많이 있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겁니다. 



And of course, it literally halves the cost of the fence. 

당연히 실제 울타리 비용보다 2배 더 저렴합니다. 



So there's a hive and a dummy hive and a beehive and now dummy hive, every 10 meters around the outside boundary. 

그러니까 벌집 하나 가짜 벌집 하나 벌집 하나 가짜 벌집 하나, 경계 10m마다 이렇게 쳐 놓는 것이죠.



They're held up by posts with a shade roof to protect the bees, and they're interconnected with a simple piece of plain wire, 

푯대를 세워서 벌을 보호하는 지붕을 만든 다음 간단한 줄로 엮습니다. 



which goes all the way around, connecting the hives. 

벌집이 연결 된 푯대가 곳곳에 세워지는 것이죠. 



So if an elephant tries to enter the farm, he will avoid the beehive at all cost, 

그래서 혹시라도 코끼리가 농장에 들어오게 되면 어떻게 해서든지 벌집을 피하려 하겠지만



but he might try and push through between the hive and the dummy hive, 

피하려고 하면 할수록 진짜 벌집과 가짜 벌집 사이에 끼어서 



causing all the beehives to swing as the wire hits his chest. 

벌들을 자극해 가슴에 쏘이게 되겠죠. 



And as we know from our research work, this will cause the elephants to flee and run away -- 

저희 연구 결과를 보셨듯이 이 방법은 코끼리들을 도망가게 합니다. 



and hopefully remember not to come back to that risky area. 

그리고 다행스럽게도 이걸 기억해 위험지역에는 오지 않는 것이죠. 



The bees swarm out of the hive, and they really scare the elephants away. 

벌집에서 나온 벌들은 정말로 코끼리를 겁줘 쫓아냅니다. 



These beehive fences we're studying using things like camera traps to help us understand how elephants are responding to them at night time, 

벌집 울타리에 카메라 덫을 놓아서 밤에는 코끼리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살펴봤습니다. 



which is when most of the crop raiding occurs. 

작물이 가장 많이 습격당하는 시간에요. 



And we found in our study farms that we're keeping up to 80 percent of elephants outside of the boundaries of these farms. 

우리가 발견한 사실은 연구 농장에서 80%의 코끼리들이 농장 경계 바깥으로 물러났다는 것이었습니다.



And the bees and the beehive fences are also pollinating the fields. 

벌과 벌집 울타리는 그 밭에서 수분을 하기도 합니다. 



So we're having a great reduction both in elephant crop raids and a boost in yield through the pollination services 

그러니까 코끼리가 작물을 습격하는 비율을 급격하게 낮추는 것과 동시에 수분을 통해서 그 땅의 수확량을 늘리는 것이죠. 



that the bees are giving to the crops themselves. 

벌들이 작물에 꽃가루를 옮기면서요. 



The strength of the beehive fences is really important -- the colonies have to be very strong. 

벌집 울타리의 힘은 정말로 중요합니다. 벌집은 굉장히 강력합니다. 



So we're trying to help farmers grow pollinator-friendly crops to boost their hives, 

그래서 우리는 농부들이 속씨 식물 작물을 키우게 해 벌집을 더 많이 만들고



boost the strength of their bees and, of course, produce the most amazing honey. 

벌들이 힘을 더 가질 수 있도록 해 아주 맛있는 꿀을 생산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This honey is so valuable as an extra livelihood income for the farmers. 

이 꿀은 매우 가치가 있어서 농부들에게 부가적인 수입도 가져다 줍니다. 



It's a healthy alternative to sugar, and in our community, it's a very valuable present to give a mother-in-law, 

건강한 설탕 대체품이자 저희들에게는 장모님에게 줄 아주 좋은 선물이죠.



which makes it almost priceless. 

정말 귀한 선물이죠. 



We now bottle up this honey, and we've called this wild beautiful honey Elephant-Friendly Honey. 

이제 꿀을 병에 담아 아름다운 야생의 이 꿀을 코끼리 친화적인 꿀이라고 하죠.



It is a fun name, but it also attracts attention to our project and helps people understand what we're trying to do to save elephants. 

웃긴 이름이지만 저희 프로젝트에 관심을 갖게 하고 사람들에게 코끼리를 살리려고 우리가 무엇을 하려는지 이해시킬 수 있습니다. 



We're working now with so many women 

우리는 수많은 여성들과 일하고 있습니다. 



in over 60 human-elephant conflict sites in 19 countries in Africa and Asia 

코끼리와 사람 사이의 충돌이 일어나는 60곳이 넘는 곳에서 아프리카와 아시아 19개국에서 



to build these beehive fences, working very, very closely with so many farmers 

벌집 울타리를 지어주고 많은 농부들과 굉장히 가깝게 일하면서도



but particularly now with women farmers, helping them to live better in harmony with elephants. 

특히 여성 농부들과 일하며 코끼리와 조화롭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One of the things we're trying to do is develop a toolbox of options to live in better harmony with these massive pachyderms. 

저희가 개발하려고 하는 도구들 중에 이런 거대한 포유류와 함께 조화롭게 살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있습니다.



One of those issues is to try and get farmers,

이러한 문제들 중 하나는 농부들에게 



and women in particular, to think different about what they're planting inside their farms as well. 

특히 여성들에게 농장 안에 심는 작물에 대한 생각을 전환해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So we're looking at planting crops that elephants don't particularly want to eat, like chillies, ginger, Moringa, sunflowers. 

그래서 저희는 특히 코끼리들이 싫어 할만한 작물들을 찾아다녔는데 예를 들면 고추, 생강, 모링가, 해바라기 같은 것들요. 



And of course, the bees and the beehive fences love these crops too, 

물론 벌들은 이런 작물들을 좋아합니다. 



because they have beautiful flowers. 

왜냐하면 꽃이 아름답거든요. 



One of these plants is a spiky plant called sisal -- you may know this here as jute. 

이런 작물들 중에 사이잘이라는 선인장이 있습니다. 황마라고 알고 계실 텐데요. 



And this amazing plant can be stripped down and turned into a weaving product. 

이 어마어마한 식물은 껍질을 벗겨내 천으로 짠 제품으로 변합니다. 



We're working with these amazing women now who live daily with the challenges of elephants to use 

지금 같이 일하고 있는 여성들인데요. 매일 코끼리 때문에 문제가 생겨 



this plant to weave into baskets to provide an alternative income for them. 

이 식물을 이용해서 바구니를 만들어 대체 수입원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We've just started construction only three weeks ago on a women's enterprise center 

이 일을 불과 3주 전부터 여성 인력 개발 센터에서 시작했는데



where we're going to be working with these women not only as expert beekeepers but as amazing basket weavers; 

우리와 함께 일하는 이 여성들은 단순히 전문적인 양봉업자가 아니라 뛰어난 바구니 제조업자였습니다. 



they're going to be processing chili oils, sunflower oils, making lip balms and honey, 

그들은 고추 기름, 해바라기유, 립밤과 꿀을 생산했습니다. 



and we're somewhere on our way to helping these participating farmers live 

그리고 우리는 이렇게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농장들이 환경 친화적인 제품들을 생산하고



with better eco-generating projects that live and work better with living with elephants. 

삶이 더 나아지고 일도 더 나아져서 코끼리와 살 수 있게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So whether it's matriarchs or mothers or researchers like myself, 

모계사회든 엄마든 혹은 저처럼 연구자들이든



I do see more women coming to the forefront now to think differently and more boldly about the challenges that we face. 

전 더 많은 여성들이 앞으로 나와 생각을 다르게 해서 우리가 마주한 문제들을 대담하게 해결하는 걸 봤습니다.



With more innovation, and perhaps with some more empathy towards each other, 

좀 더 혁신을 만들고 서로 좀 더 공감한다면



I do believe we can move from a state of conflict with elephants to true coexistence. 

코끼리와 계속 충돌이 일어나는 것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진정한 공생을 이룰 수 있다고 믿습니다. 



Thank you. 

감사합니다. 



https://www.ted.com/talks/lucy_king_how_bees_can_keep_the_peace_between_elephants_and_humans/transcript?language=ko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