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title: "Queerer than we can suppose: the strangeness of science."
제 발표의 제목은 "상상을 초월하게 기괴한: 과학의 생소함" 입니다.
"Queerer than we can suppose" comes from J.B.S. Haldane, the famous biologist, who said,
"상상을 초월하게 기괴한"이라는 표현은 홀데인이 쓴 것인데 이 유명한 생물학자가 말하기를
"Now, my own suspicion is that the universe is not only queerer than we suppose,
"그러니까 내 느낌에는 우주가 우리가 상상했던 것 보다 더 기괴한 정도가 아니라,
but queerer than we can suppose.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날 정도로 기괴하다는 거야.
I suspect that there are more things in heaven and earth than are dreamed of, or can be dreamed of, in any philosophy."
기존의 어떤 철학에서 꿈꿔온 또는 꿈꿀 수 있었던 우주보다 알 수 없는 무언가가 있는 것 같아요."
Richard Feynman compared the accuracy of quantum theories -- experimental predictions --
리처드 파인만은 양자 이론의 정확도를 즉, 실험으로 예측할 수 있는 수준을
to specifying the width of North America to within one hair's breadth of accuracy.
머리카락 하나의 굵기 이하의 오차범위로 북미 대륙의 폭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에 비유한 적이 있습니다.
This means that quantum theory has got to be, in some sense, true.
이는 양자 이론이 어떤 의미에서 진실이라는 뜻이죠.
Yet the assumptions that quantum theory needs to make in order to deliver those predictions are so mysterious that even Feynman himself was moved to remark,
하지만 그런 예측을 하기 위해서 양자 이론에서 내세우는 가정이 너무나도 수수께끼 같아서 파인만 조차도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
"If you think you understand quantum theory, you don't understand quantum theory."
양자 이론을 이해했다고 생각한다면, 양자 이론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It's so queer that physicists resort to one or another paradoxical interpretation of it.
너무나도 기괴해서 물리학자들은 이런 저런 모순된 해석에 기댈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David Deutsch, who's talking here, in "The Fabric of Reality," embraces the many-worlds interpretation of quantum theory,
오늘 강연한 데이빗 도이치는 그의 책 "실체의 구조"에서 양자 이론의 "다중 세계" 해석을 받아들입니다.
because the worst that you can say about it is that it's preposterously wasteful.
왜냐하면 최악의 경우에도 불합리하게 낭비적이라는 얘기를 듣는데 그치니까요.
It postulates a vast and rapidly growing number of universes existing in parallel,
이 이론의 가정은 여러 평행 우주가 공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mutually undetectable, except through the narrow porthole of quantum mechanical experiments.
그 수가 무척 빠르게 늘어나며 양자 역학 실험이라는 좁은 현창을 제외하고는 서로 탐지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And that's Richard Feynman.
리처드 파인만의 얘기가 그것입니다.
The biologist Lewis Wolpert believes that the queerness of modern physics is just an extreme example.
생물학자인 루이스 월퍼트는 현대 물리학의 기괴함은 극단적인 예시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Science, as opposed to technology, does violence to common sense.
기술과 달리 과학은 상식에 배치된다는
Every time you drink a glass of water, he points out,
물 한 잔을 마실 때마다, 그가 지적하기를,
the odds are that you will imbibe at least one molecule that passed through the bladder of Oliver Cromwell.
올리버 크롬웰의 방광을 빠져 나온 물 분자를 최소 하나 이상 마실 거라는 겁니다.
It's just elementary probability theory.
이건 그저 간단한 확률론이죠.
The number of molecules per glassful is hugely greater than the number of glassfuls, or bladdersful, in the world.
한 잔에 들어 있는 분자의 수는 전 세계의 모든 잔 또는 방광의 수보다는 훨씬 크고
And of course, there's nothing special about Cromwell or bladders --
당연히 크롬웰이건 방광이건 가릴 것 없는 거죠.
you have just breathed in a nitrogen atom that passed through the right lung of the third iguanodon to the left of the tall cycad tree.
여러분은 방금 키 큰 소철나무 왼편에 있던 이구아노돈(역자주:백악기 파충류)의 오른쪽 폐를 거쳐간 질소 원자를 들이 마시셨습니다.
"Queerer than we can suppose."
"상상을 초월하게 기괴하다."
What is it that makes us capable of supposing anything,
우리가 뭔가를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건 뭘까요?
and does this tell us anything about what we can suppose?
이걸 알면 우리가 뭘 상상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Are there things about the universe that will be forever beyond our grasp,
우주에 대한 것 중에서 우리는 영원히 못하겠지만
but not beyond the grasp of some superior intelligence?
어떤 우월한 존재는 이해할 수 있는 그런 것이 있을까요?
Are there things about the universe that are, in principle, ungraspable by any mind, however superior?
우주에 대한 것 중에서 아무리 우월하다고 하더라도 어떤 존재라도 원칙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있는 것일까요?
The history of science has been one long series of violent brainstorms,
과학의 역사는 격렬한 난상토론의 연속입니다.
as successive generations have come to terms with increasing levels of queerness in the universe.
회를 거듭할 수록 우주의 기괴한 정도는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We're now so used to the idea that the Earth spins, rather than the Sun moves across the sky,
요즘에는 지구가 돈다는 생각이 너무 익숙해서
it's hard for us to realize what a shattering mental revolution that must have been.
이것이 얼마나 엄청난 정신 혁명이었는지 깨닫기 어렵습니다.
After all, it seems obvious that the Earth is large and motionless, the Sun, small and mobile.
그럼에도 지구는 크고 움직이지 않으며 태양은 작고 움직이는 것이 더 명백하게 느껴집니다.
But it's worth recalling Wittgenstein's remark on the subject:
하지만 이에 대해 비트겐슈타인의 지적을 되새길 필요가 있습니다.
"Tell me," he asked a friend,
그가 친구에게 물었습니다.
"why do people always say it was natural for man to assume that the Sun went 'round the Earth, rather than that the Earth was rotating?"
"지구가 공전하는 것이 아니라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돈다고 가정하는 것이 자연스러웠을 것이라고들 말하는 이유가 뭐지?"
And his friend replied, "Well, obviously, because it just looks as though the Sun is going round the Earth."
친구가 대답하길 "글쎄,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도는 것처럼 보이니까 당연히 그러지 않았겠어?"
Wittgenstein replied, "Well, what would it have looked like if it had looked as though the Earth was rotating?"
비트겐슈타인은 이렇게 말했죠. "글쎄, 지구가 도는 것처럼 보였다면 어땠을까?"
Science has taught us, against all intuition, that apparently solid things,
과학이 가르쳐준 것은
like crystals and rocks, are really almost entirely composed of empty space.
수정이나 바위 같은 명백히 딱딱한 것도 실제로는 거의 텅 빈 공간으로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And the familiar illustration is the nucleus of an atom is a fly in the middle of a sports stadium,
흔히 묘사하기를 원자의 핵은 대운동장의 한 가운데 있는 파리 한 마리인 셈이고
and the next atom is in the next sports stadium.
바로 옆의 원자는 이웃 운동장이라는 것입니다.
So it would seem the hardest, solidest, densest rock is really almost entirely empty space,
가장 단단하고 가장 조밀한 바위가 사실은 거의 완전히 빈 공간일 뿐이고 너무 널리 퍼져있어서
broken only by tiny particles so widely spaced they shouldn't count.
도저히 셀 수 없는 작은 입자들만이 그 공간을 휘젓고 다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입니다.
Why, then, do rocks look and feel solid and hard and impenetrable?
그렇다면 왜 바위는 딱딱하고 뚫을 수 없는 것으로 보이고 느껴지는 걸까요?
As an evolutionary biologist, I'd say this:
진화생물학자로서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our brains have evolved to help us survive within the orders of magnitude, of size and speed which our bodies operate at.
우리의 몸이 동작하는 크기와 속도의 규모에 맞춰 생존하는데 도움이 되게 우리의 뇌가 진화했다는 것입니다.
We never evolved to navigate in the world of atoms.
우리는 원자의 세계를 돌아다니도록 진화한 것이 절대로 아니라는 것입니다.
If we had, our brains probably would perceive rocks as full of empty space.
만약 그렇게 진화했더라면 우리의 뇌는 바위를 그저 빈 공간으로 인지할 것입니다.
Rocks feel hard and impenetrable to our hands,
손으로 만지면 바위가 단단하고 뚫을 수 없다고 느껴지는 것은
precisely because objects like rocks and hands cannot penetrate each other.
바위나 손 같은 물체는 서로 뚫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It's therefore useful for our brains to construct notions like "solidity" and "impenetrability,"
따라서 우리의 뇌가 "딱딱함" 이나 "뚫을 수 없음"과 같은 개념을 갖는 것은
because such notions help us to navigate our bodies through the middle-sized world in which we have to navigate.
우리가 누비고 다녀야 할 중간 크기의 세계를 돌아다니는데 이들 개념이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Moving to the other end of the scale,
규모의 반대편 극단으로 가보자면
our ancestors never had to navigate through the cosmos at speeds close to the speed of light.
우리의 조상은 거의 광속으로 우주를 돌아다녀야 할 일이 결코 없었습니다.
If they had, our brains would be much better at understanding Einstein.
만약 그래야 했다면, 우리의 뇌는 훨씬 쉽게 아인쉬타인을 이해하겠지요.
I want to give the name "Middle World" to the medium-scaled environment in which we've evolved the ability to take act -- nothing to do with "Middle Earth" -- Middle World.
우리가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온 중간 크기의 환경에 "중간 세계"라는 이름을 붙이고자 합니다. 중간계랑은 상관없고요 중간 세계입니다.
We are evolved denizens of Middle World,
우리는 중간 세계에 서식하는 생물로 진화하였습니다.
and that limits what we are capable of imagining.
이러한 사실이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합니다.
We find it intuitively easy to grasp ideas like,
우리에게 친숙한 개념이라는 것은
when a rabbit moves at the sort of medium velocity at which rabbits and other Middle World objects move,
어떤 토끼가 중간 속도 즉 일반적인 물체가 움직이는 속도로 움직이다가
and hits another Middle World object like a rock, it knocks itself out.
다른 중간 세계의 물체 예컨대 어떤 바위에 부딪치면 뻗는다는 것입니다.
May I introduce Major General Albert Stubblebine III, commander of military intelligence in 1983.
앨버트 스터블바인 3세를 소개할까 합니다. 1983년에 육군 정보 사령관을 했던 사람입니다.
"...[He] stared at his wall in Arlington, Virginia, and decided to do it.
버지니아 알링턴의 자기 사무실 벽을 쳐다보고 있다가 그걸 하기로 결심했습니다.
As frightening as the prospect was, he was going into the next office.
가능할지 겁이 났지만 옆 사무실로 가기로 한 거죠.
He stood up and moved out from behind his desk.
일어서서 책상 뒤로 물러났습니다.
'What is the atom mostly made of?' he thought, 'Space.' He started walking.
원자가 대부분 무엇으로 되어 있다고? 그가 생각합니다. 공간이야. 걷기 시작했습니다.
'What am I mostly made of?
나는 대부분 무엇으로 되어 있지?
Atoms.' He quickened his pace, almost to a jog now.
원자. 속도를 높여서 이제 조깅하는 속도입니다.
'What is the wall mostly made of?'
벽은 대부분 무엇으로 되어 있지?
'Atoms!' All I have to do is merge the spaces.
원자. 그렇다면 그냥 공간과 공간을 합치기만 하면 되는 거잖아.
Then, General Stubblebine banged his nose hard on the wall of his office.
그리고는 스터블바인 장군은 자기 사무실 벽에 코를 심하게 박았습니다.
Stubblebine, who commanded 16,000 soldiers, was confounded by his continual failure to walk through the wall.
1만6천명의 부하를 지휘하는 스터블바인은 벽을 뚫고 걸어가는 것에 계속 실패하자 어리둥절했습니다.
He has no doubt that this ability will one day be a common tool in the military arsenal.
그는 언젠가 이 능력이 군에서 실용화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Who would screw around with an army that could do that?"
그걸 할 수 있는 군대가 있다면 누가 감히 집적대겠습니까?
That's from an article in Playboy, which I was reading the other day.
이 얘기는 제가 며칠 전에 읽던 플레이보이에 실린 기사입니다.
I have every reason to think it's true;
저는 이게 사실이라고 생각할 충분한 이유가 있습니다.
I was reading Playboy because I, myself, had an article in it.
제가 플레이보이를 읽는 이유는 제 글이 실렸기 때문이거든요.
Unaided human intuition, schooled in Middle World,
중간 세계에서 교육받은 인간의 직관만 가지고는
finds it hard to believe Galileo when he tells us a heavy object and a light object, air friction aside, would hit the ground at the same instant.
공기 저항만 없다면 무거운 물체나 가벼운 물체나 동시에 땅에 떨어진다고 갈릴레오가 말했을 때 이를 믿기는 힘듭니다.
And that's because in Middle World, air friction is always there.
왜냐하면 중간 세계에서는 공기 저항이 항상 있으니까요.
If we'd evolved in a vacuum, we would expect them to hit the ground simultaneously.
만약 우리가 진공에서 진화해왔다면, 당연히 땅에 동시에 떨어진다고 기대했겠죠.
If we were bacteria, constantly buffeted by thermal movements of molecules, it would be different.
만약 우리가 박테리아라서 열 에너지로 움직이는 분자들에게 계속 시달려야 한다면, 달랐겠죠.
But we Middle-Worlders are too big to notice Brownian motion.
하지만 우리 같은 중간 세계 생물들은 브라운 운동을 느끼기엔 너무 큽니다.
In the same way, our lives are dominated by gravity, but are almost oblivious to the force of surface tension.
마찬가지로, 우리의 삶은 중력의 지배를 받는 반면에 표면장력은 거의 잊고 지내게 됩니다.
A small insect would reverse these priorities.
작은 곤충에게는 이 둘의 중요성이 뒤집힙니다.
Steve Grand -- he's the one on the left, Douglas Adams is on the right.
스티브 그랜드 - 왼쪽에 있는 사람입니다. 더글러스 애덤스가 오른쪽에 있네요.
Steve Grand, in his book, "Creation: Life and How to Make It,"
스티브 그랜드는 그의 책 "창조: 생명과 그것을 만드는 법" 에서
is positively scathing about our preoccupation with matter itself.
우리가 물질에만 정신이 팔려있음을 살짝 비난합니다.
We have this tendency to think that only solid, material things are really things at all.
우리는 딱딱하고 형태를 가진 것만 진짜 물건이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Waves of electromagnetic fluctuation in a vacuum seem unreal.
진공에서 전자기파의 파동은 실체가 아닌 것으로 여깁니다.
Victorians thought the waves had to be waves in some material medium: the ether.
빅토리아 시대 사람들은 파동이 퍼져나가기 위해서는 어떤 물질이 매개체로 있어야만 한다고 생각했고 이를 에테르라고 했습니다.
But we find real matter comforting only because we've evolved to survive in Middle World, where matter is a useful fiction.
하지만 우리가 실체가 있는 물질을 편하게 느끼는 것은 물질이 유용한 얘기인 중간 세계에서 살아남도록 우리가 진화해왔기 때문일 뿐입니다.
A whirlpool, for Steve Grand, is a thing with just as much reality as a rock.
소용돌이가 스티브 그랜드에게는 바위와 마찬가지의 실체입니다.
In a desert plain in Tanzania, in the shadow of the volcano Ol Doinyo Lengai, there's a dune made of volcanic ash.
탄자니아의 사막에는 올 도뇨 렝가이 화산 기슭에 화산재로 된 모래 언덕이 있습니다.
The beautiful thing is that it moves bodily.
아름다운 점은 그것이 통째로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It's what's technically known as a "barchan,"
전문용어로는 바르한(역자주:초승달 모양의 모래 언덕)이라고 하는데,
and the entire dune walks across the desert in a westerly direction at a speed of about 17 meters per year.
모래 언덕 전체가 사막을 가로질러 서쪽으로 이동하고 그 속도는 대략 일년에 17미터 정도입니다.
It retains its crescent shape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horns.
초승달 모양을 유지한 채 뾰족한 끝쪽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What happens is that the wind blows the sand up the shallow slope on the other side,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은 바람이 모래를 불어서 얕은 경사 너머 반대편으로 보내는 것이죠.
and then, as each sand grain hits the top of the ridge,
그리고, 모래 알갱이가 등성이의 꼭대기 부분을 때립니다.
it cascades down on the inside of the crescent, and so the whole horn-shaped dune moves.
그럼 그 부분이 초승달의 안쪽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그래서 뾰족한 모래 언덕 전체가 움직이게 됩니다.
Steve Grand points out that you and I are, ourselves, more like a wave than a permanent thing.
스티그 그랜드는 여러분이나 저, 우리들 스스로가 불변의 물질이라기보다는 파도와 같다고 지적하였습니다.
He invites us, the reader, to think of an experience from your childhood, something you remember clearly,
그는 우리 독자들에게 이렇게 권유합니다. "어린 시절의 경험을 떠올려보라. 어떤 것은 당신이 또렷이 기억하고 있을 것이고
something you can see, feel, maybe even smell, as if you were really there.
또 어떤 것은 당신이 실제로 거기에 있는 것처럼 보고 느끼고 심지어는 냄새조차 맡을 수 있을 것이다.
After all, you really were there at the time, weren't you?
결국 당신은 그 때 진짜로 거기에 있었다. 그렇지 않은가?
How else would you remember it?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기억하고 있겠는가?
But here is the bombshell: You weren't there.
그러나 여기에 깜짝 놀랄 사실이 있다. 당신은 그곳에 없었다.
Not a single atom that is in your body today was there when that event took place.
오늘 당신 몸에 있는 원자 중에서 단 하나도 그 일이 있었던 곳에 있지 않았다.
Matter flows from place to place and momentarily comes together to be you.
물질은 이 장소에서 저 장소로 흐르며 일시적으로 모여서 당신을 이룰 뿐이다.
Whatever you are, therefore, you are not the stuff of which you are made.
그러므로, 당신이 무엇이건 간에 당신은 당신을 이루고 있는 물질이 아니다.
If that doesn't make the hair stand up on the back of your neck, read it again until it does,
만약 이 얘기를 듣고도 뒷덜미의 털이 곧추서지 않았다면 그렇게 될 때까지 다시 읽어라.
because it is important.
왜냐하면 그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So "really" isn't a word that we should use with simple confidence.
따라서, "실제로"라는 단어는 단순한 확신을 갖고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If a neutrino had a brain, which it evolved in neutrino-sized ancestors,
만약 중성미자(역자주: 전자 정도의 무게를 가진 전기적으로 중성인 소립자)가 자기만한 조상으로부터 진화하여 두뇌를 갖게 되었다면,
it would say that rocks really do consist of empty space.
바위는 실제로 허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할 것입니다.
We have brains that evolved in medium-sized ancestors which couldn't walk through rocks.
우리가 가진 뇌는 바위를 뚫고 지나지 못하는 중간 크기의 조상으로부터 진화한 것입니다.
"Really," for an animal, is whatever its brain needs it to be in order to assist its survival.
어떤 동물에게 "실제로"라는 것은 무엇이건 그의 생존에 도움이 된다고 두뇌가 요구하는 그 무엇일 뿐입니다.
And because different species live in different worlds, there will be a discomforting variety of "reallys."
각 생물 종은 다른 세계에 살고 있으므로 불편하게도 다양한 "실제로"가 있을 것입니다.
What we see of the real world is not the unvarnished world,
우리가 아는 실제 세계라는 것은 덧칠하지 않은
but a model of the world, regulated and adjusted by sense data,
원래의 세계가 아니라 세계의 모델 중 하나일 뿐입니다.
but constructed so it's useful for dealing with the real world.
이 모델은 감지된 자료로 규정되고 조정되며 실제 세계를 다루는데 유용하도록 고안된 것입니다.
The nature of the model depends on the kind of animal we are.
이 모델의 특성은 우리가 어떤 동물이냐에 달려 있습니다.
A flying animal needs a different kind of model from a walking, climbing or swimming animal.
날아다니는 동물은 걷고, 기어오르고, 수영하는 동물과는 다른 종류의 모델을 필요로 합니다.
A monkey's brain must have software capable of simulating a three-dimensional world of branches and trunks.
원숭이의 두뇌는 아마도 틀림없이 가지와 줄기의 3차원 세계를 모의 실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갖고 있을 것입니다.
A mole's software for constructing models of its world will be customized for underground use.
두더지 세계의 모델을 만들어내는 소프트웨어는 지하에 안성맞춤으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A water strider's brain doesn't need 3D software at all,
소금쟁이의 두뇌는 아마 3차원 소프트웨어가 필요 없을 겁니다.
since it lives on the surface of the pond, in an Edwin Abbott flatland.
에드윈 애벗의 평지에 있는 연못의 수면에 살고 있기 때문이죠.
I've speculated that bats may see color with their ears.
제가 추측하기로는 박쥐는 귀로 색깔을 볼 지도 모릅니다.
The world model that a bat needs in order to navigate through three dimensions catching insects must be pretty similar to the world model that any flying bird -- a day-flying bird like a swallow -- needs to perform the same kind of tasks.
박쥐가 3차원의 세계를 돌아다니면서 벌레를 잡기 위해 필요한 세계 모델은 낮에 날아다니는 제비 같은 아무 새가 같은 종류의 일을 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세계 모델과 상당히 비슷할 것입니다.
The fact that the bat uses echoes in pitch darkness to input the current variables to its model,
그 모델에 현재 변수 값을 입력하기 위해서 박쥐가 칠흙같은 어둠 속에서 메아리를 활용하는
while the swallow uses light, is incidental.
반면에 제비가 빛을 활용한다는 것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Bats, I've even suggested, use perceived hues, such as red and blue, as labels, internal labels, for some useful aspect of echoes --
제가 추측하기로는 박쥐는 귀로 색깔을 볼 지도 모릅니다..
perhaps the acoustic texture of surfaces, furry or smooth and so on --
예컨대 털이 있는가, 매끄러운가 등 표면의 음향적 질감에 이름표를 붙여주는 것이죠.
in the same way as swallows or indeed, we, use those perceived hues -- redness and blueness, etc. -- to label long and short wavelengths of light.
이는 흡사 제비가 붉은, 푸른 등의 인지한 색상을 빛의 파장에 붙이는 것과 마찬가지인 셈입니다.
There's nothing inherent about red that makes it long wavelength.
원래부터 파장이 긴 것을 빨간 색이라고 할 이유는 없습니다.
The point is that the nature of the model is governed by how it is to be used,
요점은 모델의 특성이 그 모델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의해
rather than by the sensory modality involved. J.B.S.
좌우되지 활용한 감각 방식과는 상관없다는 것입니다.
Haldane himself had something to say about animals whose world is dominated by smell.
홀데인도 후각이 지배하는 세계를 가진 동물에 대하여 말한 적이 있습니다.
Dogs can distinguish two very similar fatty acids, extremely diluted: caprylic acid and caproic acid.
매우 유사한 지방산인 카프릴산과 카프로산을 극도로 희석하여도 개는 구분할 수 있습니다.
The only difference, you see, is that one has an extra pair of carbon atoms in the chain.
보시는 바와 같이 유일한 차이는 원자 연쇄에 탄소 한 쌍이 더 있다는 것뿐입니다.
Haldane guesses that a dog would probably be able to place the acids in the order of their molecular weights by their smells,
홀데인이 추측하기로는 개는 아마도 냄새만 가지고 각종 산을 분자량에 따라 순서를 매길 수 있을 것입니다.
just as a man could place a number of piano wires in the order of their lengths by means of their notes.
이는 마치 사람이 음의 높이를 가지고 피아노 선을 길이 순서로 배열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Now, there's another fatty acid, capric acid, which is just like the other two,
이건 또 다른 지방산인 카프르산입니다. 다른 두 개와 같지만
except that it has two more carbon atoms.
탄소 원자 두 개가 더 있습니다.
A dog that had never met capric acid would, perhaps,
카프르산의 냄새를 한번도 맡아보지 않은 개라고 할지라도
have no more trouble imagining its smell than we would have trouble imagining a trumpet, say, playing one note higher than we've heard a trumpet play before.
그 냄새가 어떤 것인지 상상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이는 마치 우리가 트럼펫의 어떤 음을 들었을 때 그보다 한 음 높은 소리를 상상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Perhaps dogs and rhinos and other smell-oriented animals smell in color. And the argument would be exactly the same as for the bats.
개와 코뿔소 그리고 그 외 냄새 위주의 동물들은 총천연색으로 냄새를 맡는 것입니다. 똑같은 주장을 박쥐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Middle World -- the range of sizes and speeds which we have evolved to feel intuitively comfortable with --
우리가 직관적으로 편하게 느끼도록 진화한 크기와 속도의 범위를 가진 중간 세계는
is a bit like the narrow range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that we see as light of various colors.
전자기 스펙트럼의 범위에서 우리가 색으로 볼 수 빛의 영역처럼 좁다고 할 수 있습니다.
We're blind to all frequencies outside that, unless we use instruments to help us.
그 범위 밖에 주파수에 대해서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한 우리는 장님입니다.
Middle World is the narrow range of reality which we judge to be normal,
중간 세계는 실세계 중 우리가 정상이라고 느끼는 좁은 영역에 지나지 않습니다.
as opposed to the queerness of the very small, the very large and the very fast.
너무 작거나 너무 크거나 너무 빠른 것의 기괴한 점들을 모두 배제한 것이죠.
We could make a similar scale of improbabilities; nothing is totally impossible.
있을 법 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도 비슷한 잣대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없습니다.
Miracles are just events that are extremely improbable.
기적은 그저 몹시 있을 법 하지 않은 사건일 뿐입니다.
A marble statue could wave its hand at us;
대리석상이 우리에게 손을 흔들어줄 수도 있는 거죠.
the atoms that make up its crystalline structure are all vibrating back and forth anyway.
그의 결정 구조를 이루고 있는 원자들은 어차피 몽땅 앞뒤로 진동하고 있으니까요.
Because there are so many of them, and because there's no agreement among them in their preferred direction of movement, the marble, as we see it in Middle World, stays rock steady.
너무나도 많은 원자가 있고 그들간에 어느 쪽으로 움직이는 것이 좋을지 약속이 없기 때문에 대리석은 중간 세계에서 보듯 돌처럼 굳어있는 것입니다.
But the atoms in the hand could all just happen to move the same way at the same time, and again and again.
하지만 손에 있는 원자들이 우연히 한 순간 같은 방식으로 움직이고 이를 반복할 수도 있습니다.
In this case, the hand would move, and we'd see it waving at us in Middle World.
그렇다면 손은 움직이게 되고 중간 세계에 사는 우리에게 손을 흔드는 것을 보게 될 것입니다.
The odds against it, of course, are so great that if you set out writing zeros at the time of the origin of the universe, you still would not have written enough zeros to this day.
물론 그럴 가능성은 너무나도 작아서 우주가 시작되는 날로부터 소수점 아래 0을 쓰기 시작해도 오늘까지 충분한 개수의 0을 쓰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Evolution in Middle World has not equipped us to handle very improbable events; we don't live long enough.
우리는 중간 세계에서 진화하는 바람에 무척 일어날 법 하지 않은 일을 다루는데 익숙하지 않습니다.
In the vastness of astronomical space and geological time, that which seems impossible in Middle World might turn out to be inevitable.
충분히 오래 살지 않기 때문이죠. 우주 공간과 지질학적 시간의 방대함 속에서는 중간 세계에서는 불가능해 보이는 일이 불가피한 것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One way to think about that is by counting planets.
이것을 생각해보는 한 가지 방법은 행성의 수를 세는 것입니다.
We don't know how many planets there are in the universe,
우주에 몇 개의 행성이 있는 지는 모릅니다만
but a good estimate is about 10 to the 20, or 100 billion billion.
적절한 예측으로는 약 2000경 내지 1해(역자주: 1아래로 0이 20개)개쯤 된다고 합니다.
And that gives us a nice way to express our estimate of life's improbability.
이 수치는 생명이 얼마나 발생하기 어려운가를 어림잡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We could make some sort of landmark points along a spectrum of improbability,
있을 성 싶지 않음의 스펙트럼을 따라서 일종의 표지를 세울 수 있습니다.
which might look like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we just looked at.
이는 흡사 우리가 살펴본 자기장의 스펨트럼과 비슷해 보일 것입니다.
If life has arisen only once on any --
만약에 생명이 딱 한번 발생했다면
life could originate once per planet,
생명은 행성마다 한번씩 발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could be extremely common or it could originate once per star or once per galaxy or maybe only once in the entire universe,
즉, 극단적으로 흔한 거죠. 또는 항성(역자주: 한 항성에는 대개 여러 개의 행성이 있음) 당 한번씩 발생할 수 있었습니다. 또는 은하계 당 한번 또는 전체 우주에서 딱 한번이라면,
in which case it would have to be here.
만약에 그렇다면 그건 바로 여기라야 됩니다.
And somewhere up there would be the chance that a frog would turn into a prince,
그리고 저기 위 어딘가에는 개구리가 왕자가 되거나
and similar magical things like that.
그와 유사한 마술 같은 일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If life has arisen on only one planet in the entire universe,
만약 전체 우주에서 딱 하나의 행성에서만 생명이 발생했다면,
that planet has to be our planet,
그 행성은 우리 행성일 수 밖에 없죠.
because here we are talking about it.
왜냐하면, 바로 여기서 우리가 그 얘기를 하고 있으니까요.
And that means that if we want to avail ourselves of it,
만약 이를 받아들인다면,
we're allowed to postulate chemical events in the origin of life which have a probability as low as one in 100 billion billion.
우리는 1해분의 1처럼 낮은 확률을 가진 생명의 기원이 되는 화학 사건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도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I don't think we shall have to avail ourselves of that,
우리가 꼭 그래야 한다고 저는 생각지 않습니다.
because I suspect that life is quite common in the universe.
왜냐하면 생명이 우주에서 상당히 흔하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And when I say quite common,
제가 상당히 흔하다고 얘기했지만,
it could still be so rare that no one island of life ever encounters another,
그래도 여전히 너무 드물어서 생명을 지닌 어떤 섬도 다른 섬을 만난 적이 없을 수도 있는 정도입니다.
which is a sad thought.
슬픈 일이죠.
How shall we interpret "queerer than we can suppose?"
"상상을 초월하게 기괴한"을 어떻게 받아 들여야만 할까요?
Queerer than can in principle be supposed,
원칙적으로 상상될 수 있는 것들 보다 더 기괴하다는 걸까요
or just queerer than we can suppose, given the limitations of our brain's evolutionary apprenticeship in Middle World?
아니면 그저 중간 세계에서 진화의 수련을 겪은 우리 두뇌가 한정하는 범위에서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더 기괴하다는 걸까요?
Could we, by training and practice, emancipate ourselves from Middle World and achieve some sort of intuitive as well as mathematical understanding of the very small and the very large?
훈련과 연습을 통하여 중간 세계로부터 해방되어 수학을 통해서는 물론이고 일종의 직관으로 극히 작은 것이나 극히 큰 것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을까요?
I genuinely don't know the answer.
저도 정말로 답을 모릅니다.
I wonder whether we might help ourselves to understand, say, quantum theory,
다음과 같은 방법이 양자 이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if we brought up children to play computer games beginning in early childhood,
아이들이 아주 어렸을 때부터 컴퓨터 게임을 하도록 키우는 겁니다.
which had a make-believe world of balls going through two slits on a screen,
컴퓨터 게임에서 공이 막 위의 두 개의 슬릿(역자주:가늘고 갈라진 틈)
a world in which the strange goings-on of quantum mechanics were enlarged by the computer's make-believe,
양쪽 모두로 지나가는 세계(역자주:양자 역학의 이중 슬릿 실험은 파동성과 입자성을 설명함)를 보여준다던지 해서 양자 역학의 이상한 행실을 컴퓨터로 확대하여 그런 세계를 아이들이 믿게 만들어서
so that they became familiar on the Middle-World scale of the stream.
중간 세계의 규모에 익숙하게 하는 것은 어떨까.
And similarly, a relativistic computer game, in which objects on the screen manifest the Lorentz contraction, and so on, to try to get ourselves --
비슷한 식으로, 상대론적 컴퓨터 게임을 만들어서 화면상의 물체들이 로렌츠 수축(역자주: 이동중인 물체의 길이가 줄어드는 것으로 관찰되는 물리 현상)을 드러내게 하여
to get children into the way of thinking about it.
아이들이 그런 현상을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게 한다면 어떨는지.
I want to end by applying the idea of Middle World to our perceptions of each other.
서로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중간 세계 개념을 적용하는 것으로 얘기를 마칠까 합니다.
Most scientists today subscribe to a mechanistic view of the mind:
오늘날 대부분의 과학자는 마음을 기계론의 관점으로 보는데 동의합니다.
we're the way we are because our brains are wired up as they are,
우리가 이러저러한 것은 우리의 뇌가 그렇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our hormones are the way they are.
우리의 호르몬이 그렇게 되어있기 때문이다라는 식의 생각이죠.
We'd be different, our characters would be different,
만약의 신경구조와 생화학이 달랐더라면
if our neuro-anatomy and our physiological chemistry were different.
우리는 지금과 달랐을 것이고 우리의 특징도 다를 것이라는 거죠.
But we scientists are inconsistent.
하지만 우리 과학자들은 일관성이 없습니다.
If we were consistent, our response to a misbehaving person, like a child-murderer, should be something like:
만약 우리가 일관성이 있다면, 유아 살해범과 같은 나쁜 사람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이런 식이라야 되는 거죠.
this unit has a faulty component; it needs repairing.
이 개체에는 고장난 부품이 들었군. 수리를 해야겠어.
That's not what we say.
하지만 우리는 그러지 않죠.
What we say -- and I include the most austerely mechanistic among us, which is probably me -- what we say is,
우리는 - 저와 이 중에서 가장 엄격히 기계론적인 사람 아마 저겠네요 이렇게 말하죠.
"Vile monster, prison is too good for you."
"몸서리 나는 괴물 같은 놈, 감옥도 네놈에게 과분하다."
Or worse, we seek revenge,
심지어는 복수를 꾀하기도 하죠.
in all probability thereby triggering the next phase in an escalating cycle of counter-revenge,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에 복수가 복수를 낳는 악순환의 고리가 끊이지 않습니다.
which we see, of course, all over the world today.
오늘 현재 전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모습이죠.
In short, when we're thinking like academics,
요컨대, 학술적으로 생각할 때에는,
we regard people as elaborate and complicated machines, like computers or cars.
우리는 사람을 컴퓨터나 자동차처럼 정교하고 복잡한 기계라고 보지만,
But when we revert to being human, we behave more like Basil Fawlty,
인간으로 되돌아 와서는 배즐 펄티(역자주: 영국의 시트콤 펄티 타워의 주인공)처럼 행동하죠.
who, we remember, thrashed his car to teach it a lesson, when it wouldn't start on "Gourmet Night."
기억하시겠지만 "식도락가의 밤" 에피소드에서 자동차가 시동이 안 걸린다고 가르친답시고 자동차를 마구 때리죠.
The reason we personify things like cars and computers is that just as monkeys live in an arboreal world and moles live in an underground world and water striders live in a surface tension-dominated flatland,
자동차나 컴퓨터와 같은 물건을 의인화 하는 이유는 원숭이는 나무 세계에서 살고 있고 두더지는 지하 세계에서 살고 있고 소금쟁이는 표면 장력이 지배하는 2차원 세계에서 살고 있고 우리는 사회적 세계에서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we live in a social world. We swim through a sea of people -- a social version of Middle World.
우리는 중간 세계의 사회 판인 사람의 바다에서 헤엄칩니다.
We are evolved to second-guess the behavior of others by becoming brilliant, intuitive psychologists.
우리는 명석하고 직관적인 심리학자가 되어 다른 이의 행동을 추측하도록 진화했습니다.
Treating people as machines may be scientifically and philosophically accurate,
사람을 기계로 대하는 것은 과학적으로나 철학적으로는 정확할 지는 몰라도,
but it's a cumbersome waste of time if you want to guess what this person is going to do next.
이 사람이 다음에 무슨 짓을 할지 예측하는 데에는 그저 성가신 시간 낭비일 뿐입니다.
The economically useful way to model a person is to treat him as a purposeful,
사람을 모델링 하는 경제학적으로 유용한 방법은 그를 목적을 가진 목표 지향적인 행위자로 취급하는 것입니다.
goal-seeking agent with pleasures and pains, desires and intentions, guilt, blame-worthiness.
즐거움과 고통, 욕망과 의도, 죄, 비난할 만한 것을 가진 존재로 보는 것이죠.
Personification and the imputing of intentional purpose is such a brilliantly successful way to model humans,
의인화나 의도적 목적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인간을 모델링 하는데 너무나도 뛰어난 방법이기 때문에
it's hardly surprising the same modeling software often seizes control when we're trying to think about entities for which it's not appropriate,
이 모델링 소프트웨어가 그 모델이 적절하지 않은 개체를 고려하려 할 때에도 장악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like Basil Fawlty with his car or like millions of deluded people, with the universe as a whole.
배즐 펄티가 차를 다룰 때라던지 수백만의 사람들이 대우주라는 망상에 사로 잡힌다던 지 하는 것처럼요.
If the universe is queerer than we can suppose,
만약 우주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이상으로 기괴하다면,
is it just because we've been naturally selected to suppose only what we needed to suppose in order to survive in the Pleistocene of Africa?
그것은 단지 우리가 홍적세(역자주:1백80만년 전~1만년전의 시기로 인류가 발생한 시기)의 아프리카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상상해야 했던 것만을 상상하도록 자연 선택을 거쳤기 때문이 아닐까요?
Or are our brains so versatile and expandable that we can train ourselves to break out of the box of our evolution?
혹시, 우리의 두뇌는 너무나도 융통성 있고 확장성이 있어서 훈련을 통하여 우리 진화의 테두리를 부수고 나갈 수 있는 걸까요?
Or finally, are there some things in the universe so queer that no philosophy of beings, however godlike, could dream them?
그것도 아니라면, 우주에는 뭔가 너무나도 기괴한 것이 있어서 어떤 존재 심지어는 신과 같은 존재의 철학으로도 꿈조차 꿀 수 없는 걸까요?
Thank you very much.
대단히 감사합니다.
https://www.ted.com/talks/richard_dawkins_why_the_universe_seems_so_strange/transcript?language=ko
'TED > TED2006'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D (Helen Fisher) 헤렌 피셔 - 왜 우리가 사랑을 하고 바람을 피우는가?] (0) | 2020.10.30 |
---|---|
[TED (Mena Trott) 미나 트롯 - 블로그에 대하여] (0) | 2020.10.28 |
[TED (Ze Frank) 제 프리 - 너드코어 코메디] (0) | 2020.10.26 |
[TED (Richard Baraniuk) 리처드 배레닉 - 오픈소스 활용학습] (0) | 2020.08.26 |
[TED (Jimmy Wales) 지미 웨일스 - 위키백과 탄생에 대한 이야기] (0) | 202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