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 if you live on planet Earth and you're one of seven billion people that eats food every day, I need you to pay attention,
지구에 살고 계시고 매일 식사를 하는 70억 인구 중 한 분이시라면 집중해주세요.
because over the next three decades, we will need to address one of the most critical global challenges of our generation.
향후 30년이 넘도록 우리는 우리 세대의 가장 중요한 전세계적인 과제 중 하나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And I'm not talking about climate change.
그리고 저는 기후 변화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I'm talking about food and agriculture.
저는 음식과 농업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In 2050, our global population is projected to reach 9.8 billion, with 68 percent of us living in urban city centers.
2050년에 전 세계 인구는 98억 명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중 68%는 도심에 살 것입니다.
In order to feed this massive population, we will need to increase our agricultural output
이 엄청난 인구를 먹여 살리려면, 우리는 농업 성과를 높여야 합니다.
by 70 percent over current levels.
현재 수준의 70%를 늘여야 하죠.
Just to put this number into perspective,
이 수치를 넓게 보면,
we will need to grow more food in the next 35 to 40 years than the previous 10,000 years combined.
우리는 향후 35-40년 사이에 과거 만년 동안 생산량을 모두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해야 합니다.
Put simply, not only is our global population becoming bigger,
간단히 말해서 전세계 인구가 커질 뿐 아니라 더 밀집될 것이고
but it's also getting denser, and we will need to grow significantly more food using significantly less land and resources.
훨씬 더 적은 땅과 자원으로 훨씬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해야 할 것입니다.
Complicating our current efforts to address these major demographic shifts are the challenges facing the agricultural industry today.
이런 주요 인구학적 변화를 해결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오늘날 농업의 도전과제들입니다.
Globally, one third of all the food that we produce is wasted,
전세계적으로 우리가 생산하는 식량의 3분의 1이 버려집니다.
acquitting to 1.6 billion tons of food that spoiled on the way to the market or expired in our refrigerators or were simply thrown out by supermarkets and restaurants at the end of the day.
이는 16억톤에 해당하는 음식인데, 유통 과정 중 상하거나, 냉장고에서 유통기한이 다 되거나, 하루의 끝에 수퍼마켓이나 음식점에서 그저 버려지는 것들입니다.
Every single year, up to 600 million people will get sick eating contaminated food,
매해 6억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오염된 음식을 먹고 탈이 나는데,
highlighting the challenge that we have of maintaining global food safety.
전 세계 식품 안전성 유지라는 과제를 부각시켜줍니다.
And, maybe unsurprisingly, the agricultural industry is the single largest consumer of fresh water, accounting for 70 percent of global usage.
그리고 아마 놀랍지 않게도 농업이 담수를 소모하는 최대의 단일 소비 주체이고 전세계 사용량의 70%를 차지합니다.
Now, you'll be relieved to know that the agricultural industry and that the global movement by universities, companies
여러분께서는 이를 아시면 안심이 되실 것입니다. 농업 산업과 대학교, 회사,
and NGOs is putting together comprehensive research and developing novel technology to address all of these issues.
그리고 NGO 단체들의 전세계적인 운동이 이 모든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광범위한 연구와 새로운 기술 개발을 통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And many have been doing it for decades.
그리고 많은 이들이 이를 수십년 동안 해왔죠.
But one of the more recent innovations in food production being deployed in industrial parks in North America,
하지만 더 최근에 이루어진 식량 생산의 혁신 중 하나는 북미 공업 단지,
in the urban city centers of Asia, and even in the arid deserts of the Middle East is controlled environment agriculture.
아시아의 도심, 그리고 심지어 중동의 건조한 사막에서도 시행되고 있는 제어 환경 농업입니다.
Controlled environment agriculture is actually just a fancy way of saying weather- or climate-proof farming,
제어 환경 농업은 사실 날씨 또는 기후에 영향 받지 않는 농업을 일컫는 근사한 말이고,
and many of these farms grow food three-dimensionally in vertical racks,
다수의 이런 농장들은 식량을 3차원적인 수직 받침대에서 기릅니다.
as opposed to the two dimensions of conventional farms.
관례적인 2차원적인 농장에 대비해서 말이죠.
And so this type of food production is also referred to as indoor vertical farming.
이런 종류의 식량 생산은 또한 실내 수직 농업이라고 불립니다.
I've been involved in the indoor vertical farming space for the past five and a half years,
저는 실내 수직 농업 공간 프로젝트에 지난 5년 반 동안 참여해왔고,
developing technology to make this type of food production more efficient and affordable.
이러한 식량 생산 방식을 더욱 효율적이고 가격을 감당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한 기술을 개발해 왔습니다.
This picture was taken outside of a decommissioned shipping container that we converted into an indoor farm and then launched into the heart and the heat of Dubai.
이 사진은 해체된 선박 컨테이너 외부에서 찍은 사진인데 이는 우리가 실내 농장으로 개조해서 두바이의 뜨거운 심장부에 설치한 것입니다.
Indoor vertical farming is a relatively recent phenomena, commercially speaking,
실내 수직 농업은 비교적 최신 현상으로 여겨집니다. 상업적으로 이야기하자면,
an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consumers care more about food safety and where their food comes from,
그 이유는 소비자들이 식품 안전성과 식량의 원산지에 더욱 신경을 쓰기 때문입니다.
and also, the necessary technology to make this possible is more readily available and lower cost,
그리고 또한 이를 가능하게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보유 가능해 지고
and the overall cost of food production globally is actually increasing, making this type of food production more competitive.
전세계적 식량 생산 비용이 실제로 증가하고 있기에 이런 종류의 식량 생산을 더욱 경쟁력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So if you want to build an indoor vertical farm,
따라서 만약 실내 수직 농장을 짓고 싶으시다면,
you will need to replace some of the conventional elements of farming with artificial substitutes, starting with sunlight.
농업의 관례적인 요소 일부를 인공적인 것들로 대체하셔야할 겁니다. 햇빛부터 시작해서요.
In indoor vertical farms, natural sunlight is replaced with artificial lighting like LEDs.
실내 수직 농장에서는 자연광이 LED와 같은 인공광으로 대체됩니다.
While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LEDs being used, the one that we decided to install here is called "full spectrum LEDs,"
많은 서로 다른 종류의 LED가 사용되고 있지만 우리가 여기에 설치하기로 했던 것은 “완전 스펙트럼 LED”인데,
which was optimized for the type of vegetables that we were growing.
이는 우리가 키웠던 야채의 종류에 최적화되어 있었습니다.
Also, in order to maximize production for a given space,
또한 일정한 공간에서 생산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indoor vertical farms also utilize and install racking systems to grow vegetables vertically,
실내 수직 농장 또한 받침대 시스템을 사용하고 설치하여 야채들을 수직으로 재배해야 합니다.
and some of the biggest facilities stack their production 14 to 16 floors high.
그리고 몇몇 큰 시설에서는 14층에서 16층 높이까지 쌓아서 생산하죠.
Now most of these farms are hydroponic or aeroponic systems,
현재 이런 농장의 대부분은 수경 및 수기경 재배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which means that instead of using soil, they use a substitute material like polyurethane sponges, biodegradable peat moss
흙 대신 폴리우레탄 스폰지, 생분해 물이끼와 같은 대체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and even use inorganic materials like perlite and clay pellets.
심지어 펄라이트나 찰흙 알갱이같은 무생물 재료를 사용하기도 하죠.
Another unique aspects about these farms is that they use a precise nutrient formula that is circulated and recycled throughout the facility,
이런 농장의 또다른 독특한 면은 그들이 시설 전체에서 순환되고 재활용되는 정확한 영양분 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and this is pumped directly to the vegetables' root zone to promote plant growth.
그리고 이것은 식물의 성장 촉진을 위해 직접 야채의 뿌리로 주입됩니다.
And lastly, these farms use a sophisticated monitoring and automation system to significantly increase productivity, efficiency and consistency,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농장들은 생산력, 효율성과 일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정교한 모니터링과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and these tools also provide the added benefit of producing food that is more traceable and safe.
또한 이러한 기술들은 생산되는 음식들을 더 안전하게 그리고 추적가능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Some of the obvious benefits of growing food in this way is that you have year-round vegetable production,
이런 기술들의 명백한 장점들은 일년 내내 야채를 생산 할수있는 것과
you have consistent quality and you have predictable output.
일관된 품질을 얻고 생산량이 예측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Some of the other major benefits include significant resource use efficiencies, particularly water.
일부 다른 주요 장점들은 주요 자원 특히 그 중 물을, 효율성있게 사용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For every kilogram of vegetables grown in this way,
이렇게 자라난 야채들은 1kg 당 기존의 농업방법과 비교하였을때,
hundreds of liters of water is conserved compared to conventional farming methods.
수백 리터의 물이 보존됩니다.
And with the water savings come similar savings in the use of fertilizer.
그리고 물 절약과 동시에 비료 사용도 절약 될 수 있습니다.
One of the highest-yielding farms grows over 350 times more food per square meter than a conventional farm.
수확량이 가장 많은 농장 중 하나는 기존 농장 보다 평방 미터 당 350배 이상의 식량을 재배합니다.
And weatherproofing means complete control of incoming contaminants and pests, completely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use of chemical pesticides.
그리고 '내후성'이란 유입되는 오염 물질 및 해충의 완전한 통제하여 화학 살충제의 필요성을 제거함을 의미합니다.
And not to be mistaken, these farms can produce enormous amounts of food,
다시 한번 말하자면, 하루에 3만 개의 야채를 생산하는 가장 큰 시설중에 하나를 통해
with one of the biggest facilities producing 30,000 heads of vegetables a day.
이 농장들은 엄청난 양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However, as with any new technology or innovation, there are some drawbacks.
하지만 모든 새로운 기술과 혁신에는 몇 가지 단점들이 따르기 마련입니다.
As you would imagine, growing food in this way can be incredibly energy-intensive.
여러분께서 상상 하시는 것처럼, 이렇게 식량재배를 하는 것은 매우 에너지 집약적입니다.
Also, these farms can only produce a small variety of vegetables commercially and the overall cost of the production still is quite high.
또한 농장들은 상업적으로 오직 적은 종류의 야채만 생산 가능하고, 여전히 생산 비용은 꽤 높습니다.
And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some of the biggest and most sophisticated farms are making significant investments, starting with energy efficiency.
그리고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몇몇 가장 크고 복잡한 농장들은 에너지 효율성부터 시작해 상당한 투자를 하고있습니다.
In order to reduce the high energy usage, there are efforts to develop higher-efficiency LEDs, to develop lasers optimized for plant growth
높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효율적인 LED를 개발하고 식물 성장에 최적화된 레이저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and using even fiber-optic cables like these to channel sunlight directly into an indoor vertical farm during the day to reduce the need for artificial lighting.
그리고 낮에는 인공 불빛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 심지어 이와 같은 광섬유를 사용하여 실내 수직 농장에 직접적으로 햇빛이 들게끔합니다.
Also, to reduce the labor costs associated with hiring a more sophisticated, more urban and also more high-skilled labor force, robotics in automation is used extensively in large-scale facilities.
또한 정교하고 도시적이며 숙련된 노동력 사용으로 인한 인건비의 절감을 위해서 자동화된 로봇들은 대규모 시설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And you can never really be too resource-efficient.
그리고 여러분은 결코 완벽하게 자원 효율적일 수 없습니다.
Building indoor vertical farms in and around urban city centers can help to shorten the agricultural supply chain and also help to maintain the nutritional content in vegetables.
실내 수직 농장 건설로 인하여 도시 중심가의 농작물 연쇄 공급과정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야채의 야채의 영양 성분을 유지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Also, there are food deserts in many countries that have little to no access to nutritious vegetables,
또한 많은 국가에는 음식이 거의 전혀 접근 할 수 없는 음식 사막화가 있습니다.
and as this industry matures,
하지만 이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it will become possible to provide more equitable access to high-quality,
심지어 대부분의 혜택 받지 못하는 공동체에도 고품질과
highly nutritious vegetables in even the most underprivileged of communities.
고양분의 야채들에 대한 공평한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And finally, and this is really exciting for me personally,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가는 것인데,
indoor vertical farming can actually be integrated seamlessly into the cityscape to help repurpose idle, underutilized and unused urban infrastructure.
실내 수직 농업은 실제로 도시에 매끄럽게 통합되어 충분히 활용되지 않았던 도시 하부구조를 다른 용도로 바꾸는 데 도움을 줍니다.
In fact, this is already happening today.
사실 이는 이미 일어나고 있습니다.
Ride-sharing services have taken hundreds of thousands of cars off the road and they have significantly reduced the need for parking.
승차 공유 서비스는 도로의 수많은 자동차를 줄였고, 주차의 필요성을 상당히 줄였습니다.
This is a farm that we installed in central Beijing in an underutilized underground parking structure to grow vegetables for the nearby hotels.
이것은 우리가 베이징의 중심부에 위치한 활용도가 낮은 근처호텔의 지하 주차장을 이용하여 지은 야채를 재배하는 한 농장 입니다.
Underutilized infrastructure is not simply limited to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projects,
활용도가 낮은 하부구조들은 단순히 대규모 토목 프로젝트에 제한 되어있지 않습니다.
and they can also include smaller spaces like idle restaurant corners.
그리고 거기에는 사용하지 않는 음식점 코너같이 좁은 곳도 포함됩니다.
This is an example of a farm that we installed directly into the partition of a hotel entrance in order to grow fresh herbs and microgreens on-site for the chefs.
이것은 우리가 요리사를 위해 신선한 허브와 녹색 채소들을 현장에서 키우기 위해 호텔 입구를 분할하여 설치한 농장의 예입니다.
Honestly, if you look around, you will find underutilized space everywhere, under, around and inside of urban developments.
사실 주변을 둘러 보면, 도시 개발의 아래, 주변 혹은 안쪽 등 어디에서나 활용하지 않는 공간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This is a farm that we installed into an empty office corner to grow fresh vegetables for the employees in nearby cafes.
이것은 우리가 근처 카페 직원들을 위한 신선한 야채를 재배하기 위해 빈 사무실 코너에 설치 한 농장입니다.
I get to be a part of all these cool projects
저는 이 모든 멋진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and working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to improve access and affordability to fresh and nutritious produce, hopefully soon by anyone anywhere,
그리고 이 농업 산업에서 신선하고 영양가 있는 농산물에 대한 바라건대 곧 모든 곳에서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접근성과 저렴한 가격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했는데,
has been the greatest joy and also the most humbling and intellectually challenging thing I've ever done.
이는 제 최대의 기쁨이며 또한 현재까지 제가 했던 것 중 가장 지적으로 도전적이며 겸손했던 일입니다.
And now that I've convinced you that agriculture can be quite sexy,
그리고 이제 제가 농업이 상당히 매력적일 수 있다는 것을 확신시켰으니,
you'll be surprised and shocked to know that I still have trouble fully articulating how and why I decided to work, and continue to work,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제가 농업 산업에서 어떻게 그리고 왜 일을 계속하기로 결심했는지 아직도 완전히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면 놀라움과 충격을 받을 것입니다.
But a couple of years ago, I found a rather unique answer hiding in plain sight.
그러나 몇 년 전, 저는 잘 보이지 않던 독특한 답을 찾았습니다.
You see, I read an article about how your name, particularly your last name, can have a strong influence on everything from your personality to your professional career.
보시면, 저는 어떻게 하여 이름 중 특히 성이 여러분의 성격부터 전문적인 직업까지 모든 것에 대해 얼마나 큰 영향을 줄수있는 지에 대한 기사를 읽은적이 있습니다.
This is my Japanese last name: Oda.
오다, 이게 저의 일본 성입니다.
And the characters translate literally into "small farm."
그리고 이 단어들은 말 그대로 "작은 농장"의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Thank you.
감사합니다.
https://www.ted.com/talks/stuart_oda_are_indoor_vertical_farms_the_future_of_agriculture?language=ko
'TED > TED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D(Erin Sullivan) 에린 설리번 - 한순간을 담는 사진 촬영이 당신의 경험을 빼앗아가는가?] (0) | 2020.12.03 |
---|---|
[TED(Priscilla Pemu) 프리실라 페무 - 만성 질환자들을 위한 개인적 건강 코칭] (0) | 2020.11.30 |
[TED (Jan Bill) 잰 빌 - 바이킹 배는 무엇이 그렇게 특별했을까?] (0) | 2020.10.27 |
[TED ( Adam Garske) 아담 갈스키 - 새로 만든 효소가 세상을 어떻게 바꾸는가?] (0) | 2020.08.27 |
[TED (Jen Gunter) 젠 건터 - 우리는 왜 생리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없을까요? (0) | 2020.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