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started life as a fashion designer, working closely with textile designers and fabric suppliers. 

전 패션 디자이너로 살면서 디자이너와 섬유 업체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습니다.



But today, I can no longer see or talk to my new collaborators, 

하지만 새로운 협력자들과는 직접 만나거나 얘기할 수가 없어요.



because they're in the soil beneath our feet, on the shelves of our supermarkets and in the beer I'm going to drink when I finish this talk. 

왜냐하면 이들은 우리 발밑의 흙 속에 있거나 마트의 진열대 위 그리고 이 강연 후 제가 마실 맥주 속에 있거든요.



I'm talking about microbes and designing with life. 

제 강연의 주제는 미생물과 생명이 있는 디자인입니다. 



Fifteen years ago, I completely changed both what I worked with and how I worked after a revelatory collaboration with a biologist. 

15년 전 어느 생물학자와의 공동 작업을 통해 큰 깨달음을 얻고 일의 소재와 방법을 전면적으로 바꾸었습니다.



Our project gave me a different perspective on life, 

이 작업으로 생명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얻고



introducing a whole new world of possibility around how we can design and make things. 

디자인과 제작 과정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세상을 만나게 되었죠.



I discovered a radical manufacturing proposition: biofabrication. 

아주 급진적인 제조법을 알게 되었어요. 바로 바이오 제조법입니다. 



Literally, fabricating with biology. 

말 그대로 생물학을 이용한 제조법이에요. 



What does that mean? 

그게 무슨 뜻일까요?



Well, instead of processing plants, animals or oil to make consumer materials, 

식물이나 동물, 기름을 가공해 소재를 만드는 대신



we might grow materials directly with living organisms. 

살아 있는 유기체에서 바로 소재를 기르는 방법이에요.



In what many are term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많은 이가 말하는 '4차 산업 혁명'은



we're thinking about the new factories as being living cells. 

살아 있는 세포를 새 공장으로 간주합니다. 



Bacteria, algae, fungi, yeast: our latest design tools include those of biotechnology. 

박테리아, 조류, 균류, 효모 등 새로운 디자인 도구는 생물공학의 도구를 아우릅니다. 



My own journey in biofabrication started with a project called "Biocouture." 

전 '바이오쿠튀르'라는 프로젝트로 이 세계에 발을 들였습니다.



The provocation was that instead of growing a plant, like cotton, in a field over several months, 

목화처럼 몇 달간 밭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대신



we could use microbes to grow a similar cellulose material in a lab in a few days. 

실험실에서 미생물을 배양해 단 며칠 만에 비슷한 섬유 재질을 기르는 흥미로운 실험이었죠.



Using a certain species of bacteria in a nutrient-rich liquid, 

영양분이 풍부한 용액에 특정 박테리아를 배양하였고



we fermented threads of cellulose that self-organized into a sheet of fabric. 

거기서 나온 섬유 가닥이 유기적으로 한 장의 직물을 만들어냈습니다. 



I dried the fabric I had grown and cut and sewed it into a range of garments, shoes and bags. 

이렇게 배양한 직물을 잘 말려서 자르고 꿰매 옷과 신발, 가방을 만들었어요.



In other words, in one lab we grew materials and turned them into a range of products in a matter of days. 

다르게 설명하자면 한 곳의 실험실에서 재료의 배양과 다양한 상품 제작까지 단 며칠 만에 이룬 겁니다



And this is in contrast to currents methods of fabric production, 

기존의 직물 제조 과정과 무척 대비되는 과정이죠. 



where a plant is grown, 

지금은 식물을 재배해서



just the cotton part is harvested, processed into a yarn, 

목화솜만 떼어낸 후 거기서 실을 뽑아 면직물을 만들고



woven into a fabric and then potentially shipped across oceans before being cut and sewn into a garment. 

이를 세계 곳곳으로 보내 자르고 꿰매어 옷으로 만듭니다.



All of that can take months. 

몇 달이 걸리는 과정이에요. 



So these prototypes indicated a field offering significant resource efficiencies. 

이런 원형을 통해 자원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분야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From reducing the water, energy and chemistry needed in the production of a material, 

원료 제작 과정에 필요한 물과 에너지 및 화학 약품을 줄여



through to generating zero waste, we grew fabrics to finished form --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는 과정으로 완성품을 길러내는 겁니다.



if you like, "biological additive manufacture." 

'생물학적 첨가물 제조법' 이라고나 할까요. 



Through biofabrication, I had replaced many intensive man-made steps with one biological step. 

바이오 제조법을 통해 엄청난 인력이 동원되는 여러 과정을 하나의 생물학적 단계로 줄일 수 있었습니다.



And as I engaged with this living system, it transformed my design thinking. 

이 체계를 알게 됨으로써 디자인에 관한 제 생각도 바뀌었죠.



Here was biology, with no intervention from me other than designing initial conditions for growth, 

배양을 위한 초기 설정을 제외하고는 제가 전혀 개입하지 않아도 생물의 작용만으로 



efficiently producing a useful, sustainable material. 

유용하고 지속 가능한 물질이 효율적으로 생산됩니다. 



So now I can't help but see all materials through the lens of biofabrication. 

그래서 이제 전 모든 재료를 바이오 제조의 시각으로 봅니다.



In fact, there's a growing global community of innovators rethinking materials with biology. 

원료와 생물학을 접목시켜 생각하는 혁신적 발상을 하는 이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Multiple companies are now growing mushroom materials, 

버섯 원료를 기르는 회사도 늘어나고 있죠. 



but not literally mushrooms -- using mycelium, 

진짜 버섯이 아니라 균류의 기반이 되는 균사체를 이용해 



which is the root system of fungi, to bind together agricultural byproducts. 

농업 부산물의 결합 방법을 연구하는 회사들입니다.



It's a process that's been described as "nature's glue." 

'자연 접착제'라고 부르는 과정이에요.



A common way to do this is to take a 3-D mold, 

이 방법은 주로 3D로 만든 틀을 씁니다.



fill it with a waste crop like corn stalks or hemp, 

옥수수나 대마 줄기 등 버리는 부산물로 틀을 채우고



add water, wait a few days for the mycelium to grow throughout, 

물을 넣은 후 균사체가 완전히 자랄 때까지 며칠 기다렸다가



remove the mold, and you're left with a grown 3-D form. 

틀에서 제거하면 틀의 모양대로 형태가 완성되죠. 



Incredibly, we can grow all kinds of structures using living organisms, 

살아 있는 유기체로 만들 수 있는 구조는 놀라울 만큼 다양합니다.



from foams that can replace plastics in footwear, to leather-like materials without animals. 

신발에 쓰이는 플라스틱을 대체할 폼 재질부터 동물을 희생하지 않는 가죽을 생산하고



Furniture, flooring -- all are currently being prototyped. 

가구와 바닥 재료까지 모든 게 실험 대상입니다. 



Fungi are able to grow materials that are naturally fire retardant, without any chemicals. 

균사체는 화학 약품 없이도 자연스럽게 불에 강한 물질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They're naturally hydrophobic, meaning they won't absorb water. 

물을 싫어하는 성질 때문에 수분을 흡수하지도 않죠.



They have higher melt temperatures than plastics. 

플라스틱보다 녹는 온도도 높습니다.



Polystyrene can take thousands of years to degrade. 

폴리스티렌이 부식하려면 수천 년이 걸리지만



Mushroom packaging materials can be naturally composted in your back garden in as little as 30 days. 

균류로 만든 포장 용기는 뒷마당 흙 속에 묻어두면 고작 30일 안에 분해됩니다.



Living organisms are transforming waste into cost-competitive, 

생명 유기체는 폐기물을 변형해 가격 경쟁력은 물론



performance-matching materials that can start to replace plastics and other CO2-emitting materials. 

성능에서도 우수한 원료로 바꾸어 플라스틱이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다른 원료를 대체할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And once we start growing materials with living organisms, 

생명 유기체를 이용해 원료를 생산하기 시작하면



it starts to make previous methods of manufacture seem illogical. 

기존의 제조 방법은 비논리적으로 보이기 시작해요. 



Take the humble house brick. 

평범한 벽돌을 예로 들어보죠.



The cement industry generates around eight percent of global CO2 emissions. 

시멘트 산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전 세계 발생량의 약 8%입니다.



That's more than all the planes and ships each year. 

매년 운행하는 모든 비행기와 배를 합친 것보다도 많아요.






The cement process requires materials to be fired in a kiln at over 2,000 degrees Fahrenheit.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는 원료를 가마에 넣어 섭씨 약 1,100도의 열을 가합니다.



Compare this to bioMASON. 

바이오메이슨 벽돌과 비교해 보죠.



They use a soil microbe to transform loose aggregates, like sand or crushed stone, into a biofabricated, or biocement, brick.

이 회사에선 모래나 돌 조각 같은 골재를 흙 미생물을 사용하여 변형해 바이오 제조법으로 벽돌을 만들죠.



Their process happens at room temperature, in just a couple of days. 

제조 과정은 실온에서 이루어지며 단 며칠이면 완성됩니다.



Think: hydroponics for bricks. 

벽돌을 수경 재배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An irrigation system feeds nutrient-rich water to trays of bricks that have been inoculated with bacteria. 

영양분이 풍부한 물을 벽돌에 공급하는 관수 시스템을요. 여기엔 박테리아를 주입했고요.



The bacteria produce crystals that form around each grain of sand, 

이 박테리아가 각 모래알 주변에 결정체를 형성하여 떨어져 있는



locking together all the loose particles to form a solid brick. 

모든 입자를 한데 결합하면서 단단한 벽돌이 만들어집니다.



We can now grow construction materials in the elegant way nature does, just like a coral reef. 

이제 건축 자재까지도 자연의 방식으로 우아하게 만드는 거죠. 산호초처럼요.



And these biofabricated bricks are nearly three times stronger than a concrete block. 

또한 이 바이오 제조 벽돌은 콘크리트 벽돌보다 3배가량 더 견고합니다.



And in stark contrast to traditional cement production, they store more carbon than they make. 

만들면서 발생한 탄소량이 벽돌 내 탄소량보다도 적으니 기존 제조 과정과도 극명히 대비되고요. 



So if we could replace the 1.2 trillion fired bricks that are made each year with biofabricated bricks, 

그러니 현재 매년 가마에 구워 생산하는 1조 2천억 개의 벽돌을 바이오 제조 벽돌로 대체하면



we could reduce CO2 emissions by 800 million tons every year. 

매년 8억 톤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Beyond growing materials with living organisms, we're even starting to design products that encourage their growth. 

살아 있는 유기체로 원료를 배양하는 것 외에도 이를 장려하기 위한 제품 디자인도 시작했습니다.



And this comes from the realization that the very thing we've been trying to marginalize -- life -- might actually be our greatest collaborator. 

이는 우리가 지금까지 하찮게 여겼던 바로 그 생명이란 것이 실은 최고의 협력자라는 깨달음에서 비롯됐어요.



To that end, we've been exploring all the ways that we can grow healthy microbes in our own ecosystems. 

이러한 맥락을 통해 우리 생태계에서 건강한 미생물을 길러낼 모든 방법을 연구하고 있고요.



A great example of this is architects who are imagining the skin of a building to function like the bark of a tree. 

러한 방법의 아주 좋은 예로 건물 표면에 나무껍질과 같은 기능을 부여하는 건축법을 들 수 있습니다. 



But not as a cosmetic green layer. 

단지 예쁘게 초록색을 입히는 게 아닙니다.



They're designing architectural barks as hosts for evolving ecologies. 

생태 진화의 숙주인 건축용 나무껍질을 디자인하는 것이죠.



These surface structures are designed to invite life in.

이렇게 만든 표면은 생명력을 포용합니다.



And if we applied the same energy we currently do suppressing forms of life towards cultivating life, 

현재 우리가 생명력 억제에 쓰는 에너지를 생명을 일구는 데 쓴다면,






we'd turn the negative image of the urban jungle into one that literally embodies a thriving, living ecosystem. 

도시 정글의 부정적 이미지를 생명력 넘치는 생태 환경의 이미지로 바꿀 수 있을 겁니다.



By actively encouraging surface interactions with healthy microbes, 

건강한 미생물을 이용한 표면 상호작용을 장려함으로써



we could improve passive climate control, stormwater management and even reduce CO2 emissions 

수동적 기후 제어 방법과 빗물 관리 능력을 향상하고 건물 냉난방에 쓰이는 에너지를 줄여



by lowering the energy used to heat or cool our buildings. 

이산화탄소 발생도 억제할 수 있습니다. 



We're just beginning to realize the potential of nature-based technologies. 

지금은 그저 자연 기반 기술의 잠재력을 깨우치는 단계일 뿐입니다.



I'm excited that we're starting to design and biofabricate a new material world. 

바이오 제조법으로 새로운 원료의 세상을 만들어간다니 무척 기쁜 일이에요. 



It's one that moves away from the exploitation of nonrenewable resources to working with the original, renewable life. 

재생 불가능한 자원의 남용에서 벗어나 독창적이고 재생 가능한 생명을 이용하는 세상이죠.



Instead of designing out life, we're designing with it and for it. 

생명을 벗어난 디자인이 아닌 생명을 포함하고 생명을 위하는 디자인입니다.



Packaging, fashion, footwear, furniture, construction -- 

포장, 패션, 신발, 가구, 건축까지



biofabricated products can be grown close to centers of demand, 

바이오 제조법으로 만들어진 상품은 고객의 수요에도 부응할 수 있고



with local resources, less land, energy, and even harnessing industrial waste streams. 

현지 자원을 활용하고 공간과 에너지도 적게 소모하며 산업 폐기물 관리에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It used to be that the tools of biotechnology were the preserve of powerful, 

지금까지 생명공학 기술의 도구는 



multinational chemical and biotech companies.

힘 있는 다국적 화학 기업과 생명공학 기업들의 전유물이었습니다. 



In the last century, we expected material innovation to come from the likes of DuPont, Dow, BASF. 

지난 세기엔 듀퐁, 다우, 바스프 같은 회사에 원료 혁명을 기대하곤 했죠.



But this 21st-century material revolution is being led by start-ups with small teams and limited capital. 

하지만 21세기 원료 혁명은 소규모와 소자본의 스타트업이 이끌고 있습니다. 



And by the way, not all their founders have science degrees. 

심지어 일부 업체는 창업자가 과학 전공자도 아니고



They include artists, architects and designers. 

예술가, 건축가, 디자이너까지 있어요.



Over a billion dollars has already been invested in start-ups biofabricating consumer products. 

이미 십억 달러 이상이 바이오 제조 제품을 만드는 스타트업 업체들에 투입되었습니다. 



I don't think we have a choice but to biofabricate our future. 

미래에는 바이오 제조법 외엔 선택이 없을 거예요. 



From the jacket you're wearing to the chair you're sitting in to the home you live in,

우리가 입는 겉옷부터 여러분이 앉아 있는 의자 우리가 사는 집까지



your designed material world shouldn't compromise your health or that of our planet.

물질 세계의 디자인이 우리나 우리 지구의 건강을 해쳐서는 안 됩니다. 



If materials can't be recycled or naturally composted at home, we should reject them. 

재활용이 불가능하거나 집에서 거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면 거부해야 해요. 



I'm committed to making this future a reality by shining a light on all the amazing work being done today and 

전 이런 미래를 현실로 만들고자 노력합니다. 오늘날 행해지는 수많은 훌륭한 업적이 주목받게 하고



by facilitating more interactions between designers, scientists, investors and brands. 

디자이너와 과학자, 투자자와 브랜드 간의 보다 손쉬운 상호작용을 도모하면서요.






Because we need a material revolution, and we need it now. 

우리에겐 원료 혁명이 필요하니까요. 바로 지금요. 



Thank you. 

고맙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