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voice mail, my old friend.
안녕 자동응답기, 나의 오랜 친구여
I've called for tech support again.
기술 지원이 필요해서 또 전화했어.
I ignored my boss's warning. I called on a Monday morning.
보스의 경고는 무시하고 월요일 아침에 전화했네
Now it's evening, and my dinner first grew cold, and then grew mold.
이제 해는 지고 내 밥은 다 식고 곰팡이도 피는구나.
I'm still on hold. I'm listening to the sounds of silence.
아직도 전화는 대기중..내가 듣는 건 적막뿐...
I don't think you understand.
아실란가 모르겠네요.
I think your phone lines are unmanned.
이 전화선이 자동응답인건 아시나요
I punched every touch tone I was told, but I've still spent 18 hours on hold.
누르라는 번호는 다 눌렀는데 18시간째 기다리고 있다네
It's not enough your software crashed my Mac, and it constantly hangs and bombs -- it erased my ROMs!
당신네 소프트웨어가 내 맥을 망가뜨린것도 부족해서 끊기고 튕기고 난리라구.
it erased my ROMs!
내 ROM 도 지워버렸어!
Now the Mac makes the sounds of silence.
이제 내 맥은 소리가 안나.
In my dreams I fantasize of wreaking vengeance on you guys.
난 꿈을 꾸곤 하지 너희들에게 복수하는 것을 말이야!
Say your motorcycle crashes.
너희는 오토바이를 타다 사고를 당해!
Blood comes gushing from your gashes.
피가 그냥 철철 흐르지.
With your fading strength, you call 9-1-1 and you pray for a trained MD.
정신이 흐려저 가면서 911을 누르게 되고 실력좋은 응급요원을 간절히 바라지만.
But you get me.
근데 내가 받는거지!
And you listen to the sounds of silence.
그리고 네놈은 아무 소리도 못들을꺼다
Good evening and welcome to: "Spot the TED Presenter Who Used to Be a Broadway Accompanist."
안녕하세요. 좋은 저녁입니다 왕년 브로드웨이 스타의 연주를 보러오신 걸 환영합니다.
When I was offered the Times column six years ago, the deal was like this:
6년 전, 제가 처음 타임스지에 칼럼 기고 의뢰를 받았을 때, 이런 제안을 받았습니다.
you'll be sent the coolest, hottest, slickest new gadgets. Every week, it'll arrive at your door.
당신은 매 주마다 최고로 멋지고 화끈한 새로운 신제품을 받을 겁니다.
You get to try them out, play with them, evaluate them until the novelty wears out, before you have to send them back, and you'll get paid for it.
당신은 제품들을 질릴때까지 써 보고, 갖고 놀고, 평가하고 정해진 때까지 돌려보내면 돈을 받을 거에요.
You can think about it, if you want.
해보고 싶으시면 연락해요."
So, I've always been a technology nut, and I absolutely love it.
전 어릴때부터 과학기술 매니아였습니다. 의뢰를 받고 너무너무 좋았죠.
The job, though, came with one small downside, and that is, they intended to publish my email address at the end of every column.
근데 일을 의뢰 받고 뭐랄까.. 조금 문제가 있었는데, 매 칼럼의 끝부분마다 제 E-Mail 주소를 실어야 하는 것이었습니다.
And what I've noticed is -- first of all, you get an incredible amount of email.
음 그리고 제가 깨달은 것은, 아참, 이렇게 되면 정말 많은 수의 E-Mail 을 받게 됩니다.
If you ever are feeling lonely, get a New York Times column, because you will get hundreds and hundreds and hundreds of emails.
만일 외롭게 느껴진다면 뉴욕타임즈에 칼럼을 한번 써보세요 수백통의 이메일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And the email I'm getting a lot today is about frustration.
제가 요즘 많이 받는 Email은 '좌절' 에 대한 것이 많아요.
People are feeling like things -- Ok, I just had an alarm come up on my screen.
사람들은 요즘 .. 어라. 화면에 경고문이 떴네요.
Lucky you can't see it.
다행히 너는 화면에 볼 수 없어요
People are feeling overwhelmed. They're feeling like it's too much technology, too fast.
그들은 너무 빠르고 많은 기술에 좌절해 있었습니다
It may be good technology, but I feel like there's not enough of a support structure.
좋은 기술일 수도 있지만 제가 보기엔 보조시스템이 너무 부족합니다.
There's not enough help. There's not enough thought put into the design of it to make it easy and enjoyable to use.
배우기 쉽고 쓰기 좋게 만드려는 충분한 도움이나 충분한 고민이 보이지 않습니다.
One time I wrote a column about my efforts to reach Dell Technical Support,
한번은 제가 Dell의 기술 서비스를 받으려고 한 것에 대해 칼럼을 썼습니다.
and within 12 hours, there were 700 messages from readers on the feedback boards on the Times website,
그리고 12시간동안 700개의 독자메세지가 타임즈 웹사이트 피드백 보드에 올라왔죠
from users saying, ""Me too, and here's my tale of woe."
대부분 독자들이 "으악 저두요. 저는요~" 라고 말입니다.
I call it "software rage."
저는 이걸 소프트웨어 분노라고 부릅니다
And man, let me tell you, whoever figures out how to make money off of this frustration will -- Oh, how did that get up there?
그리고 장담하건데, 누구든 이 분노를 해결하는 법을 알면 떼돈을 벌꺼에요.. 엇, 저게 어떻게 떴지?
Just kidding.
농담이에요.
Ok, so why is the problem accelerating?
자, 왜 자꾸 이런 일이 증가할까요?
And part of the problem is, ironically, because the industry has put so much thought into making things easier to use.
우습게도 이런 이유 중 하나는 사업들이 사용하기 쉽게 만들기 위해 너무 많은 생각들을 집어넣는데에 있습니다.
I'll show you what I mean.
무슨 뜻인지 보시죠
This is what the computer interface used to look like, DOS.
이것은 예전에 컴퓨터 UI 가 생겨먹은 모습입니다. DOS죠
Over the years, it's gotten easier to use.
여러 해가 지나고 이것은 사용하기 '쉬워' 집니다
This is the original Mac operating system.
이것은 최초의 MAC OS 입니다.
Reagan was President. Madonna was still a brunette.
레이건이 대통령이었고, 마돈나는 아직 촌스러웠죠.
And the entire operating system -- this is the good part -- the entire operating system fit in 211 k.
그리고 전체 운영 시스템의 용량이 --이게 좋은 부분이에요-- 전체 운영 시스템의 용량이!! 211K 였습니다.
You couldn't put the Mac OS X logo in 211 k!
이젠 Mac OS Logo 10개 조차 넣을 수 없는 용량이죠.
So the irony is, that as these things became easier to use, a less technical, broader audience was coming into contact with
아이러니한 것은, 사용하기 쉬워짐에 따라서 기술적으로 새것을 시도하려는 사용자들이 더 적어진겁니다.
this equipment for the first time.
처음으로 이런 장비를 쓰면서요.
I once had the distinct privilege of sitting in on the Apple call center for a day.
하루는 애플 콜센터 직원체험을 할 특권이 주어진 적이 있습니다.
The guy had a duplicate headset for me to listen to.
직원의 헤드셋과 똑같은 내용을 들을 수 있었죠.
And the calls that -- you know how they say, "Your call may be recorded for quality assurance?" Uh-uh.
그리고 통화 -- 너도 알잖아 그들이 말하는거, "품질보장을 위해 통화내용이 저장될 수 있다고?
Your call may be recorded so that they can collect the funniest dumb user stories and pass them around on a CD.
이게 녹음은 되는데 그래서 그들이 젤 웃기고 멍청한 애들 상담을 녹음해서 CD로 주고받고 들으면서 놀죠
Which they do.
진짜 그렇게 해요.
And I have a copy.
나도 하나 있는데
It's in your gift bag. No, no. With your voices on it!
그 선물상자 열어봐요. 아니아니.. 그 안에 여러분의 얘기가.
So, some of the stories are just so classic, and yet so understandable.
자, 그중에는 클래식하면서도 이해할만한 얘기들이 있죠.
A woman called Apple to complain that her mouse was squeaking.
어떤 여자분이 애플에 전화했습니다.
Making a squeaking noise.
그 여자분의 마우스가 끽끽거린다고 항의를 했죠.
And the technician said, "Well, ma'am, what do you mean your mouse is squeaking?"
그래서 직원은 "무슨뜻이죠? 끽끽거린다니요?" 했지요.
She says, "All I can tell you is that it squeaks louder, the faster I move it across the screen."
그분은 "제가 화면에 대고 빨리 움직일수록 더 끽끽거려요." 라는겁니다.
And the technician's like, "Ma'am, you've got the mouse up against the screen?"
직원왈 "고객님, 마우스를 스크린에 대고 계신다구요?"
She goes, "Well, the message said, 'Click here to continue.'"
그분왈 "계속하려면 여길 클릭하라잖아요?!"
Well, if you like that one -- how much time have we got?
이 얘기가 재밌으시면, 우리 시간 얼마나 있죠?
Another one, a guy called -- this is absolutely true -- his computer had crashed,
다른 얘기예요, 어떤 남자분이 전화를 했습니. --진짜에요. -- 그분의 컴퓨터가 망가졌데요.
and he told the technician he couldn't restart it, no matter how many times he typed "11."
그래서 그는 기술자에게 이야기했죠. 11을 아무리 눌러도 재시작이 안된다는거에요.
And the technician said, "What? Why are you typing 11?"
직원이 물었죠 "왜 11을 치시는데요?"
He said, "The message says, 'Error Type 11.'"
그는 이야기했죠, "에러 TYPE 11 이라잖아요!?"
So, we must admit that some of the blame falls squarely at the feet of the users.
여기서 우리는 사용자들의 잘못이 어느정도 있다는걸 인정해야겠죠.
But why is the technical overload crisis, the complexity crisis, accelerating now?
근데 왜 기술복합적 문제들이 이제서야 폭증하는걸까요?
In the hardware world, it's because we the consumers want everything to be smaller, smaller, smaller.
하드웨어 세상에서 사용자는 작을수록 좋아하죠.
So the gadgets are getting tinier and tinier, but our fingers are essentially staying the same size.
그래서 부품은 점점 작아져요, 그렇지만 손가락크기는 바뀌지 않아요.
So it gets to be more and more of a challenge.
그래서 점점 만들기 힘들어집니다.
Software is subject to another primal force: the mandate to release more and more versions.
또 문제는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너무 많다는거죠.
When you buy a piece of software, it's not like buying a vase or a candy bar, where you own it.
소프트웨어는 한번 사면 끝이 아니에요. 이건 꽃병이나 캔디바를 사먹는 것하곤 달라요.
It's more like joining a club, where you pay dues every year, and every year, they say, "We've added more features, and we'll sell it to you for $99."
그건 연회비를 내는 클럽에 가입하는 것 같죠. 그리고 매 년, '기능을 더했으니 99달러에 사세요' 라는거죠.
I know one guy who's spent $4,000 just on Photoshop over the years.
제가 아는 지인은 몇년동안 포토샵 하나에 4천달러를 썼습니다.
And software companies make 35 percent of their revenue from just these software upgrades.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이 업그레이드로 35%의 수익을 내죠. 단지 이 업그레이드를 통해 말입니다.
I call it the Software Upgrade Paradox
저는 이것을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패러독스."라고 부릅니다.
which is that if you improve a piece of software enough times, you eventually ruin it.
이것은 소프트웨어를 계속 발전시키면서 결국 그 프로그램을 망친다는거죠.
I mean, Microsoft Word was last just a word processor in, you know, the Eisenhower administration.
MS Word는 옛적엔 그저 Word Processor 였어요. 아이젠하워가 통치할때려나요?
But what's the alternative?
그럼 대안은 뭘까요?
Microsoft actually did this experiment.
MS는 실제 실험을 해봤어요.
They said, "Well, wait a minute. Everyone complains that we're adding so many features. Let's create a word processor that's just a word processor:
"잠깐만. 모두들 기능추가가 너무 많다고 불만인데 한번 달랑 Word Processor 기능만 살려보자.
Simple, pure; does not do web pages, is not a database."
단순하고-순수하고, 웹페이지나 데이터베이스 기능 없도록"
And it came out, and it was called Microsoft Write.
나왔습니다. MS Write가 출시됐어요.
And none of you are nodding in acknowledgment, because it died. It tanked.
아무도 끄덕이지 않네요. 망했거든요!
No one ever bought it.
아무도 안샀어요.
I call this the Sport Utility Principle.
전 이걸 '만능보조'원리라고 합니다.
People like to surround themselves with unnecessary power, right?
사람들은 필요없는 능력을 갖길 원하는거예요. 그쵸?
They don't need the database and the website,
그들은 데이타베이스나 웹사이트 기능따위 필요없어요.
but they're like, "Well, I'll upgrade, because, I might, you know, I might need that someday."
그렇지만 그들은 원해, "음..업그레이드 할래. 언젠간 필요할지도 모르니까"
So the problem is: as you add more features, where are they going to go? Where are you going to stick them? You only have so many design tools.
그래서 문제는 새 기능을 더하면 어딜 가냐는거죠. 어디가져다 붙일까요? 이미 디자인툴이 너무 많아요.
You can do buttons, you can do sliders, pop-up menus, sub-menus.
버튼도 할 수 있고 클릭하면 목록이 뜨고 팝업메뉴, 고급기능도 따로있죠.
But if you're not careful about how you choose, you wind up with this.
근데 잘못하면 이렇게 되버려요.
This is an un-retouched -- this is not a joke -- un-retouched photo of Microsoft Word, the copy that you have, with all the toolbars open.
장난이 아니에요. 이건 수정하지 않은 MS워드의 사진입니다 갖고계신 워드의 툴바를 전부 그대로 열면 이렇게됩니다.
You've obviously never opened all the toolbars, but all you have to type in is this little, teeny window down here.
다들 툴바를 몽땅 열어보진 않으셨나보군요. 입력할 수 있는 곳은 이 쪼끄만 창 뿐이에요.
And we've arrived at the age of interface matrices,
우리는 인터페이스 매트릭스 시대에 왔어요.
where there are so many features and options, you have to do two dimensions,
기능이 너무 많아서 두 차원을 사용해야 합니다.
you know: a vertical and a horizontal.
너도 알다시피 가로세로로 기능을 나열해야하죠.
You guys all complain about how Microsoft Word is always bulleting your lists and underlining your links automatically.
MS Word에서 자동링크밑줄과 숫자번호가 절로 뜬다는 불평이 많아요.
The off switch is in there somewhere.
그 기능 삭제도 저기 어딘가에서 할 수 있어요.
I'm telling you -- it's there.
저기 있긴해요.
Part of the art of designing a simple, good interface, is knowing when to use which one of these features.
편리하고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작업은 언제 어떤걸 사용하는지 아느냐가 관권이죠.
So, here is the log-off dialogue box for Windows 2000.
윈도우 2000의 로그오프 대화창입니다.
There are only four choices, so why are they in a pop-up menu?
4개의 옵션밖에 없죠. 근데 왜 pop-up 메뉴로 뜨죠??
It's not like the rest of the screen is so full of other components that you need to collapse the choices.
스크린이 다른것들로 꽉차서 리스트를 숨겨야되는 것도 아닌데요.
They could have put them all out in view.
한눈에 옵션들이 다 들어오게 할 수도 있죠.
Here's Apple's take on the exact same dialogue box.
똑같은 옵션들을 가진 애플의 대화창입니다.
Thank you -- yes, I designed the dialogue box.
감사합니다. 그래요, 제가 디자인 했습니다.
No, no. Already, we can see that Apple and Microsoft have a severely divergent approach to software design.
우린 벌써 MS와 Apple이 매우 다른 디자인 접근을 한다는걸 알았습니다.
Microsoft's approach to simplicity tends to be: let's break it down; let's just make it more steps.
MS는 단순함을 강조하며 잘게 쪼개길 좋아해서 단계가 많죠.
There are these "wizards" everywhere.
Wizard가 너무 많아요.어디에나 있죠.
And you know, there's a new version of Windows coming out this fall.
이번 가을에 새 버젼의 윈도우가 출시되는 걸 알거야.
If they continue at this pace, there's absolutely no telling where they might wind up.
만약 이 추세를 따랐으면 사용자에게 다음단계에 어떻게 될지 알려주지 않죠.
[Welcome to the Type a Word Wizard]
"Welcome to the Type a Word Wizard." Ok, I'll bite.
'Type a Word Wizard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Let's click "Next" to continue.
좋아.. 계속하기위해 'Next'를 눌러봅시다.
From the drop-down menu, choose the first letter you want to type. Ok.
'드롭다운 메뉴에서 첫번째로 쓰고싶은 스펠링을 고르세요.'
So there is a limit that we don't want to cross.
하는데 한계가 있죠!
So what is the answer?
그럼 답은 뭐죠?
How do you pack in all these features in a simple, intelligent way?
어떻게 간단하고 영리하게 이 기능들을 포장할 수 있을까요?
I believe in consistency, when possible, real-world equivalents, trash can folder, when possible, label things, mostly.
가능할때 일관적인 구성이 가능할 것이구요, 휴지통과 폴더처럼 리얼하게, 적절히 제목달기. 레이블을 달 수도 있고.
But I beg of the designers here to break all those rules if they violate the biggest rule of all, which is intelligence.
하지만 여기 있는 디자이너들에게 바랍니다. 이 법칙들을 다 깨버리세요! 가장 중요한 Intelligence를 어긴다면요.
Now what do I mean by that?
무슨뜻일까요?
I'm going to give you some examples where intelligence makes something not consistent, but it's better.
예를 들면 영리하면서 일관되진 않지만 훨씬 좋을 수 있죠.
If you are buying something on the web, you're supposed to put in your address, and you're supposed to choose what country you're from, ok?
인터넷 쇼핑을 한다고 합시다. 주소를 입력하고 나라선택을 하죠. 맞죠?
There are 200 countries in the world.
세계에는 200개의 나라가 있습니다.
We like to think of the Internet as a global village.
우린 인터넷을 글로벌세상이라고 부르죠.지만 아직은 아니예요.
I'm sorry; it's not one yet.
미안하지만, 아직은 아니예요.
It's mainly like,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대충 미국 유럽 일본정도 되죠.
So why is "United States" in the "U"s?
왜 미국(USA)이 U에 있는거죠?
You have to scroll, like, seven screensful to get to it.
7번정도 스크롤해야 나와요.
Now, it would be inconsistent to put "United States" first, but it would be intelligent.
미국은 맨 처음에 두면 일관성은 없지만 영리한거죠.
This one's been touched on before, but why in God's name do you shut down a Windows PC by clicking a button called "Start?"
이건 이슈된적이 있지만 도대체 왜 컴퓨터를 끄려는데 누르는 버튼은 '시작' 인거죠?
Here's another pet one of mine: you have a printer.
또 다른 얘기 하나 더 해볼까요? 프린터들 있죠.
Most of the time, you want to print one copy of your document, in page order, on that printer.
보통 프린트하면 연결된 프린터에 한장씩 순서대로 하려는거죠.
So why in God's name do you see this every time you print?
도대체 왜! 프린트 하려고 할때마다 이걸 봐야되는거죠?
It's like a 747 shuttle cockpit.
마치 747조종석처럼 복잡해요!
And one of the buttons at the bottom, you'll notice, is not "Print."
그리고 맨 아래 버튼은 '프린트'가 아니잖아요!
Now, I'm not saying that Apple is the only company who has embraced the cult of simplicity.
Apple만이 단순함의 미학을 적용시켰다는 건 아닙니다.
Palm is also, especially in the old days, wonderful about this.
Palm도 예전엔 대단했죠.
I actually got to speak to Palm when they were flying high in the '90s, and after the talk, I met one of the employees.
Palm이 잘나가던 90년대에 직접 대화해본 적이 있습니다. 후에 직원 하나를 만났죠.
He says, "Nice talk."
그가 말했어요 "잘 얘기 했어요"
And I said, "Thank you. What do you do here?"
그래서 전 "고맙습니다. 어떤 일을 하시나요?"
He said, "I'm a tap counter."
그는 자신이 '탭카운터'라고 했습니다.
I'm like, "You're a what?"
저는 다시 물어 봤어요 '뭐라구요?'
He goes, "Well Jeff Hawkins, the CEO, says, 'If any task on the Palm Pilot takes more than three taps of the stylus, it's too long, and it has to be redesigned.'
CEO 제프 호킨스가 '터치 세번으로 어떤 임무든 완료되지 않으면 너무 길다' 며 다시 디자인을 시킨답니다.
So I'm the tap counter."
그래서 탭카운터랍니다.
So, I'm going to show you an example of a company that does not have a tap counter.
여기 탭카운터가 없는 회사를 한 번 보시죠.
This is Microsoft Word.
MS Word 입니다.
Ok, when you want to create a new blank document in Word -- it could happen.
여기에서 새문서를 만들려면, 그럴수도 있죠?
You go up to the "File" menu and you choose "New."
파일메뉴로 가서 새문서를 택합니다.
Now, what happens when you choose "New?" Do you get a new blank document?
어떻죠? 그러면 새문서가 뜨나요?
You do not.
아뇨!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nitor, a task bar appears, and somewhere in those links -- by the way, not at the top -- somewhere in those links is a button that makes you a new document.
반대쪽 스크린에 나타난 리스트 속 어딘가에 task bar 가 나타나고 맨 위도 아닌 어딘가에 새로운 문서 만들기가 있죠.
Ok, so that is a company not counting taps.
이 회사는 확실히 탭수를 세지 않는 회사입니다.
You know, I don't want to just stand here and make fun of Microsoft ... Yes, I do.
여기에 서서 그저 MS를 놀리고만 싶진 않아요.
The Bill Gates song!
빌게이츠 노래입니다.
I've been a geek forever and I wrote the very first DOS.
난 항상 컴퓨터 광이었어 난 최초 DOS를 만들었지.
I put my software and IBM together;
난 내 소프트웨어랑 IBM을 합쳤지
I got profit and they got the loss.
난 이익을 보고 걔넨 손해를 봤지
I write the code that makes the whole world run. I'm getting royalties from everyone.
난 세상이 돌아가게 코드를 만들고 세상 모든 사람들에게 로열티를 받지.
Sometimes it's garbage, but the press is snowed.
가끔은 진짜 별로인데도 기자들은 극찬해
You buy the box; I'll sell the code.
넌 박스를 사고 난 코드를 팔고
Every software company is doing Microsoft's R&D.
모든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MS 연구개발을 하지
You can't keep a good idea down these days.
요즘은 본받을만한 아이디어가 없어
Even Windows is a hack.
윈도우즈도 너무 후져.
We're kind of based loosely on the Mac.
그저 대충 맥을 따라했을뿐이야
So it's big, so it's slow. You've got nowhere to go.
크고 느리고 진전도 없고.. 갈데도없고
I'm not doing this for praise.
칭찬하는건 아니야
I write the code that fits the world today.
난 요즘세상에 맞는 코드를 만들었어
Big mediocrity in every way.
중간정도 수준으로 모두에게 말이야
We've entered planet domination mode.
우린 지금 지구정복 모드야
You'll have no choice; you'll buy my code.
너넨 내 코드를 살 수 밖에 없어
I am Bill Gates and I write the code.
난 빌게이츠, 난 코드를 만들어
But actually, I believe there are really two Microsofts.
하지만 사실 전 두개의 MS가 있다고 봅니다.
There's the old one, responsible for Windows and Office.
윈도우즈와 오피스 구형에 책임이 있는 구MS가 하나 있구요,
They're dying to throw the whole thing out and start fresh, but they can't.
그들은 모든 것을 넘어 새로 시작하고 싶어하죠. 하지만 할수 없어요.
They're locked in, because so many add-ons and other company stuff locks into the old 1982 chassis.
그들은 묶여있어요. 82년 본체에 맞게 더해지고 맞춰진 타사 제품이 너무 많기 때문이죠.
But there's also a new Microsoft, that's really doing good, simple interface designs.
하지만 새로운 MS도 있죠. 좋고 단순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합니다.
I liked the Media Center PC. I liked the Microsoft SPOT Watch.
미디어쎈터 PC, 무선 SPOT 시계는 참 좋아요.
The Wireless Watch flopped miserably in the market, but it wasn't because it wasn't simply and beautifully designed.
SPOT 시계는 시장에서 쓴 맛을 봤지만 디자인 때문은 아니었어요.
But let's put it this way: would you pay $10 a month to have a watch that has to be recharged every night like your cell phone, and stops working when you leave your area code?
근데,, 매달 10달러를 내고, 휴대폰처럼 매일 충전해야하고, 지역범위를 벗어나면 멈추는 시계를 사겠어요?
So, the signs might indicate that the complexity crunch is only going to get worse.
자, 이런 복잡한 문제들은 악화될 뿐임을 알수있죠.
So is there any hope?
희망이 있을까요?
The screens are getting smaller, people are illuminating, putting manuals in the boxes, things are coming out at a faster pace.
스크린은 작아지고 메뉴얼의 양엔 한계가 있고 세계는 빨라지고 있죠.
It's funny -- when Steve Jobs came back to Apple in 1997, after 12 years away, it was the MacWorld Expo -- he came to the stage in that black turtleneck and jeans, and he sort of did this.
재밌는건, 스티브잡스가 1997년, 12년만에 애플로 돌아와서, 맥월드 엑스포였죠 청바지와 검은 터틀넥을 입고는 대형 프리젠테이션을 했죠.
The crowd went wild, but I had just seen -- I'm like, where have I seen this before?
관중은 열광했어요. 손을 뻣은 그의 모습은 제게 데자부였어요.
I had just seen the movie "Evita" -- with Madonna, and I'm like, you know what?
뭐였더라.. 에비타였죠. 마돈나 주연.
I've got to do one about Steve Jobs.
스티브잡스에 대해 한 곡 해야겠어요.
It won't be easy.
쉽지않을꺼란거 알아.
You'll think I'm strange.
내가 이상해보이지?
When I try to explain why I'm back, after telling the press Apple's future is black.
애플의 미래가 캄캄하다고 기자들에게 말하고 내가 돌아온걸 설명하려면
You won't believe me. All that you see is a kid in his teens who started out in a garage with only a buddy named Woz.
날 안믿을껄 넌 차고에서 사업을 시작한 십대소년과 친구 Woz를 떠올릴뿐이겠지.
You try rhyming with garage!
Garage로 라임맞추기가 얼마나 어려운데요!
Don't cry for me, Cupertino.
나를 위해 울지 마오, Cupertino여.
The truth is, I never left you.
난 사실 떠난 적 없어요
I know the ropes now, know what the tricks are.
이제 사는 요령과 트릭을 알았어요.
I made a fortune over at Pixar.
픽사로 돈도 좀 벌었다구요
Don't cry for me, Cupertino.
울지말아요 쿠퍼티노~
I've still got the drive and vision.
난 아직 꿈이 있어요~
I still wear sandals in any weather.
난 아직도 항상 샌들만 신어요
It's just that these days, they're Gucci leather.
이제는 그게 구찌 가죽샌들일 뿐이죠.
So Steve Jobs had always believed in simplicity and elegance and beauty.
스티브잡스는 항상 심플함과 우아한 아름다움을 추구했죠.
And the truth is, for years I was a little depressed,
사실, 전 몇년동안 우울했었어요.
because Americans obviously did not value it,
미국 사람들은 그런 미를 존중하지 않았죠.
because the Mac had three percent market share, Windows had 95 percent market share --
시장 점유율이 맥은 3%, 윈도우즈는 95% 였죠.
people did not think it was worth putting a price on it.
사람들은 맥이 가격만한 가치가 없다고 생각한거에요.
So I was a little depressed. And then I heard Al Gore's talk, and I realized I didn't know the meaning of depressed.
그래서 좀 우울하긴 했는데 앨고어의 이야기를 듣고 보니 제가 우울함의 뜻을 모르고 있던거더군요
But it turns out I was wrong, right?
근데 제가 틀렸습니다.
Because the iPod came out, and it violated every bit of common wisdom.
아이팟이 나왔기 때문이죠 일반적인 틀을 모두 깬 것이었죠.
Other products cost less; other products had more features, they had voice recorders and FM transmitters.
다른제품들은 가격도 낮았고 녹음과 라디오 기능도 있고 MS와 호환도 됐죠.
The other products were backed by Microsoft, with an open standard, not Apple's propriety standard.
MS와 호환도 됐죠. 애플의 표준과 관계 없게요.
But the iPod won -- this is the one they wanted.
하지만 아이팟이 이겼죠! 이거였어요.
The lesson was: simplicity sells.
우리는 단순함은 잘 팔린다는 교훈을 얻었죠.
And there are signs that the industry is getting the message.
그리고 사업 전반에서 이 메세지를 따르고 있는 신호가 있습니다.
This is a little company that's done very well with simplicity and elegance.
단순함과 엘레강스함을 표현하려는 작은 기업들이 있어요
The Sonos thing -- it's catching on.
Sonos 도 잘 하고 있구요
I've got just a couple examples.
제가 직접 몇가지 제품들을 가져와봤어요
Physically, a really cool, elegant thinking coming along lately.
아주 쿨하고 우아한 최신 제품입니다.
When you have a digital camera, how do you get the pictures back to your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사용시 사진들을 컴퓨터로 어떻게 가져오죠?
Well, you either haul around a USB cable, or you buy a card reader and haul that around.
USB코드나 카드 리더를 갖고 다녀야하죠
Either one, you're going to lose.
그것들은 잃어버릴 수 있죠.
What I do is, I take out the memory card, and I fold it in half, revealing USB contacts.
저는 메모리카드를 반으로 접습니다. USB 연결부분이 드러나게요.
I just stick it in the computer, offload the pictures, put it right back in the camera.
바로 사진을 옮기고 카메라에 돌려놔요
I never have to lose anything.
아무것도 잃어버릴 걱정이 없죠
Here's another example.
또 다른 예가 있죠.
Chris, you're the source of all power.
크리스씨 전력담당을 부탁드립니다.
Will you be my power plug?
이것좀 잡아주시겠어요?
Chris Anderson: Oh yeah.
좋아요.
DP: Hold that and don't let go.
잡고 놓지 말아주세요.
You might've seen this, this is Apple's new laptop.
여러분은 보셨을지도 몰라요. 이건 애플의 새 노트북이예요.
This the power cord. It hooks on like this.
파워코드가 이렇게 연결되죠.
And I'm sure every one of you has done this at some point in your lives, or one of your children. You walk along
이런경험들 꼭 있으실 꺼에요. 애들이 놀다가 선이 있는데로 지나가죠.
I don't care. It's a loaner.
상관없어요. 대출이니깐
Here we go. Whoa! It's magnetic -- it doesn't pull the laptop onto the floor.
갑니다.. 와! 자석이에요. 노트북을 바닥에 떨어뜨릴 일이 없습니다.
In my very last example -- I do a lot of my work using speech recognition software.
마지막 예를 들죠. 저는 음성인식소프트웨어를 많이 사용해요
And I'll just -- you have to be kind of quiet because the software is nervous.
좀 조용히 해주셔야해요. 얘가 좀 예민해서요.
Speech recognition software is really great for doing emails very quickly; period.
음성인식 소프트웨어는 이메일을 빨리 보내는데 매우 좋다 마침표.
Like, I get hundreds of them a day; period.
하루에 수백개씩 수 있다 마침표.
And it's not just what I dictate that it writes down; period.
그저 받아 적는 것 뿐만 아니라 마침표.
I also use this feature called voice macros; period.
음성 매크로에도 사용한다.마침표.
Correct "dissuade." Not "just." Ok, this is not an ideal situation,
"dissuade" 를 "not just"로 수정. 지금 소리가 울리고 그래서 완벽하진 않네요
because it's getting the echo from the hall and stuff.
지금 소리가 울리고 그래서 완벽하진 않네요
The point is, I can respond to people very quickly by saying a short word, and having it write out a much longer thing.
저의 요점은 조금만 말해도 길게 써서 답을 보낼 수 있다는거죠.
So if somebody sends me a fan letter, I'll say, "Thanks for that."
예를 들어 누가 팬레터를 보내면, "참 고마워요"
[Thank you so much for taking the time to write ...]
화면: 시간내서 보내준것 고마워요.
And conversely, if somebody sends me hate mail -- which happens daily -- I say, "Piss off."
반대로 누군가가 나를 미워하는 메일을 보내서 "꺼져"라고 말합니다.
[I admire your frankness ...]
화면: 나는 당신의 솔직함을 존경합니다
So that's my dirty little secret. Don't tell anyone.
이건 제 비밀입니다. 말하지 마세요.
So the point is -- this is a really interesting story.
제 요점은, 이건 정말 재밌는 이야긴데...
This is version eight of this software, and do you know what they put in version eight?
이건 버전 8 소프트웨어 입니다 버전 8에 뭐가 들어갈까요?
No new features.
새로운 기능이 없어요!
It's never happened before in software!
소프트웨어에서 이런일은 없었죠
The company put no new features.
회사는 새로운 기능을 넣지 않았습니다.
They just said, "We'll make this software work right." Right?
그저 소프트웨어가 기능을 제대로 하게만 만든댔죠.
Because for years, people had bought this software, tried it out -- 95 percent accuracy was all they got,
몇년전 이 소프트웨어 사용자들은 95% 정확성밖에 얻지 못했어요.
which means one in 20 words is wrong -- and they'd put it in their drawer.
20단어에 한개는 틀린 꼴이죠. 그래서 서랍에 넣고 안썼죠.
And the company got sick of that, so they said, "This version, we're not going to do anything, but make sure it's darned accurate."
회사는 이것에 질려서 새로운 기능 없이 확실히 작동만 제대로 하게 고친거죠.
And so that's what they did.
그래서 그렇게 했습니다.
This cult of doing things right is starting to spread.
이런 움직임이 퍼지기 시작했어요.
So, my final advice for those of you who are consumers of this technology:
사용자에게 드리는 제 마지막 충고는
remember, if it doesn't work, it's not necessarily you, ok?
뭔가 작동이 안되는 것이 꼭 당신 잘못은 아니에요.
It could be the design of the thing you're using.
잘못된 것이 제품의 디자인일 수도 있습니다.
Be aware in life of good design and bad design.
좋고 나쁜 디자인을 알아볼 줄 알아야해요.
And if you're among the people who create this stuff:
소프트웨어를 만드시는 분들!
Easy is hard.
쉽게 만들기는 어려워요.
Pre-sweat the details for your audience.
사용자들이 겪기 전에 세세히 체크하세요,
Count the taps.
탭 수를 세보세요.
Remember, the hard part is not deciding what features to add, it's deciding what to leave out.
어떤 기능을 더할지가 아니라 무엇을 뺄 것인지 생각하세요.
And best of all, your motivation is: simplicity sells.
무엇보다 중요한것은: 단순함은 잘 팔립니다.
CA: Bravo.
브라보!
DP: Thank you very much.
감사합니다.
'TED > TED2006'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D(Julia Sweeney)] 쥴리아 스위니 - 하느님을 보내드리기(내가 느끼는 하느님) (0) | 2020.06.13 |
---|---|
[TED(Hans Rosling) 한스 로슬링 - 이제껏 보지 못했던 최고의 통계] (0) | 2020.06.06 |
[TED(Sir Ken Robinson)] 켄 로빈슨 - 학교가 창의력을 죽인다 (1) | 2020.05.30 |
[TED(Majora Carter)] 마조라 커터 - 도시 재개발 이야기 (0) | 2020.05.30 |
[TED(Al Gore)] 앨 고어-기후 변화 위기를 막으려면 (0) |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