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e been at MIT for 44 years. 

저는 44년간 MIT에 있었습니다.



I went to TED I. 

TED 1에 갔었죠.



There's only one other person here, I think, who did that. 

여기에서 그렇게 했던 사람은 한 명밖에 더 없는 것 같네요.



All the other TEDs -- and I went to them all, under Ricky's regime -- 

다른 모든 TED인들에게 -- 제가 그들 모두에게 갔었죠. 릭키가 맡던 때에요.--



I talked about what the Media Lab was doing, which today has almost 500 people in it. 

제가 미디어 실험실에서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지금은 미디어 실험실에 거의 500명이 있죠.



And if you read the press, last week it actually said I quit the Media Lab. 

신문 기사를 읽으셨을지 모르지만, 제가 지난 주에 미디어 랩을 그만 두었다고 하더군요.



I didn't quit the Media Lab, I stepped down as chairman -- 

미디어 랩을 그만둔게 아니고, 학장직에서 물어났습니다 --



which was a kind of ridiculous title, but someone else has taken it on -- 

저에게는 어울리지 않은 직책인데, 다른 사람이 대신 맡게 되었습니다.



and one of the things you can do as a professor is you stay on as a professor. 

교수로서 할 수 있는 일들 중 한 가지는 그저 교수로서 머무는 것입니다.



And I will now do for the rest of my life the One Laptop Per Child, 

저는 이제 어린이 한 명당 노트북 한 대 운동에 남은 인생을 보내려 합니다. 



which I've sort of been doing for a year and a half, anyway. 

전 이 일을 이미 일 년 반 동안 진행해왔죠.



So I'm going to tell you about this, 

저는 여러분께 이 운동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려 합니다.



use my 18 minutes to tell you why we're doing it, how we're doing it and then what we're doing. 

제가 맡은 18분간 왜 이 일을 하고 있고, 어떻게 하고 있고, 또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And at some point I'll even pass around what the $100 laptop might be like. 

그리고 강연 중간에 100달러 노트북이 어떤 모습일지 보여드리겠습니다. 



I was asked by Chris to talk about some of the big issues, 

크리스가 저에게 몇 가지 큰 이슈들에 대해 이야기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and so I figured I'd start with the three that at least drove me to do this. 

 저는 이 일을 하게 된 최소 3가지로 시작해야 겠다고 생각했죠.



And the first is pretty obvious. 

첫 번째는 꽤 명확했습니다.



It's amazing when you meet a head of state, and you say, "What is your most precious natural resource?" 

여러분이 대통령을 만난다면, 한 번 이렇게 물어보세요.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천연 자원은 무엇입니까?"



They will not say "children" at first, and then when you say, "children," they will pretty quickly agree with you. 

대통령들은 어린이를 가장 먼저 말하지는 않더라도 여러분들이 어린이라고 말한다면 재빨리 그 의견에 동의 할겁니다.



And so that isn't very hard. 

첫 번째로 어린이를 꼽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Everybody agrees that whatever the solutions are to the big problems, they include education, 

큰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이 무엇이든지간에 교육이 포함되고,



sometimes can be just education and can never be without some element of education. 

어쩌면 해결책 자체가 교육일 수도 있겠지만, 교육의 일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는 없다는 데에는 모두가 동의할 것입니다.



So that's certainly part of it. 

교육도 확실히 그 3개 중 하나입니다. 



And the third is a little bit less obvious. 

세 번째는 좀 명확하지 않습니다.



And that is that we all in this room learned how to walk, 

이 방 안에 있는 우리 모두는 걷는 방법, 말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how to talk, not by being taught how to talk, or taught how to walk, 

말하는 법이나 걷는 법을 누가 가르쳐줘서가 아니라



but by interacting with the world, 

세상과 상호작용하면서 배웠죠.



by having certain results as a consequence of being able to ask for something, 

무언가에 대해 요구를 한 결과로 특정한 성과를 얻거나,



or being able to stand up and reach it. 

일어서서 어딘가에 닿게 되면서 배우게 됩니다.



Whereas at about the age six, we were told to stop learning that way, 

반면 6살 정도가 되면, 사람들은 우리에게 그런 식의 학습을 그만 두라고 합니다.



and that all learning from then on would happen through teaching, 

모든 학습은 가르침을 통해 이루어지죠. 



whether it's people standing up, like I'm doing now, or a book, or something. 

제가 지금 하는 것처럼 앞에 서서 말하는 사람이라든지, 책이나 다른 어떤 것을 통해 학습하죠.



But it was really through teaching. 

실제로 가르침을 받게 됩니다.



And one of the things in general that computers have provided to learning is that it now includes a kind of learning which is a little bit more like walking and talking,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학습과 관련된 것들은 이제 걷고 말하는 것 이상의 학습 종류를 포괄합니다. 



in the sense that a lot of it is driven by the learner himself or herself. 

많은 것들이 학습자 자신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측면에서 말이죠. 



So with those as the principles -- some of you may know Seymour Papert. 

이런 원칙들을 생각하면서 -- 여러분들 중 시모어 페퍼트를 아시는 분이 계실텐데요,



This is back in 1982, when we were working in Senegal. 

982년에 있었던 일입니다. 저희가 세네갈에서 일하던 시절이죠.



Because some people think that the $100 laptop just happened a year ago, 

어떤 분들은 100달러짜리 노트북이 작년에 일어난 걸로 생각하실 겁니다.



or two years ago, or we were struck by lightning -- 

아니면 재작년, 아니면 저희가 갑자기 만들어 낸 것처럼 생각하시겠죠.



this actually has gone back a long time, and in fact, back to the '60s. Here we're in the '80s. 

이 일은 사실 오래 전부터였습니다. 실은 60년대부터죠. 이건 80년대입니다.



Steve Jobs had given us some laptops. 

스티브 잡스가 저희에게 노트북을 몇 대를 기부했습니다.



We were in Senegal. 

저희는 세네갈에 있었죠.



It didn't scale but it at least was bringing computers to developing countries and learning pretty quickly that these kids, 

규모가 크지는 않았지만, 최소한 개발도상국에도 컴퓨터가 보급되었고, 이 아이들은 컴퓨터를 꽤 빨리 배웠습니다.



even though English wasn't their language, 

영어가 모국어가 아니었는데도 말이죠.



the Latin alphabet barely was their language, 

알파벳은 그 아이들의 언어와는 전혀 달랐지만, 



but they could just swim like fish. 

아이들은 물 만난 물고기처럼 헤엄칠 수 있었습니다.



They could play these like pianos. 

아이들은 컴퓨터를 피아노처럼 다뤘죠. 



A little bit more recently, I got involved personally. 

저는 이보다 좀 더 후에 개인적으로 참여했습니다.



And these are two anecdotes -- 

두 가지 일화가 있습니다 -- 



one was in Cambodia, in a village that has no electricity, no water, no television, no telephone, 

하나는 캄보디아에서였죠. 전기도, 수도도, 텔레비전도, 전화도 없는 마을이었지만,



but has broadband Internet now. 

지금은 광역 인터넷이 연결되었습니다. 



And these kids, their first English word is "Google" and they only know Skype. 

아이들이 제일 먼저 알게 된 영어 단어는 "구글"이고, 오로지 스카이프만 압니다.



They've never heard of telephony. 

전화에 대해 들어본 적도 없으면서요.



They just use Skype. 

네, 그냥 스카이프를 사용하는 거죠.



And they go home at night -- they've got a broadband connection in a hut that doesn't have electricity. 

 아이들이 저녁에 집에 돌아옵니다; 인터넷 연결을 하죠.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오두막집에서요.



The parents love it, because when they open up the laptops, it's the brightest light source in the house. 

부모들도 이걸 좋아하는데, 아이들이 노트북을 켜는 게 집안에 가장 밝은 조명이기 때문입니다.



And talk about where metaphors and reality mix -- this is the actual school. 

이런 비유와 현실이 섞인 곳에 대해 말하자면 -- 이건 실제 학교입니다. 






In parallel with this, Seymour Papert got the governor of Maine to legislate one laptop per child in the year 2002. 

이와 동시에, 시모아 페퍼트는 메인 주지사가 되자 2002년에 어린이 한 명당 노트북 한 대 법규를 제정합니다.



Now at the time, I think it's fair to say that 80 percent of the teachers were -- 

그 때 당시에는, 80퍼센트의 교사들이 --



let me say, apprehensive. 

말하자면, 걱정스러워했던 것이 당연했습니다.



Really, they were actually against it. 

정말로, 교사들이 반대를 했었죠.



And they really preferred that the money would be used for higher salaries, more schools, whatever. 

교사들은 차라리 그 돈을 월급을 올리거나, 학교를 더 짓거나 하는데 쓰길 바랐습니다.



And now, three and a half years later, guess what? 

이제 3년 6개월이 지났습니다. 어떻게 되었을까요? 



They're reporting five things: drop of truancy to almost zero, attending parent-teacher meetings -- 

5가지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무단결석률이 거의 0%로 떨어졌고, 학부모 간담회에도 --



which nobody did and now almost everybody does -- 

아무도 참석하지 않았었는데 이제 거의 모두가 참석합니다 --



drop in discipline problems, increase in student participation. 

징계 문제들도 줄었고, 학생 참여는 증가하였습니다.



Teachers are now saying it's kind of fun to teach. 

교사들은 이제 가르칠 맛이 난다고 말합니다.



Kids are engaged -- they have laptops! -- 

아이들도 열심히 참여하죠. 아이들에게는 노트북이 있습니다.



and then the fifth, which interests me the most, 

다섯 번째는, 제가 가장 관심있는 것인데요,



is that the servers have to be turned off at certain times at night 

밤에는 어느 시간부터는 서버를 꺼둬야 한다는 것입니다.



because the teachers are getting too much email from the kids asking them for help. 

교사들이 이메일을 너무 많이 받아서요. 아이들이 도움을 요청하는 이메일이요. 



So when you see that kind of thing -- this is not something that you have to test. 

이런 것들을 볼 때, 이건 그저 테스트해봐야 할 일은 아닙니다.



The days of pilot projects are over, when people say, 

파일럿 테스트 기간이 끝났을 때, 사람들이 말하더군요.



"We'd like to do three or four thousand in our country to see how it works." 

"우리 나라 3-4천명에게 테스트하면 어떻게 될런지 보고 싶습니다."



Screw you. 

까짓 것.



Go to the back of the line and someone else will do it, 

그럼 다시 처음부터 돌아가면 다른 누군가가 또 할 거고,



and then when you figure out that this works, you can join as well. 

제대로 되는걸 보면 그때 참여하시겠군요.



And this is what we're doing. 

그래서 저희가 이걸 하고 있는 겁니다.



So, One Laptop Per Child was formed about a year and a half ago. 

어린이 한 명당 노트북 한 대 운동은 약 일 년 반 전에 결성되었습니다.



It's a nonprofit association. 

이건 비영리 단체입니다.



It raised about 20 million dollars to do the engineering to just get this built, and then have it produced afterwards. 

약 2천만 달러의 기금을 모았습니다. 개발자들을 참여시키고 노트북을 만들게 하기 위해서요.



Scale is truly important. 

규모는 진짜로 중요합니다.



And it's not important because you can buy components at a lower price, OK? 

저가로 부품을 살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그렇죠?



It's because you can go to a manufacturer -- and I will leave the name out -- 

생산자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생산자 이름은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but we wanted a small display, doesn't have to have perfect color uniformity. 

다만 작은 디스플레이었으면 했고, 완벽하게 색깔이 균일할 필요도 없었습니다.



It can even have a pixel or two missing. It doesn't have to be that bright. 

한 두 픽셀 정도가 불량이어도 괜찮고, 그렇게 밝을 필요도 없었습니다.



And this particular manufacturer said, "We're not interested in that. We're interested in the living room. 

이 생산자가 이렇게 말하더군요. "음, 저희는 그 일에 관심이 없습니다. 저희는 거실에 관심이 있죠.



We're interested in perfect color uniformity. 

저희는 완벽한 색깔의 균일성에 관심이 있습니다.



We're interested in big displays, bright displays. You're not part of our strategic plan." 

저희는 크고, 밝은 디스플레이에 관심이 있구요. 당신들은 우리의 전략 계획과 맞지 않네요."



And I said, "That's kind of too bad, because we need 100 million units a year." 

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런, 너무 안됐군요, 저희는 한 해에 1억 대가 필요하거든요."



And they said, "Oh, well, maybe we could become part of your strategic plan." 

그랬더니 이렇게 얘기했죠, "아, 아마도 우리가 당신들의 전략 계획과 맞을 수도 있겠어요."



And that's why scale counts. 

이래서 규모가 중요합니다.



And that's why we will not launch this without five to 10 million units in the first run. 

이래서 저희가 초기에 5백만~천만 대 이상이 아니면 노트북을 출시할 수 없다는 겁니다.



And the idea is to launch with enough scale that the scale itself helps bring the price down, 

이 계획은 충분한 규모로 제품을 출시해서 규모 자체로 가격을 낯추자는 것이죠.



and that's why I said seven to 10 million there. 

그래서 제가 7백만~천만 대를 말씀드린 것입니다.



And we're doing it without a sales-and-marketing team. 

저희는 영업이나 마케팅 팀없이 이 일을 하고 있습니다.



I mean, you're looking at the sales-and-marketing team. 

제 말뜻은, 여러분들이 영업이나 마케팅 팀을 보시는 것 같아서요.



We will do it by going to seven large countries and getting them to agree and launch it, and then the others can follow. 

저희는 7개국을 찾아가 동조를 구해서 노트북을 출시함으로써 이 일을 진행하려 합니다. 그리고 나면 다른 나라들도 뒤따를 것입니다. 



We have partners. 

저희에겐 동업자들이 있습니다.



It's not hard to guess Google would be one. 

구글이 그 중 하나라는 건 다들 아실테죠. 



The others are all playing to pending. 

다른 동업자들은 모두 진행 중입니다. 



And this has been in the press a great deal. 

이 이야기는 신문에서 크게 다뤄졌던 적이 있습니다.



It's the so-called Green Machine that we introduced with Kofi Annan in November at the World Summit that was held in Tunisia. 

11월에 튀니지에서 개최된 세계 정상회담에서 저희가 코피 아난 UN 사무총장에게 소개한 그린 머쉰이라는 것이죠. 



Now once people start looking at this, they say, "Ah, this is a laptop project." 

이제 사람들이 이걸 한 번 보고 나면, 아, 이건 노트북 프로젝트구나 합니다.



Well, no, it's not a laptop project. 

글쎄요, 이건 노트북 프로젝트가 아닙니다.



It's an education project. 

이건 교육 프로젝트죠.



And the fun part -- and I'm quite focused on it -- I tell people I used to be a light bulb, 

그리고 재미난 것은 --- 제가 꽤 여기에 노력을 기울이는데 -- 저는 사람들에게 제가 예전에는 전구였지만,



but now I'm a laser -- I'm just going to get that thing built, and it turns out it's not so hard. 

이제는 레이저라고 말합니다. 저는 단지 이런 프로젝트를 추진하려 하는데, 아주 어렵지는 않을 것 같네요. 



Because laptop economics are the following: I say 50 percent here -- 

노트북 시장이 이렇기 때문이죠: 여기엔 50%라고 써놨네요 --



it's more like 60, 60 percent of the cost of your laptop is sales, marketing, distribution and profit. 

60% 이상에 더 가까워요 사실, 노트북 비용의 60%는 영업, 마케팅, 그리고 유통에 따른 수익입니다. 



Now we have none of those, OK? 

자, 저희는 이런 것들이 없습니다, 그렇죠? 



None of those figure into our cost, because first of all, we sell it at cost, and the governments distribute it. 

저런 것들은 저희 비용에 계산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도 저희가 원가에 판매하고 정부가 유통을 하기 때문이죠.



It gets distributed to the school system like a textbook. 

교과서처럼 학교 제도권에 유통시키는 겁니다.



So that piece disappears. Then you have display and everything else. 

그러면 그 부분은 사라지고, 디스플레이와 다른 것들이 생기게 되는 거죠.






Now the display on your laptop costs, in rough numbers, 10 dollars a diagonal inch.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가격은 대략적인 숫자로 인치당 10달러입니다. 



That can drop to eight; it can drop to seven but it's not going to drop to two, or to one and a half, unless we do some pretty clever things. 

8인치로 줄이거나, 아니면 7인치까지 줄일 수도 있죠. 그렇지만 우리가 무언가 꽤 기발한 것을 만들어 내지 않는 한 2인치나 1.5인치까지 줄이지는 않을 것입니다.



It's the rest -- that little brown box -- that is pretty fascinating, because the rest of your laptop is devoted to itself. 

이게 나머지입니다. -- 저 작은 갈색 부분이요. -- 꽤 매력적이죠. 여러분 노트북의 나머지는 그저 그 자체를 위한 것입니다. 



It's a little bit like an obese person having to use most of their energy to move their obesity. 

이건 마치 비만인 사람이 본인의 비만 덩어리를 움직이기 위해 대부분의 에너지를 쓰는 것 같군요. 



And we have a situation today which is incredible. 

우린 이렇게 믿을 수 없는 상황에 있는 겁니다.



I've been using laptops since their inception. 

저는 노트북이 처음 나왔을 때부터 사용해 왔습니다.



And my laptop runs slower, less reliably and less pleasantly than it ever has before. 

제 노트북은 예전보다 더 느리고, 더 믿음직하지도 않고, 작동감도 떨어졌습니다.



And this year is worse. 

올해는 더 나빠졌죠. 



People clap, sometimes you even get standing ovations, and I say, "What the hell's wrong with you? Why are we all sitting there?" 

이제 사람들이 환호를 합니다. 가끔 기립박수를 하면 저는 이렇게 말하죠. "당신은 대체 뭐가 잘못됐나요? 왜 우리 모두가 그러고 주저앉아 있어야 합니까?"



And somebody -- to remain nameless -- called our laptop a "gadget" recently. 

최근에 이름모를 어떤 분들은 저희 노트북을 가젯이라 했습니다. 



And I said, "God, our laptop's going to go like a bat out of hell. 

이런, 우리 노트북이 굉장한 속도로 작동하겠군요. 



When you open it up, it's going to go 'bing.'" 

노트북을 열면, "띵-"하면서 작동하고,



It'll be on. It'll be just like it was in 1985, when you bought an Apple Macintosh 512. 

화면이 나타나면, 사용합니다. 여러분들이 애플 매킨토시 512를 구입했던 1985년처럼요.



It worked really well. 

정말 잘 작동했었는데.



And we've been going steadily downhill. 

그리고는 천천히 내리막길로 접어들어 왔죠. 



Now, people ask all the time what it is. 

이제 이 분들은 항상 그것이 무엇인지 물어봅니다.



That's what it is. 

그것은 있는 그대로입니다.



The two pieces that are probably notable: it'll be a mesh network, 

아마도 주목할만한 두 가지는 그물망 네트워크일 것입니다.



so when the kids open up their laptops, they all become a network, and then just need one or two points of backhaul. 

모두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룹니다. 이러면 단지 하나 또는 두 개의 백홀만 필요합니다.



You can serve a couple of thousand kids with two megabits. 

2MB로 수천명의 아이들에게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죠.



So you really can bring into a village, and then the villages can connect themselves, and you really can do it quite well. 

마을에 네트워크를 끌어들이면, 그 마을들이 서로 연결되고, 그렇게 되면 네트워크를 꽤 잘 이용할 수 있습니다. 



The dual mode display -- the idea is to have a display that both works outdoors -- 

듀얼 모드 디스플레이는 -- 사무실과 실외 모두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다는 생각인데요.



isn't it fun using your cell phone outdoors in the sunlight? 

실외 햇빛 아래서 휴대폰을 사용하는게 괜찮으시던가요?



Well, you can't see it. 

잘 안보이실 걸요. 



And one of the reasons you can't see it is because it's backlighting most of the time, most cell phones. 

잘 보이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대체로, 휴대폰 대부분이, 백라이트를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Now, what we're doing is, we're doing one that will be both frontlit and backlit. 

이제, 저희가 하고 있는 것은, 저희는 앞뒤 모두에서 발광되는 디스플레이를 만들고 있습니다.



And whether you manually switch it or you do it in the software is to be seen. 

수동으로 켜거나 소프트웨어로 켜면 볼 수 있습니다. 



But when it's backlit, it's color. 

백라이트일 때에는 컬러이지만,



And when it's frontlit, it's black and white at three times the resolution. 

전면 라이트일 때에는 3배 해상도의 흑백입니다. 



Is it all worked out? 

제대로 되고 있을까요? 



No. That's why a lot of our people are more or less living in Taiwan right now. 

아니요. 그래서 많은 인력이 현재 대만에서 거의 살다시피 하고 있습니다.



And in about 30 days, we'll know for sure whether this works. 

대략 30일 후에 제대로 될런지 확실히 알 수 있을 겁니다.



Probably the most important piece there is that the kids really can do the maintenance.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들이 정말로 계속 관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And this is again something that people don't believe, 

이건 사람들이 믿지 못하는 것이긴 하지만, 



but I really think it's quite true. 

저는 정말로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That's the machine we showed in Tunis. 

저건 저희가 튀니스에서 선보인 기계인데요,



This is more the direction that we're going to go. 

이건 저희가 만들려는 목표보다 더 나아간 것입니다.



And it's something that we didn't think was possible. 

이게 가능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습니다.



Now, I'm going to pass this around. 

이제 이걸 돌려볼게요.



This isn't a design, OK? 

디자인이 좋지는 않습니다, 그렇죠? 



So this is just a mechanical engineering sort of embodiment of it for you to play with. 

그냥 다룰 수 있게 만든 기계 공학류의 전형입니다.



And it's clearly just a model. 

이건 그냥 모형입니다.



The working one is at MIT. 

작동되는 것은 MIT에 있죠. 



I'm going to pass it to this handsome gentleman. 

제가 이 멋진 신사분께 이걸 건내드릴게요.



At least you can decide whether it goes left or -- 

최소한 계속 할지 말지는 판단하실 수 있을 겁니다.



Chris Anderson: Before you do it, for the people down in simulcast -- 

Chris Anderson: 아, 동시방송이죠. 죄송합니다.



Nicholas Negroponte: Sorry! I forgot. 

죄송합니다. 잊고 있었어요.


CA: Just show it off a bit. 

CA: 알겠습니다.



So wherever the camera is -- OK, good point. 

카메라가 있는 곳이. -- 알겠습니다. 좋은 지적이네요.



Thank you, Chris. 

고맙습니다, 크리스. 



The idea was that it would be not only a laptop, but that it could transform into an electronic book. 

단순한 노트북이 아니었으면 했고, 변형되어서 전자책으로 될 수 있었으면 했습니다.



So it's sort of an electronic book. 

일종의 전자책이죠. 



This is where when you go outside, it's in black and white. 

이건 실외에 나갔을 때인데요, 흑백입니다.



The games buttons are missing, but it'll also be a games machine, book machine. 

게임 버튼이 빠졌지만, 게임기도 되고, 전자책도 될 수 있습니다.



Set it up this way, and it's a television set. Etc., etc. -- is that enough for simulcast? 

이렇게 설치하면 텔레비전입니다. 기타 등등 -- 이제 동시 방송에 적절한가요? 



OK, sorry. 

죄송합니다.



I'll let Jim decide which way to send it afterwards. 

짐에게 어떤 방식으로 노트북을 보낼지 결정하도록 해야겠네요. 



OK. Seven countries. 

7개국에요.



I say "maybe" for Massachusetts, because they actually have to do a bid. 

아마도 메사추세츠는 말할 수 있습니다. 어차피 메사추세츠가 입찰해야 하니까요.



By law you've got to bid, and so on and so forth. 

입찰하는 조례에 따라, 기타 등등.



So I can't quite name them. 

저는 잘 모르는 것들입니다.



In the other cases, they don't have to do bids. 

또 다른 경우, 메사츄세츠가 입찰을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They can decide -- it's the federal government in each case. 

결정할 수 있죠. 모든 경우 연방 정부니까요.






It's kind of agonizing, because a lot of people say, "Let's do it at the state level,"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얘기들 해서, 꽤 고민스럽습니다. "음, 주 차원에서 진행해보죠."



because states are more nimble than the feds, just because of size. 

물론, 주가 규모 면에서 연방 정부보다 더 민첩합니다.



And yet we count. 

저희는 아직 확신합니다.



We're really dealing with the federal government. 

저희는 연방 정부와 이 일을 진행할 것입니다.



We're really dealing with ministries of education. 

교육부 장관과 이 일을 진행할 것이고요.



And if you look at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세계 여러 나라의 정부들을 살펴보면,



ministries of education tend to be the most conservative, 

교육부 장관들이 가장 보수적이고,



and also the ones that have huge payrolls. 

또 가장 높은 급여를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Everybody thinks they know about education, a lot of culture is built into it as well. 

모든 사람들은 본인들이 교육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많은 문화들이 또한 그 안에서 형성됩니다.



It's really hard. 

정말 어렵습니다.



And so it's certainly the hard road. 

확실히 힘든 여정이죠.



If you look at the countries, they're pretty geoculturally distributed. 

그런 나라들을 살펴보면, 지리문화적으로 분포되어 있습니다. 



Have they all agreed? 

모두 찬성하고 있을까요?



No, not completely. 

아뇨, 완전히는 아닙니다.



Probably Thailand, Brazil and Nigeria are the three that are the most active and most agreed. 

마도 태국, 브라질, 나이지리아가 가장 적극적이고, 가장 협조적인 세 나라일 겁니다.



We're purposely not signing anything with anybody until we actually have the working ones. 

저희는 일부러 아무와도 어떤 것도 확정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And since I visit each one of those countries within at least every three months, 

실제 작동하는 노트북을 만들기 전까지는요. 적어도 3개월마다,



I'm just going around the world every three weeks. 

그런 나라들 중 하나를을 찾아다니보니, 저는 3주마다 세계를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Here's sort of the schedule and I put at the bottom we might give some away free in two years at this meeting. 

이건 스케쥴인데요, 맨 아래에 보니, 저희가 2년 후 이 회의에서 무료로 노트북을 나눠줄 수 있을 거라 적어놨었군요. 



Everybody says it's a $100 laptop -- you can't do it. 

모두 이걸 100달러짜리 노트북이라고 하지만, 여러분들은 그러지 마시길 바랍니다.



Well, guess what, we're not. 

생각해보세요, 100달러가 아닙니다.



We're coming in probably at 135, to start, then drift down. 

저희는 아마도 135불까지 받게 될 겁니다, 초기에는요. 그리고나선 가격을 내릴 것입니다.



And that's very important, because so many things hit the market at a price and then drift up. 

이건 매우 중요합니다, 많은 제품들이 어떤 가격으로 출시되고 난 후 가격을 올리기 때문이죠. 



It's kind of the loss leader, and then as soon as it looks interesting, 

일종의 특가품으로 되어, 곧바로 사람들에게 관심을 끌게 됩니다.



it can't be afforded, or it can't be scaled out. 

저희는 그럴 형편도 못되고, 수지도 못맞춥니다. 



So we're targeting 50 dollars in 2010. 

그래서 2010년에 50달러를 목표로 하고 있죠. 



The gray market's a big issue. 

그레이 마켓이 큰 이슈입니다.  (*역자주: 품귀 상품을 비싸게 판매)



And one of the ways -- just one -- 

한 가지 방법은 -- 그냥 한 가지죠 --



but one of the ways to help in the case of the gray market is to make something that is so utterly unique -- 

레이 마켓의 경우에 도울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완전히 독특한 것을 만드는 것입니다.



It's a little bit like the fact that automobiles -- 

자동차의 사례를 들어보자면 -- 



thousands of automobiles are stolen every day in the United States. 

미국에서 매일 수천대의 차가 도난당하고 있습니다.



Not one single post-office truck is stolen. 

우편 배달 트럭은 유일하게 도난당하지 않습니다.



And why? Because there's no market for post-office trucks. 

그럼 왜 그럴까요? 우편 배달 트럭을 거래할만한 시장이 없기 때문이죠. 



It looks like a post-office truck. 

어떻게 해도 우편 배달 트럭인 걸 알 수 있습니다.



You can spray paint it. You can do anything you want. 

거기에 스프레이 페인트를 칠하든 뭘하든지 말이죠. 



I just learned recently: 

전 최근에야 알게 되었습니다



in South Africa, no white Volvos are stolen. 

남아공에서 흰색 볼보 자동차는 도난당하지 않는다는 걸요.   (*역자 주: 흰색 볼보는 남아공에서 기피 제품임)



Period. None. Zero. So we want to make it very much like a white Volvo. 

더 이상. 절대로. 없죠. 그래서 저희는 흰색 볼보처럼 만들고 싶습니다. 



Each government has a task force. 

각 정부에 프로젝트 팀이 있습니다.



This perhaps is less interesting, but we're trying to get the governments to all work together and it's not easy. 

이건 그닥 흥미롭지 않을 수 있지만, 저희가 모든 정부들이 함께 일하도록 하고 있지만, 쉽지 않네요.



The economics of this is to start with the federal governments and then later, to subsequently go to other -- 

이런 식의 경제는 연방 정부로 출발되고, 나중에 다른 쪽으로 이행됩니다 --



whether it's child-to-child funding, so a child in this country buys one for a child in the developing world, 

아동 대 아동 지원 제도든 뭐든지요. 우리 나라의 한 아이가 개발도상국의 아이를 위해 물건을 하나 사는 겁니다. 



maybe of the same gender, maybe of the same age. 

아마도 같은 성별이거나 같은 나이 아이들이겠죠. 



An uncle gives a niece or a nephew that as a birthday present. 

삼촌이 조카에게 생일 선물로 이걸 주게 됩니다.



I mean, there are all sorts of things that will happen, and they'll be very, very exciting. 

즉, 여러 종류의 일들이 일어날 수 있고 그런 일들은 매우, 매우 흥미로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 



And everybody says -- I say -- it's an education project. 

모두가 말합니다 -- 저도 그렇구요 -- 이건 교육 프로젝트입니다.



Are we providing the software?

저희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을까요? 



The answer is: The system certainly has software, but no, we're not providing the education content. 

대답은, 시스템적으로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지만, 아뇨, 교육용 컨텐츠는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That is really done in the countries. 

이건 시골 지역에서 실제로 행해지고 있습니다.



But we are certainly constructionists. 

저희는 구성주의자들입니다.



And we certainly believe in learning by doing and everything from Logo, which was started in 1968, to more modern things, like Scratch, 

실천적 학습의 힘을 믿습니다. 로고 프로젝트로에서부터, 이건 1968년에 시작했었죠. 스크래치 프로젝트처럼 좀 더 현대화된 것들까지, 



if you've ever even heard of it, are very, very much part of it. 

들어본 적이 있으신지 모르겠지만, 이런 프로젝트에서 얻은 모든 것들이 그 일부입니다. 



And that's the rollout. 

그런 프로젝트들이 시초였던 것이죠. 



Are we dreaming? Is this real? It actually is real. 

저희가 그저 꿈꾸는 것일까요? 이것이 현실일까요? 확실히 현실입니다.



The only criticism, and people really don't want to criticize this, 

유일한 한 가지 비판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사실 이걸 비판하고 싶어하지는 않습니다.



because it is a humanitarian effort, a nonprofit effort and to criticize it is a little bit stupid, actually. 

왜냐하면 이건 인도주의적 노력이고, 비영리적 노력이기때문에, 사실 비판하는 것은 솔직히 좀 멍청한 짓이죠.



But the one thing that people could criticize was, "Great idea, but these guys can't do it." 

그렇지만 사람들이 비판할 수 있는 한 가지는, 훌륭한 생각이지만 이 사람들은 그런 프로젝트를 할 수 없다는 것이죠.



And that could either mean these guys, professors and so on couldn't do it, or that it's not possible. 

즉, 이 사람들, 교수나 기타 여러 사람들이 프로젝트를 할 수 없다거나, 프로젝트가 가능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Well, on December 12, a company called Quanta agreed to build it, 

12월 12일 콴타라는 회사에서 노트북 개발에 동의했고,



and since they make about one-third of all the laptops on the planet today, that question disappeared. 

요즘 그 회사가 지구 상의 모든 노트북의 약 1/3을 만들기 때문에 그런 문제는 사라졌습니다.



So it's not a matter of whether it's going to happen. 

이건 진행될 것이냐 마냐 하는 문제가 아닙니다.



It is going to happen. 

진행될 것이니까요.



And if it comes out at 138 dollars, so what? 

138불로 출시된다해도, 그게 대수인가요?



If it comes out six months late, so what? 

6개월 이후에 출시된다해도, 그게 대수인가요?






That's a pretty soft landing. 

그 정도면 부드러운 연착륙인셈이죠.



Thank you.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