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mid-19th century, suspension bridges were collapsing all across Europe. 

19세기 중반, 유럽 전역에 있는 현수교가 무너지고 있었습니다. 



Their industrial cables frayed during turbulent weather and snapped under the weight of their decks. 

급변하는 날씨로 인해 공업용 케이블이 헐거워지고 교상의 무게를 못 견디고 닳고 끊어졌죠. 



So when a German-American engineer named John Roebling 

그래서 존 로블링이라는 한 독일계 미국인 공학자가



proposed building the largest and most expensive suspension bridge ever conceived over New York’s East River, 

가장 크고 비싼 현수교를 뉴욕 동부 지역 강에 짓겠다고 했을 때, 



city officials were understandably skeptical. 

시공무원들은 당연히 회의적이었습니다. 



But Manhattan was increasingly overcrowded, and commuters from Brooklyn clogged the river. 

그러나 맨해튼은 갈수록 붐비고 강에는 브루클린에서 통근하는 사람들로 가득했습니다. 



In February of 1867, the government approved Roebling’s proposal. 

1867년 2월, 정부는 로블링의 제안을 승인했습니다. 



To avoid the failures of European bridges, Roebling designed a hybrid bridge model. 

유럽의 다리와 같은 실패를 피하기 위해 로블링은 혼합 모델을 설계했습니다. 



From suspension bridges, he incorporated large cables supported by central pillars and anchored at each bank. 

그는 현수교에서 착안하여 거대한 케이블을 중앙 기둥들으로 받치고 둑으로 고정했습니다. 



This design was ideal for supporting long decks, which hung from smaller vertical cables. 

이러한 구상은 더 작은 수직 케이블에 매달려 있는 기다란 교상을 받치는 데 이상적이었습니다. 



But Roebling’s model also drew from cable-stayed bridges. 

또한 로블링은 사장교를 참고해서 이 다리를 구상했습니다. 



These shorter structures held up their decks with diagonal cables that ran directly to support towers. 

이렇게 짧은 구조물들은 기둥을 직접 받치도록 대각선으로 연결된 케이블들을 고정했습니다.



By adding these additional cables, Roebling improved the bridge’s stability, 

이렇게 케이블을 더함으로써, 로블링은 다리의 안전성을 높였고 



while also reducing the weight on its anchor cables. 

또한 고정 케이블의 무게도 줄였죠. 



Similar designs had been used for some other bridges but the scope of Roebling’s plan here dwarfed them all. 

이와 비슷한 디자인은 다른 다리에도 쓰였지만 여기 로블링이 세운 계획은 다른 다리들을 넘어섰습니다. 



His new bridge’s deck spanned over 480 meters— 1.5 times longer than any previously built suspension bridge. 

그의 새로운 다리의 교상은 길이가 480m 이상이었는데 이전의 어떤 현수교보다도 1.5배 더 긴 길이였죠.



Since standard hemp rope would tear under the deck’s 14,680 tons, 

기존에 삼으로 만든 밧줄은 14,680톤에 달하는 교상의 무게로



his proposal called for over 5,600 kilometers of metal wire to create the bridge’s cables. 

끊어져서 5,600km 이상의 금속 와이어로 다리의 케이블을 만들어야 했습니다. 



To support all this weight, the towers would need to stand over 90 meters above sea level— 

이 모든 무게를 견디기 위해 기둥은 해수면보다 90m 이상 높아야 했습니다. 



making them the tallest structures in the Western Hemisphere. 

서반구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 됐죠. 



Roebling was confident his design would work, 

로블링은 계획이 성공할 것이라고 자신했지만



but while surveying the site in 1869, an incoming boat crushed his foot against the dock. 

1869년에 다리를 지을 지역을 조사할 때 접근하는 배가 발을 짓이기고 말았습니다.



Within a month, tetanus had claimed his life. 

그로부터 한달 후, 그는 파상풍으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Fortunately, John Roebling's son, Washington, was also a trained engineer and took over his father’s role. 

다행히도 존 로블링의 아들인 워싱턴 또한 숙련된 공학자라 아들이 아버지의 일을 뒤이어 맡았습니다.



The following year, construction on the tower foundations finally began. 

마침내 그 다음해에 기반 건설이 시작되었습니다. 



This first step in construction was also the most challenging. 

이 첫걸음 조차도 무척 힘들었습니다. 



Building on the rocky river bed involved the use of a largely untested technology: 

돌로 가득한 강 바닥에 건설하는 것은 검증되지 않은 기술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pneumatic caissons. 

공기식 격리실 같은 기술 말이죠.



Workers lowered these airtight wooden boxes into the river, 

노동자들은 밀폐된 나무 상자를 강에 설치하여,



where a system of pipes pumped pressurized air in and water out. 

파이프에 압축 공기가 주입되고 물이 나오도록 하였습니다.



Once established, air locks allowed workers to enter the chamber and excavate the river bottom. 

건설이 시작되자, 건설업자들은 에어로크 공간에 들어갈 수 있었고 강 바닥을 팔 수 있었습니다.



They placed layers of stone on top of the caisson as they dug. 

땅을 판 후 잠함 위에 돌로 층을 쌓았습니다. 



When it finally hit the bedrock, they filled it with concrete, becoming the tower’s permanent foundation. 

기반암을 부시고 콘크리트로 채워넣어 부서지지 않도록 토대를 만들었습니다.



Working conditions in these caissons were dismal and dangerous. 

격리실에서의 작업은 우울하고 위험한 일이었습니다. 



Lit only by candles and gas lamps, the chambers caught fire several times, forcing them to be evacuated and flooded. 

양초와 가스등으로 불을 밝힌 작업장은 몇 차례 불이 났으며 대피하고 침수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Even more dangerous was a mysterious ailment called "the bends." 

무엇보다 위험했던 것은 의문의 질병 "잠수병" 이었습니다.



Today, we understand this as decompression sickness, 

지금 우리는 이 병이 감압증임을 알고 있으나



but at the time, it appeared to be an unexplainable pain or dizziness 

당시에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고통 또는 현기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that killed several workmen. 

몇몇 작업자들은 이 병으로 죽기도 했습니다. 



In 1872, it nearly claimed the life of the chief engineer. 

1872년, 결국 수석 엔지니어도 목숨을 잃을뻔 했습니다.



Washington survived, but was left paralyzed and bedridden. 

워싱턴은 살아남았지만 마비가 되어 몸져누웠습니다.



Yet once again, the Roeblings proved indomitable. 

하지만 다시 한번 로블링은 불굴의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Washington’s wife Emily not only carried communications between her husband and the engineers, 

워싱턴의 아내 에밀리는 남편과 엔지니어들의 의사소통을 도왔을 뿐만 아니라 



but soon took over day-to-day project management. 

매일 프로젝트 관리도 맡았습니다. 



Unfortunately, the bridge’s troubles were far from over. 

아쉽게도, 다리 건설의 문제점들이 해결될 기미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By 1877, construction was over budget and behind schedule. 

1877년, 건설은 예산을 초과하여 예정보다 미루어 졌습니다.



Worse still, it turned out the bridge’s cable contractor had been selling them faulty wires. 

가뜩이나 다리 케이블 도급업자가 불량품 선을 판매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This would have been a fatal flaw if not for the abundant failsafes in John Roebling’s design. 

만약 이중 안전장치가 없었다면 치명적인 결함이 됐었을 겁니다. 이 또한 존 로블링의 설계였죠. 



After reinforcing the cables with additional wires, they suspended the deck piece by piece. 

선을 추가하여 케이블을 강화 시킨 후 조금씩 갑판에 걸었습니다. 



It took 14 years, the modern equivalent of over 400 million dollars, and the life’s work of three different Roeblings, 

14년이라는 시간이 걸렸으며 현재 가치로 약 4억 달러 이상과 로블링가 세 사람의 삶이 들어갔죠. 



but when the Brooklyn Bridge finally opened on May 24, 1883, its splendor was undeniable. 

하지만 브루클린 다리는 마침내 1883년 5월 24일에 개통되었으며 그 훌륭함을 모두에게 인정받았습니다. 



Today, the Brooklyn Bridge still stands atop its antique caissons, 

오늘날 브루클린 다리는 여전히 오래된 격리실 위에 있으며



supporting the gothic towers and intersecting cables that frame a gateway to New York City. 

고딕풍 탑과 교차 케이블을 떠받치고 있습니다. 뉴욕으로 가는 문을 만들며 말입니다. 




https://www.ted.com/talks/alex_gendler_epic_engineering_building_the_brooklyn_bridge/transcript?language=ko




Someone has tripped the magical alarms in the Element Temple. 

누군가 원소 신전에 있는 마법 경보기를 울렸습니다.



By the time you and the other monks arrive on the scene, you know you have a disaster on your hands. 

여러분과 승려들이 현장에 도착하면 해결해야 할 엄청난 재앙이 발생한 것을 알게 될 거예요. 



Overnight, four young apprentices broke into the temple’s inner chamber to steal the sacred element crystals. 

밤사이 네 명의 수습생이 원소의 결정체를 훔치러 신전 내 작은 방에 잠입했습니다. 



But when the alarm went off they panicked, 

그 순간 경보기가 울려 



and each of them swallowed the crystal they held right before they were caught. 

그들은 당황하기 시작했고 현장이 발각되기 직전 각자가 들고 있던 원석을 삼켰습니다.



With no idea how to control the crystals’ vast powers,

원소의 막강한 힘을 다룰 줄 모르는 그들은 



they’ll soon transform into uncontrollable elemental spirits. 

곧 통제 불가한 사대 정령으로 변할 위기에 처했습니다. 



Improbably enough, the old monk next to you has seen something similar happen before. 

희한하게도, 한 승려가 비슷한 광경을 목격한 적이 있었고



He explains: “You must determine who ate which crystal and get each into the proper containment field before they transform. 

그들이 정령으로 변하기 전에 누가 어떤 원석을 먹었는지 알아내서 그 힘을 억제하는 공간에 가둬야 한다고 했습니다.



The elements compel their masters: 

게다가 원소는 주인을 조종하는 능력이 있는데



those who ate the Earth and Water Crystals must speak the truth, while those who consumed Fire and Air must lie." 

땅과 물의 원소는 진실을 말하게 하고 불과 바람의 원소는 거짓말을 하게 한다고 했죠. 



The youths are too scared to confess their own transgressions. 

수습생들은 자백하는 게 너무 두려운 나머지 



Instead, they fall to accusing each other. 

서로를 고발하기 시작했습니다. 



“Rikku took the Water crystal!” Sumi blurts out. 

"리쿠가 물의 원석을 먹었어요" 수미가 얼떨결에 말했고 



Rikku interrupts angrily. “It was Bella, she stole the Fire crystal!” 

리쿠가 끼어들었어요 "벨라가 불의 원석을 훔쳤어요!" 



So Bella yells: “Jonah ate the Air crystal, I saw him!” 

벨라는 소리쳤죠 "요나가 바람의 원석을 먹는 것을 봤어요." 



Jonah looks up timidly and shakes his head. “I… I don’t know what happened, but Sumi doesn’t have the Earth crystal.” 

요나는 쭈뼛대며 고개를 저었습니다. "전... 잘 모르겠지만 수미는 땅의 원석을 먹지 않았어요." 



So who ate which crystal? 

도대체 누가 어떤 원석을 먹었을까요?



Pause now to figure it out for yourself. 

영상을 멈추고 잠시 생각해 보세요. 



There’s no getting around it— this will take some trial and error. But that’s not a bad thing. 

아마 몇 번의 시도와 실패를 겪을 텐데 절대 잘못된 게 아닙니다. 



If we make a wrong guess, we’ll eventually reach a point where our conclusions contradict each other. 

만약 추리가 잘못되었다면 모순이 발견될 테고 



That would allow us to confirm that our initial guess was wrong and work from there. 

첫 번째 추측이 잘못된 것을 알게 될 겁니다. 



This is a technique known as proof by contradiction. 

그러면 다시 시작하세요 이것이 바로 귀류법입니다. 



The trick is in being strategic about where we begin our guessing. 

이 전략의 요령은 어디에서 추측을 시작하는지에 달렸습니다.



Some assumptions might not lead to contradictions without making further assumptions. 

어떤 추측은 더 많은 추측과 모순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We want to pick one that creates the most constraints on its own, 

따라서 제약이 많은 것을 선택하는 게 유리하죠. 



and thus gives us the most information when it turns out to be right or wrong. 

진실과 거짓이 판명되는 순간 가장 많은 정보를 얻기 때문이죠.



Take, for example, Sumi’s statement. 

예를 들어, 수미의 진술을 살펴봅시다. 



If we assume she’s telling the truth, we’d know the identity of both truth tellers. 

그녀의 말이 사실이라면 진실을 말하는 두 사람을 알 수 있습니다. 



Rikku would have the Water crystal, and since she’s not lying about him, Sumi would have Earth. 

수미 말 대로 리쿠는 물의 원석을 가졌을 테고 수미는 땅의 원석을 가졌겠죠. 



So Bella would have the Fire crystal, as Rikku says. 

벨라는 리쿠의 말대로 불의 원석을 가진 게 됩니다. 



But then Bella would have to be lying about Jonah having the Air crystal. 

그러면 요나가 바람의 원석이라는 벨라의 말은 거짓이어야 하는데 



And yet that’s the only remaining option. 

남은 하나와 일치하지 않네요.



This is a contradiction, and it tells us our initial assumption was wrong. 

이렇게 모순이 발생하면 첫 번째 추측이 틀린 것을 알 수 있죠. 



So now we can go back to the start, but with the added knowledge that Sumi is lying. 

처음으로 돌아 가볼까요? 하지만 이번엔 수미 말이 거짓이라는 단서가 있습니다. 



As a liar, Sumi must either have the Fire or Air crystal. 

그러면 불이나 바람의 원석 중 하나임을 확신할 수 있죠. 



That means Jonah was telling the truth about her, so he can’t have taken either of those. 

그러면 요나의 말은 진실이 되므로 불과 바람은 가질 수 없겠죠.



And that means Bella was lying about him, so she must also have either Fire or Air. 

그렇게 되면 벨라의 진술은 거짓이므로 벨라도 불이나 바람의 원석 중 하나를 가진 게 되고



Since Sumi was lying, Rikku can’t have taken the Water crystal— 

수미의 말은 거짓이니 리쿠가 물의 원석을 가질 수 없죠. 



the only one left who could have it is Jonah. 

따라서 물의 원석은 요나만 가질 수 있습니다. 



And because we’ve already identified the two liars, Rikku must have the Earth crystal. 

우리는 이미 거짓말쟁이 두 명을 알고 있으니 리쿠가 땅의 원석을 가진 게 되고 이로써



That means Bella has the Fire crystal and Sumi has Air. 

벨라는 불, 수미는 바람의 원석을 가진 게 됩니다. 



You manage to get them all in the proper containment fields just as the crystals’ magic begins to manifest. 

수습생들이 변하기 직전 원소의 힘을 제압하는 데 성공했어요. 



Compared with the difficult task of training these kids to control their new powers, figuring out who had which crystal was elementary. 

힘을 통제하는 법을 훈련하는 일에 비하면 누가 어떤 원석을 먹었는지 찾는 건 식은 죽 먹기죠. 



https://www.ted.com/talks/alex_gendler_everything_changed_when_the_fire_crystal_got_stolen/transcript?language=ko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