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30여년 전 즈음에 처음 나이지리아의 베닌에서 의사가 되었을 때, 

When I first became a doctor in Benin City, Nigeria, some 30-odd years ago,



사람들이 더 충만한 삶을 살도록 도와주게 되었습니다. 

I was drawn to help people live full lives.



그러나 종종 제가 무능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But often, I found myself feeling impotent. 



저는 기술이 많은 의사였지만, 만성질환이 있는 환자들을 치료하지는 못했어요. 

Here I was, a brand-new doctor with all these skills, but I couldn't cure my patients 



심장병, 천식, 당뇨병과 같은 질병들 말이죠. 

who had chronic diseases -- illnesses like heart disease, asthma, diabetes --



그저 처방전을 주는 것 이상의 무언가가 필요했습니다. 혹은 비관적인 상담으로 일을 빨리 끝내거나요. 

and needed more than just handing them a prescription or providing grief counseling in the office to get the job done. 



15년 후에 저는 조지아의 애틀란타에 있었습니다. 

Fast-forward 15 years later: I'm in Atlanta, Georgia;



그곳은 완전히 다른 세계였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기시감을 느꼈습니다. 

it's a different world, but it was déjà vu all over again. 



의사로서 우리는 만성 질환자들을 단편적으로 처리해야만 했습니다. 

As doctors, we see our patients who have chronic illnesses in an episodic way.



동시에, 환자들은 어떻게 스스로 많은 결정들을 해야할지 배워야 했습니다. 

In between, the patients have to learn how to make a lot of decisions for themselves.



예시를 알려드리죠. 

I'll give you examples.



만약 여러분이 매일 복용해야 하는 약이 있다면, 아플 때 무엇을 하나요? 

If you have medications you're supposed to take every day, what do you do when you're sick?



여전히 약을 복용하나요? 

Are you still supposed to take it?



복잡한 일이 일어났을 때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나요? 

How do you recognize a complication when it happens?



부작용이 발생하면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나요? 

How do you recognize a side effect when it happens? 



어떻게 해결하나요? 

What do you do with it? 



이 모든 것 외에도 만성 질환자들은 피할 수 없는 외로움, 고립감, 불안함과 마주합니다. 

In addition to all of this, they're dealing with the inevitable loneliness, isolation and anxiety that people who have chronic illnesses deal with.



미국에서만, 10명의 성인 중 6명은 만성질환이 있습니다. 

In the US alone, six in 10 adults have a chronic illness.



1억 2500만 명이죠. 

That's 125 million people.



로버트 우드 존슨 재단의 최신 자료에 의하면, 건강상의 습관이 사람들이 겪는 병의 50%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A recent report from the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showed that health habits account for 50 percent of the health outcomes that people experience,



의학적 치료가 오직 20%밖에 차지하지 않는데 말이죠. 

while medical care only accounts for 20 percent.



사실, 질병 관리 센터에서는 우리가 담배를 끊고, 

In fact,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says that if we could eliminate smoking,



운동을 꾸준히 하고 영양소를 잘 챙겨 먹는다면 80%의 심장병을 예방할 수 있고, 

physical inactivity and poor nutrition, that we can prevent 80 percent of heart disease,



80%의 2종류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고, 40%의 암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80 percent of type 2 diabetes and 40 percent of cancer. 






그러나 우리는 압니다, 건강상의 습관을 바꾸는 것은 매우 힘들다는 것을 말이죠. 

But we also know that changing health behaviors is very difficult.



그렇기에 질문하기를 만약 우리가 사람들이 습관을 바꿀 수 있게 동기를 주는 무언가를 만들면 어떨까? 

So we asked the question: What if we could create a resource that could motivate people to change health behavior?



사실, 사람들이 소위 말하는 자기 관리 능력을 돕는 것은 아주 많습니다. 

The truth is, there are a lot of these resources out there that help people acquire these so-called self-management skills.



그러나 그것은 쉽게 접근할 수 없고 와닿지도 않습니다. 

But many a time, they're not easily accessible or relatable,



특히 편견과 문화, 언어의 장벽을 마주하는 소수자나 서비스가 불충분한 지역사회에는 말이죠. 

particularly to individuals within minority and underserved communities, who face bias in addition to barriers like language and culture



불충분한 건강 보험도 마찬가지입니다. 

and inadequate health insurance coverage. 



지난 12년간, 저는 동료와 몰하우스 학교 약학과에서 만성질환을 돕기 위해 기술에 기반한 앱을 만들었습니다. 

And so in the last 12 years, my colleagues and I at Morehouse School of Medicine have created a technology-based application to assist with chronic illness care.



인터넷에서 앱이라는 형태로 간단하게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It's freely available on the web and as an app.



그것을 통해 사람들이 변화를 추적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And what we do is get people to track variables -- 



혈압, 혈당 같은 것을요. 

blood pressure, blood sugar --



그리고 그것을 다시 사용자에게 색상으로 구분된 형식으로 보냅니다. 

and then report it back to them in a color-coded format.



초록색은 건강한 범위를 의미하고, 빨강은 처리가 필요한 문제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So green would indicate a healthy range, and red would indicate a problem that needs something done about it.



우리는 이 데이터를 커리큘럼으로 연결시킵니다. 

We link these stats to a curriculum.



이 커리큘럼은 개개인들이 가지는 만성질환에 상관없이 건강상태를 알 수 있게 해주고 또한 헬스 코치의 조언을 통해 

The curriculum helps the individual learn about their health condition, whatever the chronic illness is.



그들의 질병의 복잡성을 방지하는 자기 관리 능력을 배울 수 있습니다. 

They also work with a health coach to learn self-management skills, skills that'll help them prevent complications of their illness. 



조언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선 그들은 함께 일하는 개개인의 신뢰를 얻어야 합니다. 

In order for the coach to be successful, they have to be able to gain the trust of the individual that they're working with.



우리는 헬스코치가 의학 도우미인 곳에서 이 앱을 시험했습니다. 

We tested this application in clinics, where the health coaches were medical assistants,



그리고 헬스코치가 보건복지부 자원봉사자인 도시의 큰 교회에서 시험했습니다. 

and in a large urban church, where the health coaches were volunteers from the health ministry.



일년 후, 1/3의 참가자들이 세 가지 자기 관리 능력을 얻게 되었고 지속보완이 가능하게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A year later, a third of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acquire three new self-management skills and maintain them to the extent that it was able to improve

그들의 혈압, 혈당 그리고 운동량까지요. 

their blood pressures, their blood sugar and their exercise. 



이제 간단하면서도 매혹적인 것은 교회의 그룹이 단순히 의학적 치료를 받는 그룹보다 더욱 훌륭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Now, what was simple yet fascinating to us was that the group from the church did just as well or even better than the group that were under purely medical care.



우리는 왜 이렇게 됐는지 알고 싶었습니다. 

And we wanted to learn why that was.



그래서 더 깊은 조사를 했고 400시간의 녹취록으로 알게 된 것은 

So we looked a little further into the research -- 400 hours of recorded conversation -- 



교회의 코치들은 환자들과 함께 하는 시간이 더 많았습니다. 

and what we learned was that the coaches from the church did have more time to spend with the patients,



환자들의 가족과도 말이죠. 

they had access to the patients' families,



그로 인해 코치는 환자의 요구를 잘 알고, 그에 맞는 해결책을 환자들에게 제시했습니다. 

and so they could figure out what people needed and provide those resources for them.






우리의 팀은 이를 "문화적으로 적합한 코칭" 이라고 부릅니다. 

My team and I call this "culturally congruent coaching." 



문화적으로 적합한 코칭의 개념을 묘사하기 위해, 

To illustrate this concept of culturally congruent coaching,



우리가 베르사라 부르는 환자 한 명을 예로 들겠습니다. 

I want to tell you about one of our patients.



베르사는 당뇨병과 고혈압이 있는 83세의 여성입니다. 

I'll call her Ms. Bertha. So Ms. Bertha is an 83-year-old lady with diabetes and hypertension.



그녀는 앤이라는 교회의 헬스코치에게 배정되었고 

She was assigned to Anne, her health coach in the church.



앤은 베르사와 수년 동안 그녀와 친구관계를 유지했던 사람이었습니다. 

Anne also happened to be a family friend to Ms. Bertha for many years, 



그들은 동료 교인이었죠. 

and they were fellow congregants. 



앤은 첫 몇 번의 방문 후 베르사가 성실히 데이터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Anne observed after the first few visits that even though Ms. Bertha faithfully recorded her stats,



모든 결과가 빨강인 걸 보았습니다. 

they were all showing up as red.



그래서 베르사가 왜 그런지 알기 위해 더 깊이 조사했고, 

So she probed a little deeper to try to understand what was going on with Ms. Bertha, 



베르사는 앤에게 사실을 알려주었습니다. 

and Ms. Bertha gave her the real-real. 



그녀는 이전에 약을 먹었을 때 이상한 감정을 느꼈다고 말했습니다. 

She told her that there were times when her medications made her feel weird,



또한 그녀는 처방대로 복용하지 않았습니다. 

and she wouldn't take them the way they were prescribed, 



왜냐하면 그 원인이 약이라 생각했지만. 

because she thought it was due to the medicines



이를 의사에게 말하지 않았습니다. 

but she didn't tell her doctor that. 



결국 그녀는 의사의 지시를 무시했습니다. 물론 많은 이유들이 있었겠지만요. 

She also skipped out on some doctor appointments for a variety of reasons,



그러나 그 중 하나는 그녀가 잘못된 행동을 했고 이 때문에 의사가 화내는 게 싫어서 가지 않았다는 겁니다 

but one of them was she wasn't doing better and she didn't want to make her doctor mad, so she just didn't go. 




그래서 앤은 메르사와 대화를 했고 다음에 의사를 방문할 때는 딸과 같이 가시라고 조언했습니다.

So Anne talked to Ms. Bertha and asked her to bring her daughter in for the next visit, which she did.



그리고 그 방문 때, 앤은 베르사가 모아놓은 모든 통계를 인쇄할 수 있었습니다. 

And at that visit, Anne was able to print out a log of all these stats that Ms. Bertha had been collecting,



이것을 그녀에게 주고 다시 의사를 보러 가자고 격려했고. 

gave them to her and encouraged them to go see the doctor together,



결국, 다시 갔습니다. 

which they did.



그 정보들 덕분에 의사는 베르사에게 변화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었고, 3달 내에, 베르사의 숫자들은 전부 녹색에 속하게 되었습니다. 

With that information, the doctor was able to make changes to Ms. Bertha's treatment. Within three months, Ms. Bertha's numbers were all in the green.



아무도 베르사 자신보다 놀라거나 흥분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No one was more excited or surprised than Ms. Bertha herself. 



지금, 앤은 성공적인 헬스코치입니다. 

Now, Anne was successful as a health coach



왜냐하면 그녀는 깊이 그녀를 돌보았고, 베르사 씨의 오래된 문화를 조사하고, 그녀를 더 나은 단계로 이끌었습니다. 

because she cared enough to go below the surface and probe Ms. Bertha's deep culture and was able to reach her at that level.



그녀는 필요한 것을 위해 어떻게 경청하는지 알고 어떻게 질문을 해야 하는지 압니다. 

She knew how to listen, and she knew how to ask the right questions to get to what was needed.



건강상의 결정을 내리는 방식에 있어서 우리는 모두 깊은 무의식적인 규칙이 있었습니다. 

We all have deep unconscious rules that drive the way we make our health decisions.



그것은 우리의 문화입니다. 

That's our culture. 



앤과 베르사 사이의 관계와 대화는 언제 환자와 대화를 하는 게 가능한지 알려줍니다. 

The relationship and the conversation between Anne and Ms. Bertha illustrates what's possible when we have conversations with our patients,



깊은 문화에 있는 우리의 환자 친구와 이웃들도 마찬가지이죠. 

our friends and our neighbors on a deep cultural level.



개인적으로, 간단한 개념의 문화적으로 적합한 코칭을 생각할 때면 매우 짜릿함을 느낍니다. 

And personally, I'm beyond excited to think that with this simple concept of culturally congruent coaching,



우리는 1억 2500만의 미국인의 삶에 이어 전세계인의 삶 또한 바꾸고 있습니다. 

we could change the lives of 125 million Americans and many others across the world






만성질환으로 힘들어하고 있는 사람들 말입니다 

that are living with chronic diseases. 



감사합니다. 

Thank you. 




https://www.ted.com/talks/priscilla_pemu_a_personal_health_coach_for_those_living_with_chronic_diseases?language=ko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