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you think about money and your dreams and you're looking at your account,
여러분의 목표와 돈을 생각하면서 통장을 들여다본다면
you're like, "My bank account does not align with my dreams."
"지금 돈은 없지만 성공할 수 있어" 라고 생각하겠죠.
[The Way We Work]
[우리가 일하는 방식]
Financial health for a typical American household can be stressful.
일반적인 미국 가정을 보면 금전적인 부담을 갖고 있습니다.
We know that 46 percent of all Americans would struggle coming up with 400 dollar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미국인의 46%가 혹시 모를 일에 대비해 400달러(약 50만원) 가량 저축하는 모습을 통해 알 수 있죠.
And 60 percent of all Americans will face that emergency within 12 months or less.
실제로 미국인 10명 중 6명은 예상치 못한 지출을 합니다. 약 일년에 한 번 꼴로요.
When you ask the question, "What does money mean to you,"
"당신에게 돈이란 무엇인가요? " 라고 묻는다면
most people will say things like, "I feel anxious."
대부분 사람들이 이렇게 말할 겁니다. "없으면 불안한 것"
And so the insecurities come. The shame comes.
인간이 항상 불안해하고 수치심을 느끼는 이유죠.
I think we have a fraught relationship with money, because it comes with judgment.
우리는 돈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말하죠. 항상 인간의 판단에 연관되어있기 때문이죠.
When you're not able to pay your bills on time, you can personalize that.
월세를 제때 낼 수 없을 때 그걸 개인화시켜보세요.
I don't want anyone to think that I'm not smart.
자신이 현명하다고 생각하세요.
I don't want anyone to know that I am very insecure with money.
돈을 잘 모른다고 기죽지 마세요.
I don't want anyone to know that I am super stressed out.
스트레스까지 받을 필요도 없어요.
So now let's change the narrative.
이제 본격적으로 얘기해보죠.
[6 lessons on how to improve our relationship with money]
[돈의 대한 인식을 바꾸는 6가지 방법]
[1: Talk about it.]
[1: 대화하기]
You can't do it alone.
혼자 해결하려 하지마세요.
And that's when your squad has to come in.
지원군이 필요할 때입니다.
It's taboo.
절대 혼자는 안됩니다.
We typically don't talk about our stresses when it comes to money.
돈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를 이야기하는건 금기죠.
We need to come together as a group of friends, no judgment, no shame.
이제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 해 보세요. 편견을 부끄러움도 잊어버리세요.
Celebrate the fact that we've made a decision that we want to have a better relationship with money.
돈에 대한 생각을 달리 하려는 노력만으로도 축하받을 일이에요.
That is worth applauding or snapping your fingers about.
정말 박수받을 일이죠. 놀라지 마세요.
Once you've done that, then you get real.
여러분은 정말 변화하고 있어요.
Nothing should be off-limits.
못할 건 아무것도 없습니다.
Where does this relationship come from?
사람과 돈의 관계는 어디서 시작된 걸까요?
Why am I spending all this money on things that don't align with my goals?
하고 싶은 일과 상관없이 왜 돈을 낭비하고 있는 걸까요?
What are your fears?
여러분은 두려운가요?
What are your dreams?
꿈은 무엇인가요?
But then we start to take action.
이제부터는 실전이에요.
What can we do this week?
당장 이번주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Or what can we do this month?
아니면 이번달 안에요.
[2: Understand what money is]
[2: 돈의 의미 이해하기]
Money is not the end-all be-all.
돈은 인생의 전부가 아니에요.
It's the mechanism to accomplish whatever your goals are.
그저 당신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하나의 수단이죠.
It does not define you.
돈으로 사람을 판단할 수도 없어요.
It's just a mechanism to accomplish what matters to you most.
정말 당신이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 불과해요.
[3: Identify what matters to you ... ]
[3: 당신에게 중요한 것 파악하기]
Ask yourself one fundamental question: what are you saving for?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저축하는 이유가 뭘까?
If you're saving for a car, if you're saving to pay down your debt,
차를 사고 싶어서? 빛을 갚기 위해서?
if you're saving for that rainy day fund, it will include short-term goals and it will include long-term goals.
혹시 모를 일에 대비해서? 단기적인 목표이면서 장기적인 목표라고 볼 수 있겠네요.
[4: ... and then really picture it.]
[4: 상상해보기]
Visualize what you're really trying to accomplish.
무엇을 이루고 싶은지 마음속으로 상상해보세요.
A vision board is visual representation of what you're saving for.
비전 보드를 통해 저축해서 하고자 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So if we break it down, go get a poster board.
잘 모르겠으면 포스터 보드를 하나 마련하세요.
Get your markers, get your glitter.
펜과 꾸밀 것도 챙기고요.
Take magazine pictures, cut it all out.
잡지 사진을 골라 자르세요.
Have that picture of that great trip.
멋진 여행 사진이면 좋아요.
Have the picture of you paying down your student debt.
학자금 대출을 갚고 있는 여러분 사진도 필요해요.
The vision board sounds like, "Oh, how can that really help?"
"그게 정말 도움이 될까?" 비전 보드가 이렇게 말하는 것 같네요.
The point is your goals need to align with your behaviors,
여러분이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 중요해요.
and the vision board is really a representation of where you wanna go and then how you live your life,
비전 보드를 통해 여러분이 가고자 하는 길과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한눈에 볼 수 있어요.
and in the meantime are the steps to really get there.
그러면 어느새 목표지점까지 다다르게 되겠죠.
[5: It's not what you make, it's what you keep.]
[5: 갖고 있는 것 유지하기]
It's not about what you make, it's about what you keep.
새롭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갖고 있는 것을 유지하세요.
It's about understanding do I have the ability with what I'm making to take care of my basic needs?
생각해봅시다. 나에게 혼자 먹고 살 만한 능력이 있을까?
And if not, what adjustments do I need to make?
능력이 없다면 무엇이 필요할까?
And then we start to break it down and talk about the tools.
이 얘기는 제쳐두고 통장 얘기를 해봅시다.
We start to say, "Do we have our savings account, auto-save?"
이렇게 물어볼 수 있죠. "적금 자동이체를 해놓았던가?"
Set it and forget it, or every day, put a dollar a day.
자동이체 설정하고 잊어버리거나 매일 돈을 조금씩 넣으세요.
Whatever that rhythm is for you, the goal is the rhythm, not the amount.
통장에 얼마를 넣든 간에 꾸준히 저축하는 것이 중요해요.
You can start slow.
급할 필요 없어요.
You can start small, but you have to start now.
적은 액수로 시작해도 되요. 지금 시작한다는 것이 중요한 거죠.
And then let me give you a trick, we all have impulses.
물론 주의할 점이 있어요. 바로 충동구매죠.
Many times, because the phone is always with us, we start shopping.
핸드폰을 달고 사는 우리는 인터넷 쇼핑을 안 할 수가 없죠.
Go out to any site, shop up, put it in your cart.
사이트에 가서 맘에 들면 장바구니에 담죠.
Just don't hit buy.
무작정 사지마세요.
Wait 24 hours, go back and ask yourself, "Do I really need it? What about these items map to my goal?"
하루 정도 시간을 갖고 다시 생각해보세요. "정말 나한테 필요한가?" "내 목표에 도움이 될까?"
And if it's nothing, hit delete and you got your fix.
그렇지 않다면 삭제하세요. 그럼 성공한겁니다.
[6: Be good to yourself.]
[6: 자신을 잘 알기]
It's also important to know that your self-worth is not determined by your net worth.
스스로가 가치 있는 사람인지를 자산으로 판단하지 마세요.
This is something that we can do better about.
어려운 일이 아니에요.
You celebrate your wins.
스스로에게 칭찬도 해주세요.
And when you make that misstep, no judgment, no shame. Just get back at it.
넘어졌다고 해서 섣부른 판단도 부끄러워 할 필요도 없어요.
https://www.ted.com/talks/thasunda_duckett_6_ways_to_improve_your_relationship_with_money/transcript?language=ko
'TED > TED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D(Alicia Eggert) 알리샤 에거트 - 우리가 현실을 인식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상상의 조각들] (0) | 2021.01.06 |
---|---|
[TED(Robert Reffkin) 로버트 레프킨 - 보다 끈끈한 관계를 형성하는 5가지 방법] (0) | 2021.01.05 |
[TED(LeeAnn Renninger) 리앤 레닝거 - 좋은 피드백의 비법] (0) | 2021.01.03 |
[TED(Rahaf Harfoush) 라하프 하포쉬 - 번아웃이 어떻게 우리의 창의성을 죽이는가?] (0) | 2021.01.02 |
[TED(Patrick McGinnis) 패트릭 맥기니스 - 더 빠른 결정을 내리는 방법] (0) | 2021.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