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talk contains graphic language and descriptions of sexual abuse] 

[본 강연은 성적 학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Can I get a show of hands who here has ever Googled themselves? 

본인의 이름을 구글에서 검색해본 경험이 있다면 손을 들어 보실까요?



I have. 

저는 검색해봤어요.



But what started off as momentary curiosity very quickly turned into an almost five-year horrific battle that almost ruined my life.

순간의 호기심으로 시작한 것은 생각지도 못하게 빠른 속도로 제 인생을 거의 망칠뻔 했던 5년 간의 끔찍한 사투로 이어졌죠.



I Google Images reverse-searched myself: 

저는 제 사진으로 구글 이미지 역검색을 해봤어요.



a function of Google that allows you to upload an image and it shows you where it is on the internet. 

구글에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어디에 그 이미지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기능이죠. 



This is me at 17 years old. An innocent selfie I took before a party. 

제가 17살 때 모습입니다. 파티 시작 전에 찍은 셀카였어요. 



Now, before I continue, I must point out that what I'm about to talk about is very confronting and graphic. 

이야기를 더 하기 전에, 이걸 꼭 말씀드려야 합니다. 제가 지금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적나라합니다. 



But there's no way out. 

그럴 수 밖에 없습니다. 



This is a very confronting issue. 

굉장히 불편한 이슈이기 때문입니다. 



In a split second, my screen was flooded with that image and dozens more images of me that had been stolen from my social media, 

눈 깜짝할 사이에, 스크린은 제 이미지로 가득했습니다. 제 SNS 계정에서 무단으로 가져간 여러 사진들도 있었는데, 



on links connected to porn sites. 

포르노 사이트와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On these sites, nameless, faceless sexual predators had published highly explicit sexual commentary about me and what they'd like to do to me. 

그런 사이트에는, 익명으로 얼굴을 가린채 성범죄자들이 저에 대해서 그리고 저를 대상으로 하고 싶은 행위에 대한 선정적이고 성적인 코멘트를 늘어놓고 있었습니다.



"Cover her face and we'd fuck her body," one person wrote. 

"얼굴만 가리면 재미 좀 보고 싶네." 라고 쓴 사람도 있었어요.



They also published identifying information about me: where I lived, what I studied, who I was. 

그들은 저의 개인 정보도 공개했어요. 제가 사는 곳, 전공한 것, 누군지요. 



But things got worse. 

하지만 상황은 더 심각해졌어요. 



I soon discovered that these sexual predators had doctored or photoshopped my face onto the bodies of naked adult actresses engaged in sexual intercourse, 

제가 곧 알게 된 것은 이 성범죄자들이 제 사진에서 얼굴을 포토샵을 해서 성관계 중인 나체 상태의 성인 영화 배우의 몸에 갖다 붙이거나



on solo shots of me being ejaculated on by two men. 

제 사진을 놓고 두 명의 남성이 제게 사정하고 있는 장면으로 합성했습니다. 



Sperm was edited onto my face. 

정액을 제 얼굴에 뿌린 것처럼 편집해놓았더군요. 



I was edited onto the cover of a porn DVD. 

포르노 DVD 표지에 제 사진을 넣기도 했더군요.



Perpetrators had edited my images 

그 범죄자들은 제 이미지를 편집해서



to give the effect that my blouse was transparent or see-through, so you could see my nipples. 

제가 투명하거나 시스루인 블라우스를 입고 있어 젖꼭지가 보이게 만들기도 했죠. 



Perpetrators ejaculated on images of me,

그들은 제 사진 위에 사정을 하였고, 



took photos of their sperm and penises on these images and posted them onto porn sites. 

제 사진에 묻은 정액과 성기를 사진으로 찍어서 야동 사이트에 올렸습니다.



"Cum on printed pigs," is what they call it. 

"헤픈 여자 위에 하기"라고 그들은 부르더군요. 



Now, you might be wondering, what sorts of images I posted on social media. 

이쯤되면 여러분들은 궁금하실 겁니다. 제가 대체 어떤 사진을 SNS 올렸길래 그런지 말이죠.



This is me, at around 19 at the Claremont Hotel, just a few suburbs away. 

19살 때의 제 모습인데, 시내 외곽의 클레어 몬트 호텔에서 찍은 겁니다. 



And they superimposed that face into this. 

그 사진에 있던 제 얼굴을 이런 사진에 갖다 붙인 겁니다. 



And things got worse. 

이것보다 더 최악인 것도 있어요. 



Nothing was off limits for these predators. 

이 성범죄자들은 거침이 없었죠. 



They even posted an image with my little sister on these sites too. 

제가 여동생과 찍은 사진도 포르노 사이트에 올리기까지 했거든요. 



Now, you might be thinking, 

지금쯤 여러분들은 생각하시겠죠.



"Well, you do dress provocatively, even a little sexually suggestive, attention seeking maybe." 

"도발적인 의상을 입었으니까, 아마도 성적으로 어필하고 관심받고 싶어한다고 비춰진 것이 아닐까."



But just because a woman's body gets attention, doesn't mean she's attention-seeking. 

하지만 단지 여성의 신체가 관심을 좀 받는다고 해서, 정말 관심받길 원하는 건 아니죠. 



And what is provocative anyway, what is sexually suggestive? 

대체 무엇이 도발적인 것이며, 뭐가 성적인 암시를 보내는 건가요?



In some parts of the world, showing your ankles is promiscuous, is provocative. 

전세계 일부 국가에서는 발목을 내놓고 다니는 것 조차 문란하고 도발적이라 여겨집니다.



It's just like, no matter what a woman wears, it's always perceived as more sexual than it is. 

마치 그건 여성이 무엇을 입든지, 언제나 실제보다 더 성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죠. 



For me, I just wanted to feel pretty and confident. 

저는 그저 이쁘게 입고 싶었고, 당당해지고 싶었습니다. 



What's so wrong with that? 

그게 잘못된 것인가요? 



Now, you might be thinking, "Well, can't you just set your social media on private?" 

여러분들은 또 생각하시겠죠. "SNS를 전체공개 하지말고 사생활 보호 설정을 하는 게 어떨까?"



Well, these perpetrators were calculated. 

성범죄자들은 매우 계획적이었습니다. 



They befriended my friends on social media under fake profiles, 

그들은 SNS에서 가짜 프로필을 만들어 제 친구들과 친구를 맺었고,



they followed the public galleries of the events and places I regularly visited. 

제가 자주 방문하는 행사나 장소의 공개 갤러리를 팔로우하기도 하더군요. 



But why? 

그런데 왜 그런 거죠? 



Why should one have to retreat and hide out of fear that something like this could happen? 

왜 제가 이런 일이 일어날 거라는 불안감으로부터 도망가고 숨어야 하는 걸까요?



What I post and what I wear isn't an invitation to violate and abuse me. 

제가 SNS에 올리고, 제가 입는 옷은 제게 성적 폭력과 학대를 행하라는 초대장이 아닙니다. 



The only person that should be changing their behavior is the perpetrators. 

행동 수정이 필요한 사람은 그 누구도 아닌 바로 성범죄자들입니다. 



Now, you might be thinking, why me? 

여러분들은 어째서 저인지 생각하시겠죠. 



Well, I'm just one of the thousands upon thousands of ordinary women 

저는 수천 수만 명 중의 평범한 여성으로



who are being preyed upon in these mass-scale, horrific online cultures, 

착취의 대상이 되고 만연하고 있는 끔찍한 온라인 문화,



websites and threads that are dedicated to sexually exploiting and doctoring ordinary images of women into porn. 

웹사이트와 포스팅에서 평범한 여성들의 사진을 포르노로 착취하고 조작하고 있는데 그 중 한 명인 겁니다.



As I speak, there are women who are being preyed upon, and they don't even know it. 

제가 지금 강연하는 동안에도, 여성들은 먹잇감이 되고 있지만 그들 자신은 전혀 모르고 있죠. 



In the beginning, I tried seeking help. 

처음에는 도움을 찾아다녔습니다. 



I went to police, I contacted government agencies, I even tried to hire a private investigator, but they were too expensive. 

경찰도 찾아가봤고, 정부 기관에서 연락을 해봤습니다. 사설 탐정을 고용하려고까지 생각해보았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았습니다. 



There was nothing that they could do. 

그리고 그들이 해줄 수 있는 것도 없었죠. 



I mean, what could you do when the sites are hosted overseas and the perpetrators are from overseas? 

제말은, 뭘 할 수 있겠어요? 웹사이트는 해외에서 등록된 것이고 성범죄자들도 해외에 있으니 말이에요.



I was told I had to contact the sites one by one, notifying the webmasters to get everything deleted. 

저는 그 웹사이트에 하나하나 다 따로 연락을 하라고 조언을 받았죠. 관리자에게 삭제를 해달라고 요청하라고요. 



And so as you can imagine, in complete and utter fear and pain, I did. 

아마 여러분이 상상하시는대로, 극도의 불안과 엄청난 고통 속에서 그렇게 했습니다. 



I contacted the webmasters, requesting that they delete the material shared without consent. 

저는 사이트 관리자들에게 연락을 해서, 제 동의없이 무단전재된 것들을 모두 삭제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And I had some successes, but I also had some major setbacks. 

그리고 몇몇 성공 사례가 있었죠. 하지만 완전히 실패하기도 했습니다. 



The more I fought, the more sites I would discover, 

제가 더 싸울수록, 저는 더 많은 사이트를 발견했고, 



and with time, the more my images were being seen and shared in the tens of thousands. 

시간이 가면서, 더 많은 저의 이미지를 수만 명의 사람들이 조회를 하거나 공유를 하더군요.



I had one webmaster respond to me saying he'll only delete the site if I sent him nude photos of myself within 24 hours. 

제게 응답을 해왔던 어떤 관리자는 24시간 이내에 제 누드사진을 보내야만 사이트를 삭제해 주겠다고 했습니다. 



And this went on for years, fighting against these dodgy, disgusting sites. 

사기치는 더러운 사이트들과 싸운지 이미 몇년이 지났습니다.



But I was fighting a losing battle. 

하지만 저는 지는 싸움을 하고 있었죠.



And I couldn't continue this any longer for my own mental health. 

제 정신건강을 위해서 더이상 이것을 계속 할 수 없었습니다. 



But what could I do? 

제가 뭘 할 수 있었을까요? 



Maybe, I thought, if I spoke out, I could reclaim my name, and I could rewrite my narrative on my own terms. 

아마, 제 생각에는, 공개적으로 이에 대한 발언을 했다면 제 자아를 다시 되찾고, 저의 언어로 저의 이야기를 다시 써나갈 수 있었을 것 같아요.



Maybe if I spoke out, I could raise awareness about this. 

아마 제가 공개적으로 이 사건을 드러냈다면 이에 대한 의식을 고양할 수도 있었겠죠.



Maybe I could even try to change the law. 

아마 법을 바꾸려고 노력을 해볼 수도 있었겠죠. 



And so I did. 

저는 그렇게 했습니다. 



I spoke out publicly late last year and news of my story reverberated around the world. 

작년 말쯤 저는 공개적으로 이 모든 사건을 밝혔습니다. 제 이야기에 대한 뉴스는 전세계적인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But this was the response. 

하지만 되돌아 온 반응은 이랬습니다. 



"She's a fat, ugly slut, she's a whore." 

"뚱뚱하고 못생겼네. 창녀 주제에."



"She's an attention-seeking piece of trash." 

"관심 종자 쓰레기일 뿐이야."



"Feel flattered, baby, it's a compliment." 

"자랑스럽게 생각해. 이게 다 칭찬이야." 



I was victim-blamed and slut-shamed and told I was deserving of what happened to me. 

피해자인 저를 비난했고 난잡하다고 비난받았습니다. 그래서 제게 일어난 일이 마땅한 일이라고도 했습니다. 



And quite frankly, that was more difficult for me to endure than my actual experiences of image-based abuse. 

정말 솔직하게 말하면, 이게 더 견디기가 힘들었습니다. 이미지로 학대 당했던 실제로 있었던 경험보다더 훨씬 더요. 



But I couldn’t let this criticism defeat me. 

하지만 그런 비난때문에 패배할 순 없었습니다. 



I knew what the perpetrators had done was wrong, and I knew what they were doing to others was wrong. 

성범죄자들의 행위는 잘못된 것임을 저는 알고 있었고, 그들이 타인에게 행하고 있는 것은 잘못된 것임을 알고 있었죠.



And so I petitioned.

저는 탄원서를 제출했습니다. 



I sent out impassioned pleas for support. 

도와달라고 간절한 요청을 하였음에도, 



But it didn't work. 

소용이 없었습니다. 



I think I got like 330 signatures. 

겨우 330명 정도의 서명을 받았을 뿐입니다.



And that was really disheartening. 

정말 낙담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But I then contacted my state and federal MPs. 

하지만 저는 주의원 및 연방의원에게 연락을 하였습니다.



And I was referred to the New South Wales Attorney General's department, 

저는 뉴 사우스 웨일즈 법무상을 소개받게 되었고, 



who were already in the process of drafting new laws to criminalize the nonconsensual distribution of intimate images. 

그는 이미 새로운 법안 입안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Image-based sexual abuse. 




Some of you might know it as revenge porn. 

아마 리벤지 포르노라고 알고 계신 분도 계실 겁니다. 



And soon I became a spokesperson, a public face for the new laws. 

저는 바로 대변인이 되었으며, 새로운 법안을 홍보할 사람이 되었죠.



But I must point out, I do not in any way, shape or form want to take credit for this change in the law. 

여기서 짚고 넘어갈 건, 제가 어떤 형태로든 이 법안 변경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으려는 건 아니라는 겁니다.



This is on the backs of cybersafety experts, of researchers, of the Attorney General's department, of so many people who have fought for years. 

이 법안은 사이버 보안 전문가, 연구자, 법무상과 수년 동안 이를 위해 싸워온 많은 사람들이 이룬 업적입니다. 



New South Wales was the first state in all the world to specifically include a provision on altering images. 

뉴 사우스 웨일즈는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이미지를 조작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법 조항을 포함하였습니다. 



Something that happened to me, something you certainly don't hear about very often. 

바로 제게 일어났던 일이죠. 아마 자주 듣지는 못하시는 그런 일이겠지만요. 



And now ACT has also criminalized this, also with a provision on altered images. 

이제 수도 특별 지구에서는 이미지 조작 관련 조항과 함께 이런 행위는 불법화 되었습니다. 



And next year, WA is introducing legislation and hopefully, 

내년에는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주에서도 이 법안을 도입한다고 합니다. 희망하건대, 



they introduce a provision on altered images and I urge every state and every country in this world to follow suit, 

그들도 이미지 조작에 관한 조항을 포함하길 바랍니다. 저는 모든 주와 전세계 모든 국가에서 같은 조치를 취하길 바랍니다.



because right now, there's no justice for people like me. 

왜냐하면 현재 저와 같은 피해자를 위한 정의가 없으니까요. 



Despite it all, despite the hate and despite the criticism, despite the fact that I'm never going to get justice, 

이 모든 역경에도 불구하고, 증오와 비난에도 불구하고, 제가 정의를 기대하기에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because my experiences happened before this movement of law reform, 

저는 법안 개혁의 움직임 이전에 그 모든 것을 경험하였기에,



speaking out was the best thing I've ever done, because I know for a fact that it has helped people. 

드러내놓고 밝히는 것이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이었습니다. 그것이 사람들을 도울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으니까요. 



And I just want to live in a world where, regardless of what I wear or what I post, 

저는 살고 싶은 세상은 바로 제가 어떤 옷을 입고, 어떤 사진을 올리는지 상관없이 



that I'm still worthy of being treated with dignity and respect. 

여전히 존엄성을 유지하며 존중받을 가치가 있는 그런 세상입니다.



Respect. 

존중해주세요.



Now, that's an idea worth sharing. 

그게 바로 퍼뜨릴만한 가치가 있는 아이디어예요. 



Thank you. 

감사합니다. 




https://www.ted.com/talks/noelle_martin_online_predators_spread_fake_porn_of_me_here_s_how_i_fought_back/transcript?language=ko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