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 going to tell you a story. 

이야기를 하나 들려드리죠.



I'm going to tell you a story about how the deadliest consumer product imaginable came to be. It's the cigarette.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소비재가 얼마나 치명적일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담배 말입니다.



The cigarette is the only consumer product that, when used as intended, will kill half of all long-term users prematurely, later in life. 

담배는 그 목적 그대로 소비하면 그걸 오랫동안 소비한 사람의 수명을 단축하는 유일한 소비재입니다.



But this is also a story about the work that we're doing at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specifically, 

이 이야기는 식품 의약국에서 해야 하는 일에 대한 이야기이며 구체적으로는, 



the work that we're doing to create the cigarette of the future, 

미래 담배를 개발하려고 하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that is no longer capable of creating or sustaining addiction. 

중독자가 더 이상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한 담배를요. 



A lot of people think that the tobacco problem or the smoking problem has been solved in the United States 

많은 사람이 미국 내의 담배 혹은 흡연의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생각합니다.


because of the great progress that's been made over the last 40, 50 years, when it comes to both consumption and prevalence. 

지난 40, 50년간 눈에 띄게 줄어든 소비와 보급이 그 이유겠지요. 



And it's true; smoking rates are at historic lows. 

네, 사실입니다. 흡연율은 역사상 최저입니다.



It's true for both adults and for kids. 

성인과 아이들 모두에서 말이죠.



And it's true that those who continue to smoke are smoking far fewer cigarettes per day than at any time in history. 

그리고 기존 흡연자들이 하루에 피우는 담배 또한 역사상 최저인 게 사실입니다. 



But what if I told you that tobacco use, 

하지만 제가 여러분께 담배를 사용하는 것이



primarily because of firsthand and secondhand exposure to the smoke in cigarettes,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담배 연기에 노출이 되어



remains the leading cause of completely preventable disease and death in this country? 

여전히 미국 내에서 예방할 수 있는 질병과 죽음의 원인 되고 있다면 어떠시겠습니까?



Well, that's true. 

그건 사실입니다.



And what if I told you that it's actually killing more people than we thought to be the case ever before? 

그리고 만일, 흡연이 사실상 저희가 생각한 것보다 전보다 더 많은 사람을 죽이고 있다면요?



That's true, too. 

그 역시 사실입니다.



Smoking kills more people each year than alcohol, AIDS, car accidents, illegal drugs, murders and suicides combined. 

흡연은 매년 술, 에이즈, 교통사고, 불법 마약, 살인 그리고 자살을 합한 숫자보다 더 많은 사람을 죽이고 있습니다.



Year in and year out. 

해마다 말이죠. 



In 2014, Dr. Adams's predecessor released the 50th anniversary Surgeon General's report on smoking and health. 

2014년에, 고 애덤스 박사는 흡연과 건강이라는 50주년 기념 보건국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And that report upped the annual death toll from smoking, because the list of smoking-related illnesses got bigger. 

그 보고서에는 흡연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증가했다고 나옵니다. 흡연과 연관된 질병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And so it is now conservatively estimated that smoking kills 480,000 Americans every year. 

그래서 이제 흡연은 연간 48만 명 미국인의 사망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These are completely preventable deaths.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사망입니다. 



How do we wrap our heads around a statistic like this? 

우리는 이런 통계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So much of what we've heard at this conference is about individual experiences and personal experiences. 

이 강연에서 우리가 들은 대부분은 개별적이고 개인적인 경험에 관한 것입니다.



How do we deal with this at a population level, when there are 480,000 moms, dads, sisters, brothers, aunts and uncles dying unnecessary deaths every year from tobacco? 

이 문제를 인구층위에서 어떻게 다뤄야 하며, 48만 명의 어머니, 아버지, 자매, 형제, 숙모 그리고 삼촌들이 흡연으로 인해 매년 불필요하게 사망할 때 말이죠. 



And then what happens when you think about this trajectory for the future? 

이 궤도가 미래에 어떠한 일을 야기시킬지 생각해볼까요?



And just do the simple math: 

간단한 계산을 해봅시다.



from the time of the 50th anniversary Surgeon General's report five years ago, when this horrible statistic was raised, 

5년 전인 50주년 기념 보건국 보고서에서 이 끔찍한 통계가 발표됐을 때,



just through mid-century -- that's more than 17 million avoidable deaths in the United States from tobacco use,

중반만 해도, 1,700만 명이 넘는 죽음을 담배로부터 막을 수 있었습니다. 



primarily because of cigarettes. 

주된 원인이 담배였으니까요. 



The Surgeon General concluded that 5.6 million children alive in the United States in 2014 will die prematurely later in life because of cigarettes. 

보건국의 결론에 따르면 2014년 미국에서 사는 560만 명의 아이들은 후에 담배로 인해 요절하게 될 것입니다.



Five point six million children. 

560만 명의 아이들이요. 



So this is an enormous public health problem for all of us but especially for us as regulators at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Center for Tobacco Products. 

이것은 우리 모두에게 중대한 공중 보건 문제입니다. 특히 저희 식품 의약품국과 담배 생산 협회 종사자들에게 말이죠. 



What can we do about it? 

우리가 무얼 할 수 있을까요?






What can we do to reverse this trajectory of disease and death? 

이 질병과 사망의 궤도를 어떻게 뒤집을 수 있을까요? 



Well, we have an interesting guide to help unravel issues like: 

저희에겐 문제를 풀 유용한 안내서가 있죠.



How did the cigarette as we know it come to be? 

어떻게 담배가 우리가 아는 담배가 되었을까요?



What is the true nature of the tobacco and cigarette business? 

담배와 담배 사업의 진정한 본질은 무엇일까요?



How did the industry behave in the historically unregulated marketplace?

이 산업은 그동안 규제되지 않았던 시장에서 어떤 행동을 했을까요?



And our guide is previously secret internal documents from the tobacco industry. 

그리고 우리의 안내서는 이전에는 기밀로 분류된 담배회사 내부문서입니다.



Come with me in a tobacco industry document time machine. 

저와 함께 타임머신을 타고 담배 회사로 가보죠. 



Nineteen sixty-three was 25 years before the Surgeon General was finally able to conclude that the nicotine and cigarettes was addictive. 

1963년은 보건국이 마침내 니코틴과 담배가 중독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리기 25년 전입니다.



That did not happen until the Surgeon General's report in 1998. 

1998년 보건국 보고서가 처음이었습니다.



Nineteen sixty-three was one year before the first-ever Surgeon General's report in 1964. 

1963년은 1964년 첫 보건국 보고서 일 년전입니다. 



I remember 1964. 

저는 1964년을 기억합니다.



I don't remember the Surgeon General's report, but I remember 1964. 

보건국 보고서는 기억나지 않지만, 1964년은 기억이 납니다.



I was a kid growing up in Brooklyn, New York. 

뉴욕시의 부르클린에 사는 어린아이였습니다.



This was at a time when almost one in two adults in the United States smoked. 

그 시절에는 미국 내 성인 두 명 중 한 명이 담배를 피웠습니다.



Both of my parents were heavy smokers at the time. 

저희 부모님 두 분도 골초였죠.



Tobacco use was so incredibly normalized that -- 

흡연은 그냥 당연시되었고



and this wasn't North Carolina, Virginia or Kentucky, this was Brooklyn -- 

그곳은 북부 캐롤라이나도, 버지니아나 켄터키도 아닌, 브루클린이었습니다.



we made ashtrays for our parents in arts and crafts class. 

미술 시간에 부모님을 위해 재떨이를 만들었습니다.



The ashtrays I made were pretty awful, but they were ashtrays. 

제가 만든 재떨이는 볼품없었지만, 그래도 재떨이였습니다. 



So normalized that I remember seeing a bowl of loose cigarettes in the foyer of our house and other houses as a welcoming gesture when friends came over for a visit. 

너무도 당연했기에, 집과 이웃집의 현관에서 담배꽁초를 흔히 본 기억이 납니다. 친구가 집에 놀러 올 때 환영하는 것처럼요.



OK, we're back in 1963. 

1963년으로 돌아가 보죠.



The top lawyer for Brown and Williamson, which was then the third-largest cigarette company in the United States, wrote the following: 

그 당시 미국에서 세 번째로 큰 담배회사 브라운과 윌리엄슨의 최고 변호사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습니다. 



"Nicotine is addictive. We are, then, in the business of selling nicotine -- an addictive drug." 

"니코틴은 중독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중독성 마약 니코틴을 판매하는 사업을 합니다."



It's a remarkable statement, as much for what it doesn't say as for what it does say. 

주목할 만한 진술입니다. 말하지 않는 만큼 말한 것입니다.



He didn't say they were in the cigarette business. 

담배 사업을 한다고 하지 않았습니다.



He didn't say they were in the tobacco business. 

담뱃잎 사업이라고도 하지 않았습니다.



He said they were in the business of selling nicotine. 

니코틴을 파는 사업을 한다고 했습니다. 



Philip Morris in 1972: "The cigarette isn't a product, it's a package. The product is nicotine. 

1972년에 필립 모리스는 "담배는 제품이 아닙니다. 포장입니다. 제품은 니코틴입니다.



The pack is a storage container for a day's supply of nicotine. 

그 포장은 니코틴의 하루 공급을 위한 보관 용기입니다.



The cigarette, a dispenser for a dose unit of nicotine." 

담배는 니코틴을 흡입량을 위한 기계죠."



We'll come back to this dose unit notion later. 

이 흡입량의 개념은 나중에 다시 얘기하겠습니다.



And R.J. Reynolds in 1972: 

1972년에 R.J. 레이놀즈는 


"In a sense, the tobacco industry may be thought of as being a specialized, highly ritualized and stylized segment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어떤 의미에서, 담배 산업은 전문화되고, 고도로 의식화 되고 규격화 된 제약산업의 일부분입니다.



Tobacco products uniquely contain and deliver nicotine, a potent drug with a variety of physiological effects." 

담배 제품은 독특한 방식으로 니코틴을 배달하는데, 효과가 강한 이 약은 다양한 생리작용을 일으키죠." 


06:46

At the time, and for many decades, publicly, the industry completely denied addiction and completely denied causality. 

그때, 그리고 수십 년 동안, 공개적으로, 담배 산업은 중독성을 완강히 부인하고 인과관계도 완강히 부인했습니다.



But they knew the true nature of their business. 

하지만 자신들의 사업의 진정한 본질은 알고 있었습니다.



And from time to time, there have been health scares made public about cigarettes, going back many decades. 

때때로, 건강에 대한 염려가 담배에 대해 공론화되었죠. 수십 년 전으로 돌아가 보죠.



How did the industry respond? 

담배 산업은 어떻게 반응했을까요?



And how did they respond in this historically unregulated marketplace? 

그리고 그들은 그동안 규제되지 않은 시장에서 어떻게 반응했을까요? 



Going back to the 1930s, it was with advertising that heavily featured imagery of doctors and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sending messages of reassurance. 

1930년대를 돌이켜보면, 의사와 의료 전문가들이 안심시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장된 이미지의 광고들이 있었습니다.



This is an ad for Lucky Strikes, the popular cigarette of the time in the '30s: 

이것은 러키 스트라이크의 광고입니다. 30년대에 인기를 끌던 담배입니다. 



[20,679 physicians say "Luckies are less irritating." 

[20,679명의 의사가 말합니다. "러키는 덜 자극적입니다." 



Your throat protection against irritation, against cough.

자극과 기침으로부터 여러분의 목을 보호합니다.] 



We laugh, but this was the kind of advertising that was there to send a health message of reassurance. 

우리는 웃지만, 이런 류의 광고였습니다. 건강하다고 안심시키는 듯한 메시지들을 보내는 거죠. 



Fast-forward to 1950s, '60s and '70s. 

1950, 60, 70년대로 빨리 감기를 해보겠습니다.



And here, again, in the absence of regulation, 

역시군요, 규제가 없습니다.



what we're going to see is modifications to the product and product design to respond to the health concerns of the day. 

우리가 보게 될 것은 당시에 제기 된 건강 문제를 반영한 제품과 그 제품 디자인의 변경된 모습입니다. 



This is the Kent Micronite filter. 

이것은 켄트 마이크로나이트 필터입니다.



And here, the innovation, if you will, was the filtered cigarette. 

여기에 따르면, 혁신적인, 필터담배가 있습니다. 



[Full smoking pleasure ... plus proof of the greatest health protection ever.] 

[온전한 흡연의 즐거움... 거기에 건강을 보호하는 가장 확실한 증거] 



What the smoker of this product didn't know, what their doctor didn't know, 

이 제품의 흡연자가 몰랐고, 그들의 의사들도 몰랐고,






what the government didn't know, is that this was a filter that was lined with asbestos -- 

정부도 몰랐던 것은, 그 필터가 석면으로 되었다는 것입니다. 



so that when smokers were smoking this filtered cigarette and still inhaling the chemicals and smoke that we know are associated with cancer and lung disease and heart disease, they were also sucking down asbestos fibers.

흡연자가 이 필터담배를 피울 때 여전히 암과 폐질환과 관련 되어 있다고 여겨지는 담배의 연기를 들이마시고 심장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석면까지 들이마시는 것입니다.



In the 1960s and the 1970s, the so-called innovation was the light cigarette.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라이트 담배는 혁명적이었습니다.



This is a typical brand of the day called True. 

오늘날 트루라 부르는 브랜드죠. 



And this is after the Surgeon General's reports have started coming out. 

그리고 이것은 보건국 보고서가 나오기 시작한 후입니다.



And you see the look of concern on her face. 

저 여성의 근심 어린 표정이 보일 것입니다. 



[Considering all I'd heard, I decided to either quit or smoke True. I smoke True.] 

[제가 들은 소식들을 고려해 금연을 하든지 트루를 피우든지 해야겠죠. 저는 트루를 피웁니다.] 



[The low tar, low nicotine cigarette.] And then it says, "Think about it." 

[타르가 낮으면, 담배 니코틴도 낮습니다.] 그리고는 "생각해보세요." 라고 말합니다. 



And then even below that in the small print are tar numbers and nicotine numbers. 

지어 그 아래에 인쇄된 작은 글씨들은 타르 숫자와 니코틴 숫자들입니다.



What was a light cigarette? How did it work? 

라이트 담배란 무엇일까요? 어떻게 작용할까요? 



This is an illustration of the product modification known as "filter ventilation." 

이것은 "필터 환기"로 알려진 제품을 간단하게 그림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That's not a real filter blown up. 

이게 진짜 필터는 아닙니다.



That's just a picture so that you could see the rows of laser-perforated ventilation holes that were put on the filter. 

그냥 그림일 뿐입니다. 보시면 줄로 환기 구멍을 만들어서 거기에 필터를 끼우는 것입니다.



When you look at a real cigarette, it's harder to see. 

진짜 담배를 본다면, 찾기 어렵습니다.



Every patent for this product shows that the ventilation holes should be 12 millimeters from the lip end of the filter. 

특허를 받은 이 제품은 모두 환기 구멍은 필터의 끝에서부터 입술까지 12mm떨어져야 합니다. 



How did it work? 

어떻게 작용할까요?



The cigarette got stuck into a machine. 

담배가 기계에 껴있습니다.



The machine started puffing away on the cigarette and recording tar and nicotine levels. 

기계가 담배를 피우기 시작하면 타르와 니코틴 수치를 기록합니다.



As the machine smoked, outside air came through those ventilation holes and diluted the amount of smoke that was coming through the cigarette. 

기계가 담배를 피울수록, 외부 공기가 환기 구멍으로 들어오면 담배를 통해 들어오는 연기를 일정량 희석합니다.



So as the machine smoked, there really was less tar and nicotine being delivered compared to a regular cigarette. 

그래서 기계가 담배를 피우면 피울수록 일반 담배와 비교해 타르와 니코틴이 실제로 덜해집니다.



What the tobacco industry knew was that human beings don't smoke like machines. 

담배 업계가 알고 있던 것은 사람은 기계처럼 흡연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How do human beings smoke this? Where do the fingers go? 

사람은 어떻게 담배를 피울까요? 손가락이 어디에 있나요? 



Where do the lips go? 

입술은 어디에 있죠?



I told you that the patent said that the holes are 12 millimeters from the lip end. 

제가 말한 그 특허에는 그 구멍들이 입술 끝에서 12mm 떨어져 있다고요.



The smoker didn't even know they were there, but between fingers and lips, the holes get blocked. 

흡연가들은 구멍이 있다는 것조차 몰랐지만 손가락과 입술 사이에서, 그 구멍들은 막히게 됩니다.



And when the holes get blocked, it's no longer a light cigarette. 

구멍들이 막히면, 더는 라이트 담배가 아닌 것입니다.



Turns out that there's actually basically as much nicotine inside a light cigarette as a regular cigarette. 

사실상 기본적으로 라이트 담배 안에 일반 담배만큼의 니코틴이 들어왔습니다.



The difference was what's on the outside. 

차이점은 외부에 있었습니다.



But once you block what's on the outside, it's a regular cigarette. 

하지만 외부 구멍이 막히는 순간, 일반담배인 것입니다. 



Congress put FDA in the business of regulating tobacco products 10 years ago this June. 

10년 전 6월에 의회는 식품 의약품국을 담배 제품을 규제하라고 했습니다.



So you heard the statistics at the beginning about the extraordinary contribution to disease and death that cigarettes make. 

강연 초반에 담배가 질병과 사망에 얼마나 기여하는 지에 대한 놀라운 통계를 말씀드렸습니다.



We've also been paying a lot of attention to how the cigarette works as a drug-delivery device and the remarkable efficiency with which it delivers nicotine. 

저희는 또한 담배가 어떻게 약물 전달 장치로서 작용하고 효율적으로 니코틴을 전달하는지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So let's take a look. 

어디 한 번 볼까요.



When the smoker puffs on the cigarette, the nicotine from that puff gets up into the brain in less than 10 seconds. 

흡연자가 연기를 들이마시면 거기에서 나온 니코틴이 10초 안에 뇌까지 갑니다.



Less than 10 seconds. Up in the brain, there are these things called "nicotinic receptors." 

10초 안에 말이죠. 뇌에는, "니코틴 수용체"라고 불리는 것들이 있습니다.



They're there ... waiting. 

그것들 거기... 기다리고 있습니다.



They're waiting for, in the words of that Philip Morris document, the next "dose unit of nicotine." 

필립 모리스의 기록에 따르면, 그 니코틴 수용체들은 다음 니코틴 흡입량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The smoker that you see outside, huddled with other smokers, in the cold, in the wind, in the rain, is experiencing craving and may be experiencing the symptoms of withdrawal. 

밖에서 보는 흡연자는, 다른 흡연가들과 모여서, 추위에도, 바람에도, 빗속에도, 간절함을 경험하고 어쩌면 금단 증상을 경험할 지도 모릅니다. 



Those symptoms of withdrawal are a chemical message that these receptors are sending to the body, saying, "Feed me!" 

금단 증상들은 수용체가 몸에 보내는 "먹이를 주세요!" 라고 말하는 화학적 메시지입니다. 






And a product that can deliver the drug in less than 10 seconds turns out to be an incredibly efficient and incredibly addictive product. 

10초 안에 약물을 전달하는 제품은 놀랍도록 효과적이고 놀랍도록 중동성 있는 제품입니다.



We've spoken to so many addiction treatment experts over the years. 

저희는 지난 수년간 많은 중독 치료 전문가들에게 설명해왔습니다. 



And the story I hear is the same over and over again: 

그리고 제가 듣게 되는 이야기는 매번 같습니다.



"Long after I was able to get somebody off of heroin or cocaine or crack cocaine, I can't get them to quit cigarettes." 

"저는 헤로인이나 코카인 중독에 빠진 누군가를 오랫동안 빼내 온 경력이 있습니다만, 담배는 끊게 할 수 없었습니다." 



A large part of the explanation is the 10-second thing. 

그 원인은 대부분 그 10초 작용 때문입니다. 



FDA has it within its regulatory reach to use the tools of product regulation to render cigarettes as we know them minimally or nonaddictive. 

식품 의약품국은 니코틴 양도 적고 중독성이 없는 대체 담배를 정식 약품으로 등록하려 하고 있습니다.



We're working on this. 

계속 노력 중에 있고요.



And this could have a profound impact at a population level from this one policy. 

그리고 이 하나의 정책이 인구층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We did dynamic population-level modeling a year ago, and we published the results in "The New England Journal." 

우리는 일 년 전에 활발한 인구층 모델링을 진행했고, 그 결과를 "뉴잉글랜드저널"에 게재하였습니다.



And because of the generational effect of this policy, which I'll explain in a minute, 

전 세대를 대상으로 한 이 정책은 제가 몇 분뒤에 설명할 테지만,



here's what we project out through the end of the century: 

저희가 한 세기가 끝날 때까지 계획하고 있는 것은 이렇습니다.



more than 33 million people who would otherwise have gone on to become regular smokers won't, 

흡연자가 될 뻔했던 3,3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은 더 이상 흡연자가 아니게 될 겁니다.



because the cigarette that they'll be experimenting with can't create or sustain addiction. 

그들이 피우게 될 담배는 중독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죠.



This would drive the adult smoking rate down to less than one and a half percent. 

성인 흡연율은 1.5% 이하로 떨어질 것입니다.



And these two things combined would result in the saving of more than eight million cigarette-related deaths that would otherwise have occurred from the generational impact of this. 

이 두 가지를 합한 결과는 담배와 관련 된 8만 명이 넘는 사망자의 숫자를 줄일 수 있을 것이며 세대를 거치면서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입니다. 



Now, why am I saying "generational"? 

왜 제가 "세대를 거치는"이라고 표현하냐고요?



It's about kids. 

어린아이들 때문입니다.



Ninety percent of adult smokers started smoking when they were kids. 

90%의 성인 흡연자들이 어릴 때 흡연을 시작했습니다.



Half of them became regular smokers before they were legally old enough to buy a pack of cigarettes. 

그 중 절반이 주기적으로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합법적으로 담배를 살 수 있는 나이가 되기도 전에요.



Half of them became regular smokers before they were 18 years old. 

그 중 절반이 열여덟살이 되기 전에 이미 중독이 되었습니다.



Experimentation. Regular smoking. Addiction. Decades of smoking. And then the illness, 

호기심. 흡연. 중독. 수십 년의 흡연. 그리고는 질병,



and that's why we're talking about a product that will kill half of all long-term users prematurely later in life. 

오랫 동안 이 제품을 사용한 사람들을 조기 사망에 이르게 하는 이 제품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유입니다.



The generational impact of this nicotine-reduction policy is profound.

이 니코틴 감소 정책의 세대를 거치는 효과는 엄청납니다.



Those old industry documents had a word for young people. They were described as "the replacement smokers." 

이 업계의 오래 된 문서에는 젊은 사람들에 대해 이렇게 표현합니다. 담배에 중독 돼 일찍 죽은 흡연자들을 대체할 차세대 흡연가요. 



The replacement smokers for addicted adult smokers who died or quit. 

담배에 중독 돼 일찍 죽은 흡연자들을 대체할 차세대 흡연가요. 



Future generations of kids, especially teens, are going to engage in risky behavior. 

후대의 어린이들, 특히 십대들은, 여러 일탈들을 하겠죠.



We can't stop that. 

그걸 막을 수는 없을 겁니다.



But what if the only cigarette that they could get their hands on could no longer create or sustain addiction? 

하지만 만일 십대들이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담배가 더는 중독을 유발하지 않는다면 어떨까요?



That's the public health return on investment at a population level over time. 

이것이 바로 세대를 거쳐서 공중보건에 투자한데에 대한 보상입니다. 



Haven't said anything about e-cigarettes. 

전자 담배에 대해 아직 이야기하지 않았군요. 



But I have to say something about e-cigarettes. 

여기에 대해서 꼭 할 말이 있습니다. 



We are dealing with an epidemic of kids' use of e-cigarettes. 

전자 담배를 사용하는 어린이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And what troubles us the most, in combination with the rising numbers when it comes to prevalence, is frequency. 

여기에서 가장 큰 문제는 늘어나는 숫자와 함께 유행이 되면서 빈번해진다는 겁니다.



Not only are more kids using e-cigarettes, 

어린이의 전자 담배 흡연률 증가 뿐만이 아니라



but more kids are using e-cigarettes 20 or more days in the past 30 days than at any time since e-cigarettes came onto the market. 

30일 중에 20일 이상 전자 담배를 피운 어린이들이 전자 담배가 시장에 나온 이후 그 어느 때보다 증가했습니다.



And at FDA, we're doing everything that we can using program and policy, 

식품 의약품국에서는, 프로그램과 정책을 통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first to get the word out to kids that this is not a harmless product and to make sure that kids aren't initiating and experimenting on any tobacco product, 

먼저 어린이들에게 이 제품도 해롭다는 것을 알리고 어린이들이 실제로 담배를 태우든 아니든, 



whether combustion is present or not. 

담배를 시작하거나 시도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But think about e-cigarettes in a properly regulated marketplace as something that could be of benefit to addicted adult cigarette smokers who are trying to transition away from cigarettes. 

하지만 적절하게 규제된 시장 안에서 담배를 끊으려고 하는 중독된 성인 흡연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는 전자 담배를 생각해 보세요. 



So, I'll leave you with this vision: 

여러분께 이런 관점을 제시해 볼까 합니다.



imagine a world where the only cigarette 

이런 세상을 상상해 봅시다.



that future generations of kids could experiment with could no longer create or sustain addiction because of a single policy. 

미래 세대의 아이들이 접할 수 있는 유일한 담배가 단 하나의 정책 때문에 더 이상 중독을 일으키지 않는 세상.



Imagine a world where health-concerned cigarette smokers, 

이런 세상을 상상해 봅시다. 건강을 염려하는 흡연자들이,



especially if a policy goes into effect that takes the nicotine levels down to minimally or nonaddictive levels, 

특히 정책이 적용되는 이런 흡연자들에게 니코틴 흡입을 최소화 할 수 있고



could transition to alternative and less harmful forms of nicotine delivery, 

중독을 최소화하는 니코틴을 전달해 주는 훨씬 덜 유해한



starting with FDA-approved nicotine medications, 

니코틴 약품이 FDA의 승인을 받아서 시판되기 시작한 세상. 



like the gum, patch and lozenge. 

예를 들어서 껌, 반창고, 사탕 같은. 



And finally, imagine a world and a properly regulated marketplace, 

그리고 마지막으로, 적절하게 규제된 시장을 상상해보세요.



whether it's e-cigarettes or whatever the technology of the day, 

전자 담배나 그 시대의 기술 어떤 것이든,



it's not the product developers and the marketers who decide which products come to market and what claims get made for them, 

제품을 개발한 사람이나 물건을 파는 사람들이 시장에 어떤 물건을 팔지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그들이 어떤 요구를 하든,



it's review scientists at FDA, 

FDA소속 과학자들이 검토하고,



who look at applications and decide, 

신청서를 살펴보면서 결정하고,



using the standard that Congress has entrusted us to implement and enforce, whether a particular product should come to market, 

의회에서 세운 기준을 통해서 그걸 실행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제품이 시장에 나와도 되는지 결정하는 겁니다.



because the marketing of that product and the words of our law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protection of the public health. 

그렇게 해서 시장에 그 제품을 내놨을 때 현재의 법률로 그 제품이 공중 보건에 적합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세상.



These are the kinds of powerful regulatory tools that are within our reach to deal with what remains the leading cause of completely preventable disease and death in the country. 

이렇게 강력한 규제 조치들이 현재까지도 충분이 예방할 수 있는 질병과 죽음의 원인이 되는 것들을 이 나라에서 막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If we get this right, that trajectory, those 5.6 million kids, is breakable. 

이걸 올바르게 해낸다면, 그 궤도, 560만 명의 어린이들을, 구할 수 있습니다. 





Thank you.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