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 a biological oceanographer. 

저는 해양 생물학자입니다. 



I have the absolute privilege of studying microbial lives in the Pacific Ocean. 

저는 태평양의 미생물을 연구하는 특권을 누리고 있습니다.



So we'll talk about microbes in a minute, 

곧 미생물에 대해 이야기하겠지만,



but I first want to give you a sense of place, a sense of scale. 

먼저 이곳에 대한 여러분의 느낌과 크기를 와닿게 하고 싶습니다. 



The Pacific Ocean is our largest, deepest ocean basin. 

태평양은 지구에서 가장 크고 깊은 바다입니다. 



It covers 60 million square miles. 

대략 6천만 제곱마일이나 되죠. 



If you took all the continents and you put them together in a little Pangaea 2.0, 

모든 대륙을 다 떼다 붙여서 미니 판게아를 만들어 보면 



they'd fit snug inside the Pacific, with room to spare. 

태평양 안에 다 들어갈 뿐더러 공간이 남을 것입니다.



It's a massive ecosystem, from the blues of the open ocean to the green of the continental margins. 

이곳은 거대한 생태계입니다. 깊고 푸른 외해에서부터 해저 대륙 주변부까지. 



In this place, I get to study the base of the food web: plankton. 

이곳에서, 저는 먹이사슬의 최하위층을 연구합니다. 바로 플랑크톤이죠. 



Now, in my research, and really in the field of microbial oceanography as a whole, there's a theme that has emerged, 

제 연구, 그러니까 해양 미생물학 분야에서 새로운 주제가 등장했습니다. 



and that theme is "change." 

"변화"라는 주제죠.



These microbial ecosystems are changing in real and measurable ways, 

미생물 생태계에서는 지금 정말로 주목할만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and it is not that hard to see it. 

이를 관찰하는 게 그리 어렵진 않습니다.



Oceans cover 70 percent of our planet, 

해양은 우리 지구의 70%를 차지합니다. 



so ocean change is planetary change, and it all starts with microbes. 

그래서 해양의 변화는 전 지구적인 변화이며, 이 모든 것은 미생물로부터 시작됩니다. 



Now, I have two vignettes to share with you, and these are meant to be love stories to microbes. 

저는 여러분에게 들려드릴 두 일화가 있습니다. 미생물에 관한 러브 스토리라고 할 수도 있겠네요.



But I'll be honest that there's an aspect of it that's just a total bummer, and, beware, focus on the love. Right? 

하지만 솔직히 말해서 그 이야기는 많이 불편한 점도 있을 겁니다. 사랑에 초점을 맞추어 주세요.



That's where I'm coming from. 

제가 거기에서부터 시작할 거거든요. 



So the first thing to know is that the forests of the sea are microbial. 

처음 알아야 할 사실은 바다는 미생물로 이루어진 숲이라는 겁니다. 



And what I mean by that is that, by and large, plants in the open ocean are microscopic, 

그게 무슨 말이냐면, 크게 보면 해양의 식물들은 미생물이라는 것입니다. 



and they are much more abundant than we realize. 

그리고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더 많습니다.



So I'm going to show you some mug shots of these organisms that I've collected over the years. 

그래서 저는 여러분에게 제가 몇 년간 걸쳐서 모은 미생물들의 사진을 보여드릴 것입니다.



These are the lowest rungs of the ocean food web. 

바다의 먹이사슬의 최하위층이죠. 



These are tiny plants and animals that come in a variety of shapes and sizes and colors and metabolisms. 

이것들은 아주 작은 동식물들입니다. 모양, 크기, 색깔, 신진대사까지 아주 다양하죠.



There are hundreds of thousands in a single milliliter of seawater. 

일밀리미터 해수층에도 수천 수만의 미생물들이 존재합니다.



You are definitely swimming with them when you're in the ocean. 

여러분이 바다에 갈 때마다 그들과 함께 수영하고 있는 셈이죠.



They produce oxygen, they consume CO2, 

그들은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소모하며



and they form the base of the food web on which every other form of ocean life is reliant. 

그들은 먹이사슬 최하위층에 있어 다른 해양생물들이 그들에게 의존합니다. 



Now, I've spent about 500 days of my scientific life at sea, 

저는 대략 500일 정도를 바다에서 지내며 연구했고



and a lot more in front of a computer or in the lab, 

그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을 컴퓨터 앞 또는 실험실에서 지냈습니다.



so I feel compelled to tell you some of their stories. 

그래서 저는 그들의 이야기를 여러분과 나누어야만 합니다. 



Let's start in the Pacific Northwest. 

태평양 북서쪽으로부터 시작하죠. 



This place is green. 

이곳은 초록색입니다. 



It is beautiful. 

아주 아릅답죠. 



These are blooms of phytoplankton that you can see from space along the West Coast of the United States. 

이 모습은 미국 서부 해안을 따라 플랑크톤이 꽃핀 모습입니다.



It's an incredibly productive ecosystem. 

아주 비옥한 생태계입니다. 



This is where you go to salmon fish, halibut fish, whale watch. 

여기에 가면 연어, 넙치, 고래까지 볼 수 있습니다.



It's a beautiful part of our country. 

미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 중 하나입니다.



And here, for 10 years, among other things, I studied the uplifting topic of harmful algal blooms. 

그리고 여기서 10년 동안 수많은 것들 중에서도, 저는 해로운 녹조에 대해서 연구해왔습니다.



These are blooms of toxin-producing phytoplankton 

이들은 독성 식물성 플랑크톤으로,



that can contaminate food webs and accumulate in shellfish and fish that are harvested for human consumption. 

먹이사슬을 오염시키며 조개류와 물고기에 안에 쌓인 걸 인간이 먹게 됩니다. 



We were trying to understand why they bloom, where they bloom, when they bloom, 

저희는 이들이 왜 꽃피우는지, 어디에 피는지, 언제 피는지를



so we could manage these harvests and protect human health. 

연구하고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해산물을 관리하여 사람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죠.



Now, the problem is the ocean's a moving target and, 

하지만 바다는 움직이는 목표물입니다. 



much like some people in our lives, toxicity varies among the plankton. 

또 우리 주변에 있는 사람들처럼, 플랑크톤마다 독성 수치가 다릅니다. 



Alright? 

아시겠죠?



So, to get around these challenges, we combined satellite remote sensing with drones and gliders, 

그래서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저희는 인공위성 센서, 드론과 글라이더 뿐만 아니라 



regular sampling of the surf zone and a lot of time at sea in small boats off the Oregon coast. 

서핑 구역의 정기적인 샘플링을 활용하며 오리곤 연안의 작은 배들에서 오랜 시간 관찰했죠. 



And I don't know if many of you have had the opportunity to do that, but it is not easy. 

여러분들에게 이런 기회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쉽지 않습니다. 



[Even oceanographers get seasick] 

[해양학자들도 뱃멀미를 앓습니다] 



Here's some poor students. 

여기 불쌍한 학생들이 있네요. 



I've hidden their faces to protect their identities. 

그들의 신원보호를 위해 얼굴을 가려주었습니다. 



This is a challenging place. 

이곳은 꽤나 힘든 장소입니다. 



So this is hard-won data I'm about to talk about, OK? 

그러니까 제가 지금 얘기하고 있는 정보들은 아주 힘들게 얻은 거라고요. 



So by combining all of our data with our collaborators, 

공동 연구자들과 함께 데이터를 모두 수집해 보니,



we had 20-year time series of toxins and phytoplankton cell counts. 

20년 분량의 독소 및 플랑크톤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And that allowed us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these blooms and to build models to predict them. 

덕분에 저희는 녹조 현상의 패턴을 이해한 뒤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And what we found was that the risk of harmful algal blooms was tightly linked to aspects of climate. 

저희가 발견한 것은 해로운 녹조현상이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다는 것입니다. 



Now when I say "climate," 

제가 말하는 "기후"는 



I don't mean weather day-to-day, I mean long-term changes. 

그날의 날씨가 아니고, 장기적인 변화를 가리키는 거죠. 



These oscillations that you may have heard of -- the Pacific Decadal Oscillation, El Niño -- they usually bring warm, dry winters to this region, 

여러분이 들어보셨을 수도 있는 10년 주기 태평양 진동, 엘니뇨 등의 현상은 보통 해당 지역에 고온건조한 기후를 가져오면서



but they also reduce the strength of the California Current, which runs from the north to the south along the Pacific Northwest, 

태평양 북서지역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캘리포니아 해류를 약화시키기도 합니다.



and they warm the coastal ocean. 

또 연안 지역의 바다를 따뜻하게 하죠. 



These are the reds you're seeing in this plot, warm anomalies, strong positive indices of the PDO. 

이 그래프의 빨간색 부분이 기온 이상을 나타내는 태평양 진동의 양수 지수입니다.



And when we have these changes in circulation and changes in temperature, 

이런 흐름의 변화와 기온의 변화는, 



the risk of harmful algal blooms is increased, 

해로운 녹조 현상이 증가하고 



but also salmon recruitment has decreased, 

또한 연어의 유입률이 줄어들면서, 



and we see intrusions of invasive species like green crab. 

황록색 꽃게 같은 외래 유입종들이 유입되는 것을 볼 수 있었죠.



So these are ecological and economic impacts of climate. 

이는 기후의 생태계적, 경제적 영향입니다. 



Now, if our models are right,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these events are only going to get worse, 

우리의 모델이 맞다면, 이 현상들의 빈도와 심각성은 더 나빠질 것입니다.



right along with these warm anomalies. 

현재 기온 이상의 연장선이죠. 



And, to illustrate that, 2014 was probably one of the worst harmful algal blooms in Oregon history. 

이를 설명해 보자면, 2014년엔 오리건 주 역사상 가장 해로운 녹조현상이 있었습니다. 



It was also the hottest year in the modern climate record at that time, that is until 2015, 2016, 2017, 2018. 

또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한 해이기도 하죠. 2015년 전까지는요. 2016, 2017, 2018. 



In fact, the five hottest years in the modern climate record have been the last five. 

사실, 요즘에 들어 가장 더웠던 5년은 바로 지난 5년이었습니다.



That bodes really well for harmful algal blooms and poorly for ecosystem health. 

해로운 녹조 현상에게는 청신호이지만 생태계 건강에게는 적신호죠. 



Now, you may not care about shellfish, 

여러분이 조개에는 관심 없을 수 있겠지만, 



but these changes impact economically important fisheries, like crab and salmon, 

이 변화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어업에 타격을 줍니다.   예를 들어 게와 연어, 



and they can impact the health of marine mammals like whales. 

그리고 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류의 건강을 위협합니다.



And that might matter a little bit more. That might resonate. 

그러면 조금 더 관심이 갈 겁니다. 조금 더 와닿겠죠. 



So, there's your doomsday tale for the margins of the Pacific. 

여기까지가 태평양 종말 이야기였습니다. 



Actually, these are really resilient ecosystems. 

사실, 태평양은 자생할 수 있는 생태계입니다.



They can absolutely bounce back if we give them a chance. 

우리가 기회를 준다면 다시 원상북구될 수 있죠. 



The point is not to ignore the changes that we're seeing, 

중요한 점은 우리가 보고 있는 현상들을 무시하지 않는 것입니다.



which brings me to my second vignette. 

이것은 제 두 번째 일화와 관련있습니다. 



I have since moved to the most remote island chain on our planet, the Hawaiian Islands, 

그 때 이후로 저는 지구상 가장 외딴 섬에 갔습니다.  바로 하와이 제도였죠.



where I'm the new lead of a program called the Hawaiian Ocean Time-series. 

거기서 "하와이안 해 시계열" 프로그램의 리더가 되었습니다. 



And this is a program that for 31 years has made this monthly pilgrimage to a spot called Station ALOHA. 

이 프로그램은 31년동안 스테이션 ALOHA라는 곳을 매달 순례했습니다.



It's in the middle of the Pacific Ocean, in the center of this vast, swirling system of currents that we call the North Pacific Subtropical Gyre. 

태평양 한가운데에, 이 거대한 소용돌이 해류의 중심을 북태평양 환류라고 부르는 곳에. 


It's our largest ocean ecosystem. 

가장 큰 해양 생태계입니다. 



It's four times the size of the Amazon rain forest. 

아마존 열대우림의 4배나 되는 크기입니다. 



It is warm, in a good way. 

따뜻한 장소입니다. 



It is blue water, it's absolutely the type of place you want to dive in and swim. 

좋은 의미로요. 푸른 바다입니다. 여러분이 수영하고 싶을만한 아름다운 바다죠. 



You cannot do that off of research boats, 

하지만 연구용 보트에서는 다이빙 할 수 없습니다. 



because, you know, sharks. Google it. 

왜냐하면 상어 때문이죠. 구글 검색해 보세요. 



This is a beautiful place.

매우 아름다운 장소입니다. 



And here, since October of 1988, generations of researchers have made these monthly pilgrimages. 

그리고 1988년 10월부터 여러 세대의 연구자들이 매월 이곳으로 순례했습니다.



We study the biology, the chemistry, the physics of the open ocean. 

저희는 바다의 생물학, 화학, 물리학을 연구합니다. 



We've measured the temperature from the surface to the seafloor. 

수면에서부터 해저까지의 기온을 측정했습니다.



We've tracked the currents, traced the waves. 

해류와 파도를 추적해왔습니다. 



People have discovered new organisms here. 

사람들은 이곳에서 새로운 생명체를 발견했습니다.



People have created vast genomic libraries that have revolutionized what we think about the diversity of marine microorganisms. 

사람들은 이곳에서 게놈 라이브러리를 만들어 해양 미생물의 다양성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일구어냈습니다.



It's not just a place of discovery, 

이곳은 단순히 발견의 장소만이 아니었지만



but the important part about time series are that they provide us a sense of history,

시계열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우리에게 역사적인 감각을 갖게 해준다는 겁니다. 



a sense of context. 

연구의 맥락이 되어주는 거죠. 



And in 30 years of data, it's allowed us to separate the seasonal change and see the emergence of humanity's fingerprints on the natural world. 

그리고 30년간의 데이터를 통해 저희는 계절의 변화와 인간이 자연에 끼친 영향 때문에 생긴 현상들을 분리 할 수 있었습니다. 



There's another iconic time series in Hawaii, and that is the Keeling Curve. 

하와이에는 또 다른 시계열이 있습니다. "킬링 곡선"이라고 불리죠. 



I hope you have all seen this. 

여러분이 모두 이 그래프를 봤었다면 좋겠습니다. 



This time series has documented the rapid increase in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이 시계열은 대기에 있는 이산화탄소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It's not just the number, it's the rate of increase.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증가한 비율입니다. 



The rate of carbon dioxide increase in our atmosphere is unprecedented for our planet.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 비율은 지구에서 전례가 없는 일입니다.



And that has consequences for our oceans. 

그리고 이건 바다에도 영향을 미치죠. 



In fact, oceans absorb about 90 percent of the heat that's generated by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about 40 percent of the carbon dioxide. 

사실, 바다는 온실가스로 인해 배출 된 열 90퍼센트 정도를 흡수하고 40%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합니다.



And we have been able to measure that at Station ALOHA. 

그리고 스테이션 ALOHA에서 저희는 이를 측정할 수 있었습니다.



Each one of these dots is a cruise. 

각각의 점들을 이으면 선이 됩니다.



It represents people's lives over 30 years trying to make these measurements, 

과학자들은 이걸 측정하기 위해 30년를 바쳤고, 



and it took 30 years to be able to see this.

이렇게 볼 수 있게 되기까지 30년이 걸렸습니다. 



CO2 rises in the atmosphere, CO2 rises in the ocean. That's the red line.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수중 이산화탄소 농도도 높아집니다. 이건 빨간색 선입니다. 



A consequence of that is a fundamental change in the chemistry of seawater, a decline in pH -- 

이 결과로 바닷물의 화학 성분에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 ph농도의 감소입니다. 



pH is on a log scale, here's your blue line. 

pH는 로그 수치로 변환되었습니다. 여기 파란색 선이죠. 



So we've seen a 30 percent decline in pH in the surface ocean in this time series. 

그래서 저희는 이 시계열을 통해 바다 표면 pH 농도가 30% 감소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Now that has impacts for organisms that need to feed, build shells, that changes growth rates, metabolic interactions, 

이는 먹고, 껍데기를 지어야 하는 유기체에 영향을 미치고 성장률과 신진대사에도 영향을 미치죠.



and it doesn't just impact plankton -- 

플랑크톤 뿐만이 아닙니다. 



it impacts ecosystems as large as coral reefs. 

산호초와 같이 큰 생태계에도 영향을 줍니다. 



Now one of the things we've been able to show in this time series is this is just skimming the surface. 

이 시계열을 통해 알 수 있는 또 다른 점은 표면층만 봤을 때 이렇다는 겁니다. 



Increases in CO2 and a decline in pH are measured over the top 500 meters of the water column. 

이산화탄소 농도의 상승과 pH농도의 감소는 전체 수심에서 상위 500m만을 측정한 수치입니다. 



I really find that to be profound. 

저는 이 사실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This is genuinely one of the most remote places on our planet, 

우리 지구에서 가장 외진 장소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and we've impacted the top 500 meters of the water column. 

수심 500미터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죠. 



Now, these two things -- harmful algal blooms, ocean acidification -- that's not all, of course. 

자, 이 두 가지 현상-- 해로운 녹조 현상과 해양 산성화, 이 두 가지가 끝은 아닙니다. 



You've heard of the rest: 

여러분은 다른 현상도 들어보셨을 겁니다. 



sea-level rise, eutrophication, melting of the polar ice caps, 

해수면 상승, 부영양화, 극지방 만년설의 융해, 



expansion of oxygen minimum zones, pollution, loss of biodiversity, overfishing. 

산소극소대역의 팽창, 오염, 생물 다양성의 손실, 남획까지도요. 



It's hard for me to get a grad student -- you can see this pitch is a difficult one, right? 

같이 연구할 대학원생을 찾기 힘듭니다. 왜 힘든 일인지 아시겠죠? 



Again, I think these systems, these microbial ecosystems, are immensely resilient. 

다시 말하지만, 저는 이 미생물 생태계가 무한한 자생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We just cannot go too far down this path. 

이대로 방치할 수는 없습니다. 



I personally believe that sustained observation of our oceans and our planet is the moral imperative for our generation of scientists. 

저는 개인적으로 우리의 바다와 지구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우리 세대의 과학자들에게 주어진 도덕적 의무라고 생각합니다. 



We are bearing witness to the changes that are being inflicted upon our natural communities, 

우리는 자연계에 행해지는 수많은 변화들의 살아있는 증인입니다. 



and by doing so, it provides us the opportunity to adapt and enact global change, 

그렇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전 세계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기회가 주어진 것입니다. 



if we're willing. 

의지만 있다면요. 



So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are multitiered. 

이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에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It involves a portfolio of solutions, local change, 

여러 가지 해결책과 지역적인 변화가 필요하죠.



but all the way up to voting for people who will protect our environment on a global scale. 

또, 환경 보호를 해 줄 사람들에게 투표하는 세계적인 움직임도요. 



Let's bring it back to the love. 

사랑이라는 주제로 되돌아가 봅시다. 



Microbes matter. 

미생물들은 중요합니다.



These organisms are small, abundant, ancient, 

이 개체들은 작고, 그 수가 많으며, 오래되었고, 



and they are critical to sustaining our population and our planet. 

우리 지구와 후손을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한 존재들입니다. 



Yet we are on track to double our carbon dioxide emissions in the next 50 years, 

하지만 이대로 산다면 50년 후에는 탄소 배출량이 두 배가 될 것입니다.



so the analogy that I use for that is like we are eating like we're still in our 20s, 

이를 나타내기 위해 제가 자주 드는 예는 우리가 마치 아직 20대인 것처럼 마구 먹어댄다는 겁니다. 



assuming there will be no consequences -- 

이에 대한 아무런 악영향이 따르지 않을 것처럼요. 



but I'm a woman in her 40s, 

하지만 저는 40대의 여성입니다. 



I know there are consequences for my fuel consumption. Right? 

그래서 저는 과식의 후폭풍을 잘 알고 있죠. 



These oceans are very much alive. 

바다도 생명이 있습니다. 



These ecosystems have not collapsed. 

이 생태계는 아직 붕괴되지 않았습니다. 



Well, except for the Arctic, we can talk about that. 

하지만 북극을 제외하고요. 북극에 대해선 할 말이 좀 있네요. 



sustained observations that I've shared with you today, 

하지만 제가 오늘 여러분에게 보여드린 자료들, 



the work of generations of scientists, 

여러 세대의 과학자들이 관측한 자료들에 따르면 



are pointing us to take better care of our oceans and to nurture the microbes that sustain us. 

우리는 바다를 더 보호해야 하고 우리를 보호해 주는 미생물들을 돌보아야 합니다. 



And on that note, I want to end with a quote from one of my heroes, Jane Lubchenco. 

그리고 여기서 제 영웅 중 한 명인 제인 루브첸코를 인용하겠습니다. 



And this slide is appropriate. 

이 슬라이드가 적절하네요. 



Jane has said that the oceans are not too big to fail, 

제인은 우리의 바다가 고장날 만큼 크지는 않고, 



nor are they too big to fix, but the oceans are too big to ignore. 

고칠 만큼 크지도 않지만, 무시하기에는 너무 크다고 말했습니다. 



Thank you. 

감사합니다. 



https://www.ted.com/talks/angelicque_white_what_ocean_microbes_reveal_about_the_changing_climate/transcript?language=ko




As you've heard, when I was very young, I was elected to the New Zealand Parliament.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저는 아주 어렸을 때 뉴질랜드 의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



And at that age, you learn mostly by listening to others' stories. 

보통 그맘때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서 배움을 얻죠.



I remember a woman who'd been injured in a farm accident, 

농장에서 사고로 부상을 입었던 여성의 이야기가 기억 나는데,



and it was coming up to shearing time on the farm, 

마침 양털을 깎아야 할 시기가 가까웠기 때문에



and she had to be replaced by a shepherd, 

그녀는 새로 고용된 양치기와 



by a rousie in the woolshed, 

양모 손질자에게 일자리를 내주어야 했습니다.



and of course there was still someone needed to manage the household and to prepare the food for the shearing gangs. 

하지만 여전히 집안을 돌보고 농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음식을 제공할 사람이 필요했죠. 



And her mother came to help with that. 

결국 그녀의 어머니까지 나서지만 



But the family got no compensation for the mother, 

어머니 몫으로는 어떤 보수도 받을 수 없었습니다. 



because that's what mothers and family members are supposed to do. 

가족이라면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One year, a company called Gold Mines New Zealand applied for a prospecting license on our beautiful Mt. Pirongia. 

어느 날, 골드마인스 뉴질랜드라는 회사가 아름다운 피롱기아 산에 채굴 전망권을 신청합니다.



It is a mountain full of extraordinary ecosystems, of verdant, virgin native forests. 

피롱기아 산은 푸르른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한 신비로운 생태계의 보고입니다. 



It produced oxygen, it was a carbon sink,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죠. 



it was a home for endangered species and for pollinating species in the farmland around. 

경작지 주변에 서식하는 멸종 위기종이나 꽃가루 매개종의 보금자리 역할도 합니다.



And the mining company put up this great economic prospectus 

하지만 골드마인스는 투자 설명서를 만들어 



that was about how much money could be made from mining our mountain, 

산을 채굴하면 돈을 얼마나 벌 수 있을지나, 




about all the growth and development that would show in New Zealand's budgetary forecasts, 

뉴질랜드 예산 전망 보고서에 나올 법한 성장이나 개발에 관한 내용으로 채웠습니다.



and we were just left with the language of all that we valued about our mountain. 

결국 산의 수많은 가치 중 그런 말들로 표현할 수 있는 것만 남았습니다. 



Fortunately, we stopped. 

다행히도, 이제 개발을 멈추었죠. 



And then I remembered a woman who had three children under five who was caring for her elderly parents, 

또 다른 여성은 다섯 살도 안된 아이를 셋이나 기르며 노부모를 모셔야 했지만 



and nobody seemed to think that at some stage she might actually need some assistance with childcare, 

그녀 주위의 아무도, 육아에 도움이 필요할 거란 생각은 하지 않는 듯했습니다. 



because she wasn't in the paid workforce. 

그녀가 무급으로 일하고 있었기 때문이죠. 



And there began to be a pattern in all of these stories I was being told. 

제가 들은 이야기를 살펴보니 어떤 패턴이 발견되더군요.



And I started to ask enough questions to try and track to the core of this pattern of values that was part of all of these stories. 

모든 이야기에 나타나고 있는  그 패턴의 핵심이 무엇인지 알아내고자 저는 질문을 던지기 시작했습니다.



And I found it in an economic formula called the "gross domestic product," or the GDP. 

결국 찾아낸 답은 경제식에 있었는데, '국내총생산' 또는 'GDP'라고 불리는 것이죠. 



Most of you will have heard of it. 

대부분 이 용어를 들어보셨겠지만



Many of you won't have any idea what it actually means. 

정확한 뜻을 아시는 분은 많이 없을 겁니다. 



The rules were drawn up by Western-educated men in 1953. 

이 개념은 1953년, 서양식 교육을 받은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They established a boundary of production in drawing up these rules. 

그들은 개념을 정립하며 생산활동에 경계를 설정했죠. 



What they were keen to measure was everything that involved a market transaction. 

이들이 측정하고자 한 것은 시장 거래와 관련된 모든 행위였습니다. 



So on one side of the boundary, everything where there was a market exchange was counted. 

그러므로 경계선 한쪽에서는 시장 거래가 이루어졌다면 전부 경제 행위로 간주했습니다. 



It doesn't matter whether the exchange is legal or illegal. 

거래가 합법이든 불법이든 상관없습니다.



Market exchange in the illegal trade in armaments, [munitions], drugs, endangered species, trafficking of people -- 

법적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군사물품 거래, 마약이나 멸종위기종 거래, 인신매매 같은 거래들도



all of this is great for growth and it all counts. 

성장에 도움이 되므로 모두 경제 행위로 간주됩니다. 



On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of production, 

경계선 반대쪽에는 이 개념상 존재하는 기이한 부분이 있는데, 



there was this extraordinary phrase in the rules that the work done by the people they called "nonprimary producers" was "of little or no value." 

소위 '비주요 생산자'가 행한 노동은 가치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So I thought, let's see how many nonprimary producers we have here today. 

오늘 비주요 생산자들이 얼마나 왔는지 봅시다.



So in the last week or so, how many of you have transported members of your household or their goods without payment? 

약 일주일 동안 아무런 대가 없이 가족을 데려다주거나 짐을 옮겨주신 분?



How many of you have done a bit of cleaning, a bit of vacuuming, a bit of sweeping, a bit of tidying up the kitchen? Yeah? 

뭔가 정리를 했다거나, 청소기를 돌렸다거나 비질을 했다거나, 주방을 정리하신 분? 있으신가요? 



How about going shopping for members of the household? 

가족이 필요한 것을 사러 가신 분은요? 



Preparing food? Cleaning up afterwards? 

식사 준비나 식탁 정리는 어떤가요?



Laundry? Ironing? 

빨래나 다림질은요? 



Well, as far as economics is concerned, you were at leisure. 

경제학적으로 볼 때 여러분은 놀고 계신 겁니다. 



Now, how about the women who have been pregnant and who have had children? 

이번엔 임신을 했거나 아이가 있는 여성분들 계신가요? 



Yes. 

계시는군요. 



Now, I really hate to tell you this, because it might well have been hard labor, but at that moment, you were unproductive. 

죄송한 말씀이지만 힘든 노동을 하고 계심에도 불구하고 그 순간 만큼은 비생산적이십니다. 



And some of you may have breastfed your infant. 

그중 어떤 분들은 모유를 수유하고 계시겠죠. 



Now, in the New Zealand national accounts -- 

뉴질랜드 국가 회계에서는, 



that's what the figures are called, that's where we get the GDP -- 

여기서 각종 수치가 나오고 GDP가 계산되죠. 



in the New Zealand national accounts, the milk of buffalo, goats, sheep and cows is of value but not human breast milk. 

이 국가 회계에 따르면 물소, 염소, 양과 소의 젖은 가치가 있지만 모유는 아닙니다. 



It is the very best food on the planet. 

모유는 지구상에서 가장 훌륭한 음식이자 



It is the very best investment that we can make in the future health and education of that child. 

아이들의 미래 교육과 건강에까지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투자이지만 



It doesn't count at all. 

전혀 고려되지 않죠. 



All of those activities are on the wrong side of the production boundary. 

이 모든 활동들이 생산 경계선의 잘못된 쪽에 놓여있습니다. 



And something that's very important to know about this accounting framework: 

이 회계 체계에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they call it "accounts," but there's no debit side. 

 '회계'라고 불리고 있지만 차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없다는 겁니다. 



We just keep market exchanges going, and it's all good for growth. 

시장 거래들은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모든 거래는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We're in Christchurch, 

우리는 크라이스트처치에 살고 있죠.



where people have lived through a devastating natural disaster and recovered. 

엄청난 자연재해를 맞닥뜨리고 또 극복하며 살아왔습니다.



And ever since that time, New Zealand has been told our growth figures are great, 

이러한 시기를 거치면서도 이곳이 재건되고 있으니, 공식적인 성장 지표는 우수했습니다.



because we're rebuilding Christchurch. 

잃은 건 아무 것도 없었습니다. 



Nothing was ever lost from the national accounting framework because of the loss of lives, 

국가 회계 체계의 관점에서 생명의 손실, 



the loss of land, the loss of buildings, the loss of special spaces. 

토양의 손실, 건물의 손실, 중요한 공간의 손실은 잃은 것이 아닙니다. 



Now, it might also be becoming obvious to you that this boundary of production works in terms of our environment. 

이제 이것도 확실히 아실 겁니다. 생산 경계선이란 자연환경을 포함하여 설정되는데 



When we're mining it, when we're deforesting, when we're deleting our environment, 

채굴하고, 채벌하고, 환경을 없애고, 



when we're fishing out our marine resources, legal or illegal, as long as market is exchanged, 

해양생물을 잡으면 그게 합법이든 불법이든 시장 거래로 성립되는 한



it's all good for growth. 

모두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To leave our natural environment alone, to sustain it, to protect it, is apparently worth nothing. 

환경을 그대로 두거나 보존하거나 보호하는 건 가치가 없다는 겁니다. 



Now, how and what can we do about this? 

이런 상황에 우리는 무얼 할 수 있을 할까요?



Well, I wrote first about it 30 years ago. 

30년 전, 제가 이 문제에 대해 쓴 글이 있습니다.



Then in 2008,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2008년 세계경제위기 이후로



President Sarkozy of France asked three men who had all won Nobel Prizes in Economics -- Sen, Fitoussi and Stiglitz -- to discover 

 프랑스의 사르코지 대통령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세 남자, 센, 피투시, 스티글리츠에게 조사를 요구했습니다.



what I'd written about 30 years ago. 

제가 30년 전에 쓴 문제에 대해서요. 



"Relying on per capita GDP, relying on these growth figures," 

그들이 말하길, "1인당 GDP나 이런 성장 지표에 의존하는 것은 



they said, "doesn't appear to be the best way to proceed to make public policy." 

공공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최선의 방법이 아닌 것 같다."



And I totally agree with them. 

전적으로 동의하는 바입니다. 



One of the things that you notice about these rules -- they are revised; 1968 they were revised, 1993, 2008 -- 

이 개념 체계는 1968년, 1993년, 2008년에 개정이 이루어졌는데,



is that the revisions are mostly done by statisticians, 

대부분 통계학자들이 주도했죠. 



and the statisticians do know what is wrong with the data, 

통계학자들은 데이터의 잘못된 점을 알고 있었지만 



but hardly any of the economists ever stop to ask that same question. 

경제학자들 중에는 의문을 품는 사람이 거의 없었습니다. 



So, in 2019, the GDP is in even worse shape. 

결과적으로, 2019년에 GDP 모형은 더 악화되었죠.



You see, to measure GDP, you have to assume 

GDP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가정이 필요한데, 



that some kind of production or service delivery or consumption occurs inside a nation-state, and you know where that is. 

생산이라든지 서비스 제공과 소비는 국가 영토 안에서 이루어지며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겁니다.



But trillions of dollars are circling the globe, 

하지만 수 조 달러가 전 세계를 순환하며 



in many part from our Googles, our Facebooks, our Twitters, siphoned through a number of tax shelters,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를 통해 무수한 조세 회피지역을 거치게 되므로 



so that when we click on our computer and go to download some software, 

우리가 컴퓨터에서 클릭 한 번으로 다운받는 소프트웨어 중에는 어디서 생산됐는지 알 수 없는 것도 있습니다. 



we don't know where it was produced, and frankly, no one knows where we are as we're consuming it, either. 

그 소프트웨어를 소비하는 동안 우리가 어디있는지도 알 수 없죠.



These tax-free havens distort the GDP to such an extent that about three years ago, 

이 사각지대 때문에 GDP에 왜곡이 일어나는데 약 3년 전,



Europe looked askance at Ireland and said, "We don't think you're reporting correctly," 

유럽이 아일랜드를 문제삼아 지표를 제대로 보고하는 것 같지 않다고 지적하자,



and in the next year, their GDP went up 35 percent. 

그 다음해 아일랜드의 GDP는 35%나 증가할 정도였습니다. 



Now, all that work that you're doing when you were at leisure and unproductive, 

여러분이 행하는 모든 노동 활동은 여러분이 쉬고 계시거나



we can measure this, and we can measure this in time use surveys. 

경제활동을 하지 않으실 때도 측정할 수 있습니다. 



When we look at the amount of time that's taken in the unpaid sector, 

무급 노동에 소요된 시간을 조사해보면



what we find is that in almost every country where I've ever seen the data, 

이 데이터를 조사한 거의 모든 나라에서



it is the single largest sector of the nation's economy. 

이 부문이 국가 단일 경제 중 최대 규모에 해당합니다. 



In the last three years, for example, 

예를 들어, 지난 3년 간



the UK statistician has declared that all of that unpaid work is the equivalent of all manufacturing and all retailing in the UK.

영국의 통계학자들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무급으로 이루어진 노동의 규모는 제조업과 소매업 두 부문을 합친 규모와 거의 동일했습니다. 



In Australia, the single largest sector of Australia's economy is unpaid childcare, 

호주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부문은 바로 무급 육아였습니다. 



and the second-largest sector is all the rest of the unpaid work, 

그 다음은 다른 무급 노동을 전부 합친 것이었고, 



before banking and insurance and financial intermediation services clock in at the largest part of the market sector. 

시장 관점에서 가장 규모가 큰 금융, 보험 및 금융중개 부문은 사실상 세 번째 순위를 차지합니다. 



Just last year, the Premier of the Victoria state of Australia declared that half of that state's GDP was, in fact, the value of all the unpaid work. 

작년에 빅토리아주 주지사는 주에서 생산된 GDP 절반 가량이 무급 노동의 가치라고 밝혔습니다. 



Now, as a policy maker, you cannot make good policy if the single largest sector of your nation's economy is not visible. 

정책을 만드는 사람이 좋은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국가 경제에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부문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You can't presume to know where the needs are. 

이를 간과하면 실제 국민의 니즈를 알아낼 수 없고



You can't locate time poverty. 

여유 시간 빈곤 문제도 파악할 수 없습니다.



You can't address the most critical issues of need. 

정작 중요한 문제에는 대처할 수 없는 겁니다. 



So what can go in the place of GDP? 

그러면 GDP를 대신할 수 있는 건 뭘까요?



Well, GDP has got many other problems, OK? 

GDP에는 다른 문제들도 많습니다.



We don't behave in a way that assists GDP. 

사람들이 GDP에 협조적인 행동만 하지는 않죠.



Large numbers of people around the planet are now using household assets -- their cars, their homes, themselves -- for Uber, for Airbnb. 

지구상에 수많은 사람들이 자가용이나 주택, 자기자신 같은 가계 자산을 이용해 우버나 에어비앤비 같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nd no, we're not supposed to use assets from the unpaid sector to make money in the market sector. 

사람들이 시장 외적 분야의 자산으로 실제 시장에 돈을 벌다니요. 



This is confusing! 

혼란스러운 일이죠! 



And very difficult to measure. 

게다가 측정도 매우 어렵습니다. 



So economists don't want to know what's wrong with their most important GDP, 

그래서 경제학자들은 자신의 소중한 GDP가 지닌 결점들을 외면하려 하죠. 



and I think they've got so many problems, 

많은 문제들이 생겨나도, 



they can just move off to a quiet corner and continue to publish 

어디 조용한 구석으로 가서 계속 GDP를 연구하는 겁니다. 



that and not come anywhere near the rest of us with this talk of capitals and natural assets and other ways in which to colonize the rest of our lives. 

우리 같은 사람들과는 동떨어진 채 자본이라든지, 천연자원에 대해 이야기하고, 모든 존재를 경제적 틀 안에 가두는 방법을 논하면서요.



I think time use is the most important indicator going forward. 

앞으로는 시간 소비량을 주요 지표로 삼아야 합니다.



Every one of us has exactly the same amount of it. 

시간은 모두에게 정확히 같은 양이 주어집니다. 



If there are going to be critical issues as we move forward, we need a solid database, 

앞으로 중대한 문제에 맞닥뜨리게 된다면, 안정적인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합니다.



because whatever we change away from the GDP, we're going to be stuck with it for about 50 years, 

GDP에서 벗어나 무언가 바꾸려면 50년은 더 붙어서 지켜봐야 하기 때문이죠. 



and we need something that's solid and immutable and that everybody understands, 

그래서 안정적이고 변화가 없으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합니다.



because if I put time use data in front of you, you'll immediately start nodding. 

제가 여러분께 시간 소비 자료를 보여드리면 



You'll immediately start recognizing what it means. 

바로 고개를 끄덕이며 의미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실 겁니다. 



And, honestly, if I put the GDP data in front of you, a lot of you would prefer to leave for morning tea. 

반면에, 제가 GDP 자료를 보여드리면 차나 한 잔 마시자며 자리를 뜨시겠죠. 



We also need to be looking at the quality of our environment.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생각해야 합니다.



As every year goes past, 

시간이 갈수록 사람들은 더 능숙해집니다. 



we get much better at measuring the devastation of it, of measuring how little we protect anymore. 

얼마나 많은 환경을 파괴하고 얼마나 적은 부분을 보호하는지 마주하는 일에 말이죠. 



And yet, with climate change, 

하지만 기후 변화 같은 문제처럼



we don't all have to be scientists to see, to feel, to know what is happening to our beautiful planet. 

아름다운 지구에서 벌어지는 일을 보고, 느끼고, 알기 위해 모두 과학자가 돼야 하는 건 아닙니다. 



We need, in this country, the paramountcy of what we can learn from kaitiakitanga, from whanaungatanaga, from what Maori, 

우리가 필요한 건 카이티아키탕아의 세계관과 바낭아탕아의 정신을 전파하며 수 백년을 살아온 마오리족이 알려주는 



who have been here for centuries, can teach us. 

자연의 고결함입니다. 



When you're in parliament, and you're not in an economist's frame of mind, 

의회에서 일하는 의원으로서 경제학자의 마인드에서 벗어나면 



you make decisions across a range of data. 

다양한 자료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You look at the trade-offs. You think deeply about implications way beyond whether or not GDP is up or down. 

상충 관계를 파악하며 단순한 GDP의 증감 문제에서 벗어나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까지 고려할 수 있습니다. 



Economists want to turn everything into a monetary exchange, even time use data, 

경제학자들은 모든 것을 화폐적 가치로 변환하려 하죠. 시간 소비 자료까지도 말입니다. 



so that they can carry on trying to decide whether GDP is up or down. 

그렇게 해서 결정하려고 하는 것은 GDP의 증감 여부입니다. 



That's not a great way to go. 

우리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And others have said to me, 

가끔 사람들이 묻습니다.



"Marilyn, why don't you just work on a system that includes all the unpaid work and the pregnancy and the birth and the lactation in the GDP?" 

 "하나의 시스템에 모든 걸 포함시켜 무급 노동은 물론이고 임신이나 출산, 수유까지 GDP로 계산하는 건 어떤가요?"



There's a very important moral and ethical answer to that, and it is that I do not want the most valuable things on earth, 

이 물음에는 그냥 넘길 수 없는 윤리적인 대답이 있습니다. 



the things I treasure, sitting in an accounting framework that thinks that war is great for growth. 

저는 제가 가장 중요한 가치를 두고, 소중히 아끼는 것을 전쟁도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회계적 관점에 가두고 싶지 않습니다. 



So from now on, whenever you listen to the news, you're not going to go blank when they say GDP. 

이제부터는 뉴스를 보실 때마다 GDP 이야기가 나온다고 멍해지진 않으실 겁니다.



You're going to think, "I know what they're talking about, and it's not good." 

이렇게 생각하시겠죠. "무슨 얘기 하는 줄 알겠는데, 그것 참 별로군." 



I know that there are alternatives, 

"GDP를 대체할 만한 지표가 있으니 



and I'm going to spend my time correcting people, 

난 기꺼이 시간을 들여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고,



talking to them about this value base and talking to them about what the alternatives can be, 

GDP가 기준으로 삼는 가치를 설명하고 이를 대체할 지표에 대해 이야기해야지.



because humankind and our planet need another way. 

우리 인류는 그리고 우리 지구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니까." 



Thank you. 

감사합니다.



https://www.ted.com/talks/marilyn_waring_the_unpaid_work_that_gdp_ignores_and_why_it_really_counts/transcript?language=ko



Centuries ago, the Inca developed ingenuous suits of armor that could flex with the blows of sharp spears and maces, 

수세기 전, 잉카문명은 날카로운 창과 철퇴의 강타에 유연하게 휘어지는 영리한 갑옷을 발전시켰고,



protecting warriors from even the fiercest physical attacks. 

심지어 가장 무시무시한 신체 공격으로부터 전사들을 보호했습니다. 



These hardy structures were made not from iron or steel, 

이러한 단단한 구조는 쇠와 강철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but rather something unexpectedly soft: cotton. 

전혀 기대치않게 부드러운 것, 바로 솜이었습니다.



These thickly woven, layered quilts of cotton could distribute the energy from a blow across a large surface area, 

두텁게 짜여져 겹쳐진 솜 누빔 천은 타격의 힘을 너른 표면으로 고르게 나눠줄 수 있어,



shielding warriors without restricting their mobility. 

그들의 동작의 범위를 제어하지 않고 전사들을 보호했죠. 



These seemingly contradictory features— strength and flexibility, 

이러한 외견상으로 모순적인 특성들, 즉 강도와 유연성, 



softness and durability— have their roots in the intricate biology of the nearly invisible cotton fiber. 

부드러움과 내구성은 거의 보이지 않는 면 섬유 조직의 복잡한 생물학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These fibers begin life deep within a cotton flower, on the surface of a seed. 

이러한 섬유 조직은 목화 안의 깊은 곳인 씨앗의 표면에서 시작됩니다.



As many as 16,000 fibers will festoon a single seed, bulging from the seed’s surface like miniature water balloons. 

만 6천 개의 섬유질은 한개의 단일 씨앗을 장식하는데, 축소판 물풍선들같이 씨앗의 표면에 불퉁하게 튀어나온다.



Each cotton fiber, no matter how large it grows, is made of just one cell. 

각각의 면 섬유질은, 그것이 얼마나 크게 자라나는지에 관계없이 오직 하나의 세포로 만들어집니다.



That cell has multiple layers of cell wall. 

그 세포에는 다수의 세포벽 층이 있죠.



After a few days, the sides of the first layer, called the primary cell wall, stiffen, 

며칠 뒤에, 첫 번째 층의 면들, 일차세포벽이라고 불리는데, 



pushing cell growth in one direction and causing the fiber to elongate. 

한 방향으로 세포 성장을 밀어붙이고 섬유질이 길고 단단해지게 합니다. 



The fiber elongates quickly for about 16 days. 

섬유질은 대략 16일 동안 빠르게 길이가 늘어납니다. 



Then it begins the next stage: strengthening the cell wall. 

그리고 그 다음 단계인 세포벽 강화 단계가 시작되죠. 



It does this by making more of the carbohydrate cellulose. 

이것은 더 많은 탄수화물 셀룰로오스가 생성되면서 진행됩니다.



Cellulose will make up 34% of the cell wall at this stage and swiftly increases. 

이 단계에서 섬유소는 세포벽의 34%를 이루고 신속하게 증가합니다.



This new growth also reinforces the cell wall by going against the grain of the existing wall. 

이러한 새로운 성장은 또한 세포벽을 강화시키는데 이미 생긴 벽의 결에 부딪히는 방식으로 강화합니다. 



The strengthened wall is more rigid, restricting further growth. 

강해진 벽은 더 단단해져 앞으로의 성장을 제어하게 되죠.



That means if the fiber remodels its walls too early, 

만약 섬유질이 너무 빨리 그 벽을 재형성하면, 



it will be short, and ultimately make rough, weak fabrics. 

그 섬유질은 짧아 질 것이고, 결과적으로 거칠고 약한 직물이 만들어진다는 뜻입니다. 



But if cell wall strengthening begins too late, the wall won’t be sturdy enough— 

그러나 세포벽 강화되기가 너무 늦게 시작된다면, 그 벽이 충분히 견고하지 못할 것이고 



producing fibers that are too weak to hold fabrics together well. 

세포의 구조를 지탱하기엔 너무 약한 섬유소들을 생산하게 될 겁니다. 



In ideal growing conditions— with the right temperature, water, fertilizer, pest control, and light— 

적정 온도, 물, 비료, 병충해 방지 그리고 빛을 갖춘 이상적인 성장 환경 속에서



a cotton fiber can grow up to 3.6 centimeters long with only a 25 micrometer width. 

면 섬유소는 3.6 센티미터 가까이 자랄 수 있습니다. 너비는 겨우 25 마이크로미터 밖에 안되지만요. 



Long, fine fibers can wrap around one another better than shorter, less fine fibers, 

더 짧고 덜 고운 섬유질들보다 길고 고운 섬유소들은 서로를 감쌀 수 있습니다. 



which means those long, fine fibers make stronger threads that hang together better as fabric. 

길고 고운 섬유질들이 더 강한 실들을 만들어낸다는 의미죠. 직물로 더 잘 함께 엮여 있는 실처럼 말이죠. 



Cotton with these qualities has diverse uses— 

이런 품질을 가진 면은 다양한 쓰임새가 있습니다. 



from soft textiles to the U.S. dollar bill, which is 75% cotton. 

부드러운 옷감에서 미국 달러 지폐까지, 지폐의 75%가 면으로 되어 있습니다. 



The next crucial stage of the cotton fiber’s growth begins as it thickens 

면 섬유질 성장의 중요한 다음 단계는 이차세포벽이 두꺼워짐에 따라 시작되는데 



its secondary cell wall by depositing large quantities of cellulose into the secondary layer. 

이차세포벽에 많은 양의 섬유소들을 담아두는 방식입니다. 



Cellulose goes on to make up over 90% of the fiber’s weight. 

섬유소는 섬유질 무게의 90%이상을 이룰 때까지 계속 생성됩니다. 



The more cellulose that gets deposited, the denser that secondary layer becomes— 

담겨진 섬유소가 많을 수록 이차세포벽은 더욱 밀도가 높아지고



and this determines the strength of the final fiber. 

이것이 최종 섬유질의 강도를 결정하게 됩니다. 



This stage is essential for developing long-lasting material for the likes of, say, a t-shirt. 

이러한 단계는 견고한 물질을 개발하는데 핵심적입니다. 예를 들면 티셔츠 같은 것 말이죠.



The garment’s capacity to withstand years of washing and wear is largely determined by the density of that secondary cell wall. 

수년간의 빨래와 착용을 견디는 의복의 능력은 그 이차세포벽의 견고함에 의해 크게 좌우됩니다.



On the other hand, its softness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length of the fiber, 

한편, 섬유질의 길이에 의해 옷감의 부드러움은 크게 영향을 받는데 



established with the remodeling of the primary wall layer. 

그것은 일차 세포벽 층의 재구성으로 구현됩니다. 



Finally, after about 50 days, the fiber is fully grown. 

마지막으로, 약 50일 후에, 그 섬유질은 완전히 자라게 되죠.



The living matter within the cell dies off, leaving behind only the cellulose. 

세포 안에서 살아있는 물질들은 소멸하며 오직 섬유소만을 남게 됩니다. 



The dried cotton seed pod, or boll, that surrounds the fibers cracks open, 

섬유질로 둘러 싸인 건조된 목화씨 껍질 또는 꼬투리가 갈라져



unveiling a burst of several thousand fiber cells in a fluffy mass. 

솜털에 싸인 덩어리 안에 있는 수천 개의 섬유소 세포들을 드러냅니다.



The thread-like fibers we see— thinner than a human hair— are the remains of those dense, 

우리가 보는 인간 머리카락 보다 더 가는 실 같은 섬유소들은 그 정도의 밀도를 형성하고,



dried out walls of cellulose. 

섬유소의 벽들은 소멸합니다. 



Tens of thousands of these fibers spun into yarn will go on to make everything from fabric, to coffee filters, diapers, and fishing nets. 

실로 짜여진 수만의 이런 섬유질들은 직물에서 시작해, 커피 필터, 기저귀, 그리고 어망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으로 계속 생산될 것입니다. 



And with the help of modern science, cotton might soon be softer, stronger, and more resilient 

그리고 현대 과학의 도움으로 면은 곧 더 부드럽고, 강하고, 더 탄력성이 강해질지도 모르죠.



than ever as researchers investigate how to optimize its growth based on nutrients, weather conditions, and genetics. 

연구원들이 영양요소, 날씨 그리고 유전학에 근거하여 면의 성장을 최대한 이끌어낼 방법을 알아낸다면 가능할 것입니다. 



https://www.ted.com/talks/michael_r_stiff_why_is_cotton_in_everything?language=ko



What is the most beautiful place you have ever been? 

여러분이 가본 장소 중 가장 아름다운 곳은 어디였나요?



And when you were there, did you take a picture of it? 

그리고 그곳에 있었을 때, 그 장소를 사진 찍었나요?



Here's a place that tops that list for me. 

여기 제 기준에서 가장 최고였던 곳이 있습니다. 



This is Mesa Arch in Canyonlands National Park in Utah at sunrise. 

이 사진은 유타주 캐니언랜즈 국립공원에 위치한 메사 아치에서 찍은 일출입니다. 



It's the traditional homeland of the Pueblo, Ute, Paiute and Navajo people, and when you are there, it is absolutely stunning. 

이곳은 전통적으로 푸에블로족, 우트족, 파이우트족, 나바호족 사람들의 고향이며, 그리고 메사 아치에 실제로 가보면, 그야말로 장관입니다.



The sunrise illuminates the bottom of the arch orange, and then behind it you see the buttes and clouds and cliffs. 

아침노을이 아치의 밑부분을 오렌지색으로 빛나게 하고, 그리고 뒤로는 외딴 언덕들과 구름, 절벽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But what you might not see from my photo here is the 30 people behind me who were also taking photos. 

하지만 제 사진에서 여러분이 놓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제 뒤에 저처럼 사진을 찍던 30명의 사람입니다. 



And these are just the committed people, the sunrise people, right? 

이분들은 그저 일출 사진 촬영에 전념하고 있던거죠, 그렇죠?



So when you think about that, there must be hundreds if not thousands of photos of Mesa Arch taken every week. 

이것에 대해서 생각해보자면, 매주 수백, 아니 수천 장의 메사 아치 사진이 찍히고 있음이 분명합니다. 



I've been sharing my photography on Instagram for years, 

저는 수년간 인스타그램에서 제가 찍은 사진을 공유해왔습니다.



and it started to become really interesting and funny, even, just how many similar photos of the same places I started to see online. 

그리고 온라인에 같은 장소를 찍은, 수많은 비슷한 사진들이 올라오는 것을 보면서 흥미로움과 때로는 재미까지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And I was participating in it. 

그리고 저도 여기에 동참하고 있었죠. 



So this made me wonder: 

이 사실은 제게 궁금증을 안겼어요. 



Why are we taking photos in the first place? 

우리가 애초에 사진을 찍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Sometimes, I visit a popular landmark -- this one is Horseshoe Bend in Arizona -- 

때때로, 제는 유명한 랜드 마크를 방문합니다. 참고로 여기는 애리조나에 위치한 호스슈 벤드입니다. 



and I see all the people with their phones and cameras out who snap a photo, 

저는 각자 핸드폰이나 카메라를 들고서 딱 사진만 찍고, 



just to turn and get back in the car or walk back to the trailhead. 

차로 돌아가거나 다시 시작점으로 되돌아가는 사람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And sometimes it seems like we are missing the point of going to this place to experience it for ourselves or to see it with our own eyes. 

때로 우리는 이런 장소에 오는 본래 목적을 놓치는 듯합니다. 직접 경험을 쌓거나 두 눈으로 직접 관찰하려는 그 목적을 말이죠. 



When I'm behind the camera, I notice the smallest details: 

저는 카메라 뒤에 있을 때, 아주 세세한 부분에 주목합니다.



the layers of light in the mountains as the light fades at the end of the day; 

산 뒤에 층층이 쌓인 빛과 하루의 끝에 다다라 그 빛이 옅어져 가는 모습,



the shapes that nature so expertly makes, abstract and yet completely perfect. 

자연이 만드는 정교한 문양들, 추상적이면서도 완벽한 그런 것들을 말입니다.



I could go on and on here musing about the intricacies of this planet and the way that it makes me feel. 

저는 이런 복잡함에서 나오는 지구의 아름다움 그 자체와, 이것이 저에게 어떤 느낌을 주는지에 대해 끝없이 사색을 즐길 수 있습니다. 



Photographing the beauty and complexity of this world for me is like making a portrait of someone that I love. 

제게 있어 이 세상의 아름다움과 복잡함을 사진에 담는다는 것은, 제가 사랑하는 누군가의 초상화를 그리는 것과도 같습니다.



And when I make a photograph, I have to think about what I want it to say. 

리고 저는 사진을 찍을 때, 이 사진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생각합니다. 



I have to ask myself what I want it to feel like. 

저 자신에게 이 사진이 어떤 느낌을 줄지에 대해 질문하죠. 



When you're communicating through an image, every creative choice matters. 

이미지를 통해 소통할 때, 모든 독창적인 선택들이 중요합니다. 



Sometimes, I plan to share my images, and other times, I take them just for myself. 

때때로, 저는 제 사진들을 공유하기로 계획하고 또 다른 때에는 오직 저 자신을 위해 간직합니다. 



I currently host a video series on the future of the outdoors, 

저는 요즘 미래의 야외 활동에 대한



and for one of the episodes we wan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y and outdoor spaces. 

비디오 시리즈 진행을 맡고 있는데 그중 한 에피소드에서 우리는, 사진 촬영과 야외 공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했습니다. 



I learned about the research of Kristin Diehl and her colleagues at USC, who studied photo-taking's effect on enjoyment levels. 

저는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소속 크리스틴 디엘 교수와 동료들이 진행한 사진 촬영이 즐거움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이란 연구를 알게 되었죠.



They found that when we're behind the camera, 

그들은 사람들이 카메라 뒤에 있을 때, 



when we're the ones taking the picture, we enjoy our experiences more, not less. 

즉, 우리가 직접 사진을 찍을 때 경험을 뺏기는 것이 아니라 더 즐길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죠.



But it wasn't true all the time. 

하지만 이게 항상 사실은 아니죠.



If the person took the photo solely with the intention of sharing it, there was no increase in enjoyment, 

만약 한 사람이 그저 공유를 목적으로 사진을 찍었다면, 이는 자기 자신을 위한 행동이 아니기 때문에 즐거움이 더해지지 않습니다.



because they didn't do it for themselves. 

이 연구는 명확히 구별해야 할 점을 알려줍니다. 



So this points to an important distinction: photography can enhance your experience if it's done intentionally. 

사진 촬영이 자신을 위한 의도성을 가지고 있을 때, 경험을 증진할 수 있다는 것을요. 



The intention piece is what matters. 

이 의도성이 모든 걸 좌지우지합니다. 



As a photographer, I've really had to check myself on this. 

저는 사진작가로서, 이 의도성을 스스로 반드시 점검했어야 했죠. 



When does it help me to have my camera out, and when do I just need to put it away? 

언제 카메라를 꺼내는 게 도움이 될지, 또 언제 꺼내지 말아야 할지를 말입니다.



On a trip to Alaska, I had the opportunity to photograph Alaskan brown bears.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 저는 알래스카 불곰들을 사진 찍을 기회를 얻었습니다.



I was on a boat with four other photographers, 

저는 보트 위에 다른 네 명의 사진작가들과 같이 있었고,



and we were all having our minds blown at the same time in such close proximity to these animals. 

우리는 곰들과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다 같이 황홀경에 빠졌습니다.



It's an emotional experience. 

정말로 감정이 폭발하는 그런 경험이었습니다. 



Being eye to eye with these bears gave me a feeling of connection that transcends words, 

곰들과 직접 눈을 맞추면서,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연대감을 느꼈습니다.



and having my camera with me in this case enhanced that. 

그리고 이 경우에는 제 카메라가 그 느낌을 극대화했습니다.



We were all creating independently but also all completely in the moment, both with nature and with each other. 

우리는 그 순간 각자, 그러면서도 완전하게, 자연과 서로 간의 연대감을 생성하고 있었죠. 



I so clearly remember capturing the water droplets and the motion as the bears swam and the cute cubs following their mothers. 

저는 생생히 기억합니다, 물방울이 떨어지는 순간, 곰이 헤엄치는 동작, 그리고 귀여운 새끼 곰들이 엄마 곰을 따라가는 모습을 포착했죠. 



That group and I will have that experience together and these images to look back on time and time again, 

그 사진작가들과 저는 함께 이 경험과 이를 몇 번이고 되돌아볼 수 있는 사진들을 간직할 것입니다.



and photography is what enabled us to share this in the first place. 

그리고 애초에 우리가 이 경험을 나눌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사진 촬영 덕분이었습니다. 



Other times, I choose to leave the camera behind, 

다른 때에는, 저는 카메라를 두고 가는 쪽을 선택합니다. 



and I think that choice ultimately improves both my experience and my work. 

그리고 이 결정이 근본적으로 제 경험과 업무를 증진한다고 생각합니다. 



I recently flew to the South Pacific island of Tonga to swim with humpback whales. 

최근, 저는 혹등고래와 수영을 하려고 남태평양의 통가제도를 방문했습니다. 



I noticed myself feeling pressure and a certain obligation to take the camera with me, 

저는 카메라를 들고가야 한다는 의무감에 제 자신이 압박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습니다.



when sometimes I just wanted the pure experience itself. 

때로 저는 그저 순수한 경험 그 자체를 쌓고 싶은데 말이죠.



And the experience is seriously amazing. 

그리고 이 경험은 실로 놀라웠습니다.



You're talking about being in the water with a curious baby animal the size of a station wagon 

바닷속에서 스테이션 왜건 차량 크기의 호기심 많은 새끼고래와 함께, 



while you are surrounded by particles that float around you like glitter, and the mom swims gracefully below you. 

마치 반짝이와 같은 물질들로 둘러싸인 상태에서 엄마 고래가 우아하게 제 밑에서 헤엄친 이 경험을 말이예요.



There were times, obviously, when I did take my camera with me, 

굉장히 놀라운 사진들을 찍을 수 있었습니다. 물론, 제가 카메라를 들고 간 경우도 있었고,



and those were really amazing to capture as well. 

굉장히 놀라운 사진들을 찍을 수 있었습니다.



But the setup is pretty big. 

문제는, 장비 사이즈가 꽤 큽니다. 



It's like this big box. 

보시다시피 큰 상자처럼 생겼습니다. 



This is what it looks like. 

바로 이게 저와 고래들 사이에 있고,



And so this is between me and the whales, 

바로 이게 저와 고래들 사이에 있고,



and at times that feels like a block between you and reality.

그리고 때로는 저와 현실 사이의 장벽과도 같이 느껴집니다.



Is there a difference when it's just your phone? 

과연 카메라가 아닌 핸드폰으로 찍으면 차이가 있을까요? 



Last year, I went to Uluru in Central Australia, which is this massive rock that towers over the desert. 

작년에, 저는 중앙 오스트레일리아의 울루루를 방문했습니다. 여기 보이는, 사막 위에 솟아 있는 거대한 바위입니다. 



This is sacred land to Anangu, who are the Aboriginal people from this area and the traditional owners of the land. 

이곳은 이 지역의 원주민이자 이 땅의 오래된 주인인 아낭구족에게 있어 신성한 장소입니다.



There are particular spots in Uluru that you cannot photograph professionally, 

울루루에는 전문 촬영이 금지된 특정 구역들이 존재합니다. 



because they are culturally sensitive, equivalent to sacred scripture to Anangu. 

그 이유는, 이 구역들이 아낭구족에게 성서와도 같은, 문화적으로 민감한 곳이기 때문입니다.



So because of this, most of my photographs are from either far away, like this one, or from specific angles in the park.

이러한 이유로, 제 사진들의 대부분은 이 사진처럼 원거리에서 찍혔거나, 아니면 공원에서 특정 각도로 찍힌 것들입니다.



You could say that some of the most interesting and beautiful visuals in Uluru are located in these sensitive areas, 

아마 울루루의 가장 흥미롭고 아름다운 광경은 사실 이런 민감한 곳에 있다고 주장할 수도 있겠지만 



but the request not to photograph them is an explicit and direct invitation to learn more about the land, its importance and its people. 

이를 찍지 말아 달라는 원주민들의 요구는 이 땅, 그리고 이 땅의 의의와 이곳에서 사는 사람들에 대해 배워볼 수 있는 분명하고 직접적인 일종의 초대입니다.



Isn't that what we should be doing anyway? 

사실 이런 공부가 우리가 진짜로 해야 하는 일이지 않을까요? 



So my visit to Uluru quickly became not about me but about connecting with the place. 

그래서, 저의 울루루 방문의 목적은 저에 대한 것이 아니라, 그 장소와 연대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곧 탈바꿈했습니다. 



Ironically and unsurprisingly, I have found that presence and connection also happens to make for more compelling images. 

역설적으로, 또한 놀랍지 않게도, 저는 한 장소에서의 제 존재와 그곳과의 연대감을 통해 더 매력적인 사진이 탄생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We can probably all point to social media as being a good place to share the images from our travels and from our lives. 

아마도 우리는 소셜 미디어가 여행과 삶을 담은 사진들을 공유하기에 좋은 장소라고 말할 수 있겠죠. 



We not only share pieces of the world that we have seen but also parts of our day-to-day experiences. 

우리는 우리가 목격해온 세상의 일부분일 뿐만 아니라, 하루하루 삶의 부분 역시 공유합니다. 



And if we're applying intentionality to the photos we take, then hopefully we're sharing intentionally too. 

그리고 우리가 사진을 찍을 때 의도성을 적용한다면, 바라건대 사진을 공유할 때도 역시 의도성을 가질 수 있겠죠.



For me, allowing people to see pieces of my story and my perspective online has reminded me that I'm not alone. 

제게 있어, 사람들에게 제 이야기와 시선을 담은 사진들을 온라인에서 볼 수 있게 공유한 행동은 제가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상기시켜주었습니다. 



It's helped me build support and community to do the same for others. 

 이는 다른 사람들도 이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제가 커뮤니티 개발과 지원을 하는 데에 이바지했습니다. 



Let me be clear: I am not trying to discourage you from taking photos. 

분명히 해둘 것이 있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사진 찍는 것을 말리고자 하는 것이 아닙니다. 



Even if thousands of people have been to whatever exact location and taken whatever exact photo, 

수천 명의 사람들이 이미 그 어떤 곳에 가보았다 하더라도,  이미 그 어떤 사진을 찍었더라도, 



I encourage you to get out and create too. 

저는 여러분도 밖에 나가 사진을 찍을 것을 권합니다. 



The world needs every voice and perspective, and yours is included. 

이 세상은 모두의 목소리와 시선이 필요합니다. 여러분들을 포함해서요. 



But what I'm trying to show you is that the phone or camera doesn't have to stay out all the time. 

하지만 제가 여러분에게 보여드리고자 하는 사실은, 핸드폰이나 카메라를 항상 꺼내고 있을 필요는 없다는 겁니다.



What I'm trying to encourage you to do is to put it away, just for a moment -- a moment for you. 

제가 여러분에게 권장하는 바는, 잠시만이라도, 집어넣는 것입니다. 여러분 자신을 위한 그 순간을 위해서. 



So let's go back to Mesa Arch, 

다시 메사 아치로 돌아가 봅시다.



the way that the rock glows orange and the lovely layers of blue in the background. 

바위가 오렌지 색으로 빛나고, 뒷배경에 겹겹의 아름다운 푸른색 층이 있는 곳으로요.



What if the next time you were somewhere amazing, you couldn't bring your camera or phone? 

다음번에, 어딘가 경이로운 곳을 방문할 때, 핸드폰이나 카메라를 가지고 갈 수 없다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What if you were not allowed to take any pictures at all? 

그 어떤 사진도 찍을 수 없다면요?



Would it feel like a limitation? 

이것이 여러분에게 제약으로 느껴질까요?



Or would it feel like a relief? 

아니면 해방으로 느껴질까요? 



So what can we do? 

그럼 이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Well, the next time you feel the impulse to take out your camera or phone, 

다음번에 카메라나 핸드폰을 꺼내려는 충동을 느낀다면, 



or, in my case, once you realize you have already pulled it out -- 

혹은, 제가 그랬던 것처럼 이미 꺼냈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다면, 



First: stop. Pause. 

일단, 멈추세요. 잠깐 정지. 



Take a deep breath. Look around. 

한 번 심호흡합니다. 주변을 둘러보세요.



What do you notice? 

무엇이 보이십니까?



Are you experiencing this moment with someone else? 

이 순간을 혹시 다른 누군가와 함께 경험하고 있나요?



Remember that this moment only comes once. 

기억하세요, 이 순간은 오로지 한 번뿐이라는 것을.



Photography can be part of a beautiful experience. 

사진 촬영은 아름다운 경험의 일부분이 될 수 있습니다. 



Just don't let it be a block between you and reality. 

그렇다고 현실 사이의 장벽으로 두지는 마세요.



Be intentional, and don't lose a beautiful, irreplaceable memory, because you were too focused on getting the shot. 

의도성을 갖고 찍으세요. 그리고 사진 촬영에 너무 몰두한 나머지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아름다운 기억을 잃어버리지 마세요. 



Thank you. 

감사합니다. 



https://www.ted.com/talks/erin_sullivan_does_photographing_a_moment_steal_the_experience_from_you?language=ko








제가 30여년 전 즈음에 처음 나이지리아의 베닌에서 의사가 되었을 때, 

When I first became a doctor in Benin City, Nigeria, some 30-odd years ago,



사람들이 더 충만한 삶을 살도록 도와주게 되었습니다. 

I was drawn to help people live full lives.



그러나 종종 제가 무능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But often, I found myself feeling impotent. 



저는 기술이 많은 의사였지만, 만성질환이 있는 환자들을 치료하지는 못했어요. 

Here I was, a brand-new doctor with all these skills, but I couldn't cure my patients 



심장병, 천식, 당뇨병과 같은 질병들 말이죠. 

who had chronic diseases -- illnesses like heart disease, asthma, diabetes --



그저 처방전을 주는 것 이상의 무언가가 필요했습니다. 혹은 비관적인 상담으로 일을 빨리 끝내거나요. 

and needed more than just handing them a prescription or providing grief counseling in the office to get the job done. 



15년 후에 저는 조지아의 애틀란타에 있었습니다. 

Fast-forward 15 years later: I'm in Atlanta, Georgia;



그곳은 완전히 다른 세계였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기시감을 느꼈습니다. 

it's a different world, but it was déjà vu all over again. 



의사로서 우리는 만성 질환자들을 단편적으로 처리해야만 했습니다. 

As doctors, we see our patients who have chronic illnesses in an episodic way.



동시에, 환자들은 어떻게 스스로 많은 결정들을 해야할지 배워야 했습니다. 

In between, the patients have to learn how to make a lot of decisions for themselves.



예시를 알려드리죠. 

I'll give you examples.



만약 여러분이 매일 복용해야 하는 약이 있다면, 아플 때 무엇을 하나요? 

If you have medications you're supposed to take every day, what do you do when you're sick?



여전히 약을 복용하나요? 

Are you still supposed to take it?



복잡한 일이 일어났을 때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나요? 

How do you recognize a complication when it happens?



부작용이 발생하면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나요? 

How do you recognize a side effect when it happens? 



어떻게 해결하나요? 

What do you do with it? 



이 모든 것 외에도 만성 질환자들은 피할 수 없는 외로움, 고립감, 불안함과 마주합니다. 

In addition to all of this, they're dealing with the inevitable loneliness, isolation and anxiety that people who have chronic illnesses deal with.



미국에서만, 10명의 성인 중 6명은 만성질환이 있습니다. 

In the US alone, six in 10 adults have a chronic illness.



1억 2500만 명이죠. 

That's 125 million people.



로버트 우드 존슨 재단의 최신 자료에 의하면, 건강상의 습관이 사람들이 겪는 병의 50%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A recent report from the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showed that health habits account for 50 percent of the health outcomes that people experience,



의학적 치료가 오직 20%밖에 차지하지 않는데 말이죠. 

while medical care only accounts for 20 percent.



사실, 질병 관리 센터에서는 우리가 담배를 끊고, 

In fact,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says that if we could eliminate smoking,



운동을 꾸준히 하고 영양소를 잘 챙겨 먹는다면 80%의 심장병을 예방할 수 있고, 

physical inactivity and poor nutrition, that we can prevent 80 percent of heart disease,



80%의 2종류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고, 40%의 암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80 percent of type 2 diabetes and 40 percent of cancer. 






그러나 우리는 압니다, 건강상의 습관을 바꾸는 것은 매우 힘들다는 것을 말이죠. 

But we also know that changing health behaviors is very difficult.



그렇기에 질문하기를 만약 우리가 사람들이 습관을 바꿀 수 있게 동기를 주는 무언가를 만들면 어떨까? 

So we asked the question: What if we could create a resource that could motivate people to change health behavior?



사실, 사람들이 소위 말하는 자기 관리 능력을 돕는 것은 아주 많습니다. 

The truth is, there are a lot of these resources out there that help people acquire these so-called self-management skills.



그러나 그것은 쉽게 접근할 수 없고 와닿지도 않습니다. 

But many a time, they're not easily accessible or relatable,



특히 편견과 문화, 언어의 장벽을 마주하는 소수자나 서비스가 불충분한 지역사회에는 말이죠. 

particularly to individuals within minority and underserved communities, who face bias in addition to barriers like language and culture



불충분한 건강 보험도 마찬가지입니다. 

and inadequate health insurance coverage. 



지난 12년간, 저는 동료와 몰하우스 학교 약학과에서 만성질환을 돕기 위해 기술에 기반한 앱을 만들었습니다. 

And so in the last 12 years, my colleagues and I at Morehouse School of Medicine have created a technology-based application to assist with chronic illness care.



인터넷에서 앱이라는 형태로 간단하게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It's freely available on the web and as an app.



그것을 통해 사람들이 변화를 추적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And what we do is get people to track variables -- 



혈압, 혈당 같은 것을요. 

blood pressure, blood sugar --



그리고 그것을 다시 사용자에게 색상으로 구분된 형식으로 보냅니다. 

and then report it back to them in a color-coded format.



초록색은 건강한 범위를 의미하고, 빨강은 처리가 필요한 문제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So green would indicate a healthy range, and red would indicate a problem that needs something done about it.



우리는 이 데이터를 커리큘럼으로 연결시킵니다. 

We link these stats to a curriculum.



이 커리큘럼은 개개인들이 가지는 만성질환에 상관없이 건강상태를 알 수 있게 해주고 또한 헬스 코치의 조언을 통해 

The curriculum helps the individual learn about their health condition, whatever the chronic illness is.



그들의 질병의 복잡성을 방지하는 자기 관리 능력을 배울 수 있습니다. 

They also work with a health coach to learn self-management skills, skills that'll help them prevent complications of their illness. 



조언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선 그들은 함께 일하는 개개인의 신뢰를 얻어야 합니다. 

In order for the coach to be successful, they have to be able to gain the trust of the individual that they're working with.



우리는 헬스코치가 의학 도우미인 곳에서 이 앱을 시험했습니다. 

We tested this application in clinics, where the health coaches were medical assistants,



그리고 헬스코치가 보건복지부 자원봉사자인 도시의 큰 교회에서 시험했습니다. 

and in a large urban church, where the health coaches were volunteers from the health ministry.



일년 후, 1/3의 참가자들이 세 가지 자기 관리 능력을 얻게 되었고 지속보완이 가능하게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A year later, a third of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acquire three new self-management skills and maintain them to the extent that it was able to improve

그들의 혈압, 혈당 그리고 운동량까지요. 

their blood pressures, their blood sugar and their exercise. 



이제 간단하면서도 매혹적인 것은 교회의 그룹이 단순히 의학적 치료를 받는 그룹보다 더욱 훌륭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Now, what was simple yet fascinating to us was that the group from the church did just as well or even better than the group that were under purely medical care.



우리는 왜 이렇게 됐는지 알고 싶었습니다. 

And we wanted to learn why that was.



그래서 더 깊은 조사를 했고 400시간의 녹취록으로 알게 된 것은 

So we looked a little further into the research -- 400 hours of recorded conversation -- 



교회의 코치들은 환자들과 함께 하는 시간이 더 많았습니다. 

and what we learned was that the coaches from the church did have more time to spend with the patients,



환자들의 가족과도 말이죠. 

they had access to the patients' families,



그로 인해 코치는 환자의 요구를 잘 알고, 그에 맞는 해결책을 환자들에게 제시했습니다. 

and so they could figure out what people needed and provide those resources for them.






우리의 팀은 이를 "문화적으로 적합한 코칭" 이라고 부릅니다. 

My team and I call this "culturally congruent coaching." 



문화적으로 적합한 코칭의 개념을 묘사하기 위해, 

To illustrate this concept of culturally congruent coaching,



우리가 베르사라 부르는 환자 한 명을 예로 들겠습니다. 

I want to tell you about one of our patients.



베르사는 당뇨병과 고혈압이 있는 83세의 여성입니다. 

I'll call her Ms. Bertha. So Ms. Bertha is an 83-year-old lady with diabetes and hypertension.



그녀는 앤이라는 교회의 헬스코치에게 배정되었고 

She was assigned to Anne, her health coach in the church.



앤은 베르사와 수년 동안 그녀와 친구관계를 유지했던 사람이었습니다. 

Anne also happened to be a family friend to Ms. Bertha for many years, 



그들은 동료 교인이었죠. 

and they were fellow congregants. 



앤은 첫 몇 번의 방문 후 베르사가 성실히 데이터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Anne observed after the first few visits that even though Ms. Bertha faithfully recorded her stats,



모든 결과가 빨강인 걸 보았습니다. 

they were all showing up as red.



그래서 베르사가 왜 그런지 알기 위해 더 깊이 조사했고, 

So she probed a little deeper to try to understand what was going on with Ms. Bertha, 



베르사는 앤에게 사실을 알려주었습니다. 

and Ms. Bertha gave her the real-real. 



그녀는 이전에 약을 먹었을 때 이상한 감정을 느꼈다고 말했습니다. 

She told her that there were times when her medications made her feel weird,



또한 그녀는 처방대로 복용하지 않았습니다. 

and she wouldn't take them the way they were prescribed, 



왜냐하면 그 원인이 약이라 생각했지만. 

because she thought it was due to the medicines



이를 의사에게 말하지 않았습니다. 

but she didn't tell her doctor that. 



결국 그녀는 의사의 지시를 무시했습니다. 물론 많은 이유들이 있었겠지만요. 

She also skipped out on some doctor appointments for a variety of reasons,



그러나 그 중 하나는 그녀가 잘못된 행동을 했고 이 때문에 의사가 화내는 게 싫어서 가지 않았다는 겁니다 

but one of them was she wasn't doing better and she didn't want to make her doctor mad, so she just didn't go. 




그래서 앤은 메르사와 대화를 했고 다음에 의사를 방문할 때는 딸과 같이 가시라고 조언했습니다.

So Anne talked to Ms. Bertha and asked her to bring her daughter in for the next visit, which she did.



그리고 그 방문 때, 앤은 베르사가 모아놓은 모든 통계를 인쇄할 수 있었습니다. 

And at that visit, Anne was able to print out a log of all these stats that Ms. Bertha had been collecting,



이것을 그녀에게 주고 다시 의사를 보러 가자고 격려했고. 

gave them to her and encouraged them to go see the doctor together,



결국, 다시 갔습니다. 

which they did.



그 정보들 덕분에 의사는 베르사에게 변화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었고, 3달 내에, 베르사의 숫자들은 전부 녹색에 속하게 되었습니다. 

With that information, the doctor was able to make changes to Ms. Bertha's treatment. Within three months, Ms. Bertha's numbers were all in the green.



아무도 베르사 자신보다 놀라거나 흥분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No one was more excited or surprised than Ms. Bertha herself. 



지금, 앤은 성공적인 헬스코치입니다. 

Now, Anne was successful as a health coach



왜냐하면 그녀는 깊이 그녀를 돌보았고, 베르사 씨의 오래된 문화를 조사하고, 그녀를 더 나은 단계로 이끌었습니다. 

because she cared enough to go below the surface and probe Ms. Bertha's deep culture and was able to reach her at that level.



그녀는 필요한 것을 위해 어떻게 경청하는지 알고 어떻게 질문을 해야 하는지 압니다. 

She knew how to listen, and she knew how to ask the right questions to get to what was needed.



건강상의 결정을 내리는 방식에 있어서 우리는 모두 깊은 무의식적인 규칙이 있었습니다. 

We all have deep unconscious rules that drive the way we make our health decisions.



그것은 우리의 문화입니다. 

That's our culture. 



앤과 베르사 사이의 관계와 대화는 언제 환자와 대화를 하는 게 가능한지 알려줍니다. 

The relationship and the conversation between Anne and Ms. Bertha illustrates what's possible when we have conversations with our patients,



깊은 문화에 있는 우리의 환자 친구와 이웃들도 마찬가지이죠. 

our friends and our neighbors on a deep cultural level.



개인적으로, 간단한 개념의 문화적으로 적합한 코칭을 생각할 때면 매우 짜릿함을 느낍니다. 

And personally, I'm beyond excited to think that with this simple concept of culturally congruent coaching,



우리는 1억 2500만의 미국인의 삶에 이어 전세계인의 삶 또한 바꾸고 있습니다. 

we could change the lives of 125 million Americans and many others across the world






만성질환으로 힘들어하고 있는 사람들 말입니다 

that are living with chronic diseases. 



감사합니다. 

Thank you. 




https://www.ted.com/talks/priscilla_pemu_a_personal_health_coach_for_those_living_with_chronic_diseases?language=ko






So if you live on planet Earth and you're one of seven billion people that eats food every day, I need you to pay attention, 

지구에 살고 계시고 매일 식사를 하는 70억 인구 중 한 분이시라면 집중해주세요.



because over the next three decades, we will need to address one of the most critical global challenges of our generation. 

향후 30년이 넘도록 우리는 우리 세대의 가장 중요한 전세계적인 과제 중 하나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And I'm not talking about climate change. 

그리고 저는 기후 변화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I'm talking about food and agriculture. 

저는 음식과 농업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In 2050, our global population is projected to reach 9.8 billion, with 68 percent of us living in urban city centers. 

2050년에 전 세계 인구는 98억 명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중 68%는 도심에 살 것입니다.



In order to feed this massive population, we will need to increase our agricultural output 

이 엄청난 인구를 먹여 살리려면, 우리는 농업 성과를 높여야 합니다.



by 70 percent over current levels.

현재 수준의 70%를 늘여야 하죠.



 Just to put this number into perspective, 

이 수치를 넓게 보면,



we will need to grow more food in the next 35 to 40 years than the previous 10,000 years combined. 

우리는 향후 35-40년 사이에 과거 만년 동안 생산량을 모두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해야 합니다.



Put simply, not only is our global population becoming bigger, 

간단히 말해서 전세계 인구가 커질 뿐 아니라 더 밀집될 것이고



but it's also getting denser, and we will need to grow significantly more food using significantly less land and resources. 

훨씬 더 적은 땅과 자원으로 훨씬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해야 할 것입니다. 



Complicating our current efforts to address these major demographic shifts are the challenges facing the agricultural industry today. 

이런 주요 인구학적 변화를 해결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오늘날 농업의 도전과제들입니다.



Globally, one third of all the food that we produce is wasted, 

전세계적으로 우리가 생산하는 식량의 3분의 1이 버려집니다.



acquitting to 1.6 billion tons of food that spoiled on the way to the market or expired in our refrigerators or were simply thrown out by supermarkets and restaurants at the end of the day. 

이는 16억톤에 해당하는 음식인데, 유통 과정 중 상하거나, 냉장고에서 유통기한이 다 되거나, 하루의 끝에 수퍼마켓이나 음식점에서 그저 버려지는 것들입니다.



Every single year, up to 600 million people will get sick eating contaminated food, 

매해 6억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오염된 음식을 먹고 탈이 나는데, 



highlighting the challenge that we have of maintaining global food safety. 

전 세계 식품 안전성 유지라는 과제를 부각시켜줍니다.



And, maybe unsurprisingly, the agricultural industry is the single largest consumer of fresh water, accounting for 70 percent of global usage. 

그리고 아마 놀랍지 않게도 농업이 담수를 소모하는 최대의 단일 소비 주체이고 전세계 사용량의 70%를 차지합니다.



Now, you'll be relieved to know that the agricultural industry and that the global movement by universities, companies 

여러분께서는 이를 아시면 안심이 되실 것입니다. 농업 산업과 대학교, 회사,



and NGOs is putting together comprehensive research and developing novel technology to address all of these issues. 

그리고 NGO 단체들의 전세계적인 운동이 이 모든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광범위한 연구와 새로운 기술 개발을 통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And many have been doing it for decades. 

그리고 많은 이들이 이를 수십년 동안 해왔죠.



But one of the more recent innovations in food production being deployed in industrial parks in North America, 

하지만 더 최근에 이루어진 식량 생산의 혁신 중 하나는 북미 공업 단지, 



in the urban city centers of Asia, and even in the arid deserts of the Middle East is controlled environment agriculture. 

아시아의 도심, 그리고 심지어 중동의 건조한 사막에서도 시행되고 있는 제어 환경 농업입니다.



Controlled environment agriculture is actually just a fancy way of saying weather- or climate-proof farming, 

제어 환경 농업은 사실 날씨 또는 기후에 영향 받지 않는 농업을 일컫는 근사한 말이고,



and many of these farms grow food three-dimensionally in vertical racks, 

다수의 이런 농장들은 식량을 3차원적인 수직 받침대에서 기릅니다. 



as opposed to the two dimensions of conventional farms. 

관례적인 2차원적인 농장에 대비해서 말이죠.



And so this type of food production is also referred to as indoor vertical farming. 

이런 종류의 식량 생산은 또한 실내 수직 농업이라고 불립니다. 



I've been involved in the indoor vertical farming space for the past five and a half years, 

저는 실내 수직 농업 공간 프로젝트에 지난 5년 반 동안 참여해왔고, 



developing technology to make this type of food production more efficient and affordable. 

이러한 식량 생산 방식을 더욱 효율적이고 가격을 감당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한 기술을 개발해 왔습니다.



This picture was taken outside of a decommissioned shipping container that we converted into an indoor farm and then launched into the heart and the heat of Dubai. 

이 사진은 해체된 선박 컨테이너 외부에서 찍은 사진인데 이는 우리가 실내 농장으로 개조해서 두바이의 뜨거운 심장부에 설치한 것입니다.






Indoor vertical farming is a relatively recent phenomena, commercially speaking, 

실내 수직 농업은 비교적 최신 현상으로 여겨집니다. 상업적으로 이야기하자면,



an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consumers care more about food safety and where their food comes from, 

그 이유는 소비자들이 식품 안전성과 식량의 원산지에 더욱 신경을 쓰기 때문입니다.



and also, the necessary technology to make this possible is more readily available and lower cost, 

그리고 또한 이를 가능하게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보유 가능해 지고



and the overall cost of food production globally is actually increasing, making this type of food production more competitive. 

전세계적 식량 생산 비용이 실제로 증가하고 있기에 이런 종류의 식량 생산을 더욱 경쟁력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So if you want to build an indoor vertical farm, 

따라서 만약 실내 수직 농장을 짓고 싶으시다면,



you will need to replace some of the conventional elements of farming with artificial substitutes, starting with sunlight. 

농업의 관례적인 요소 일부를 인공적인 것들로 대체하셔야할 겁니다. 햇빛부터 시작해서요.



In indoor vertical farms, natural sunlight is replaced with artificial lighting like LEDs. 

실내 수직 농장에서는 자연광이 LED와 같은 인공광으로 대체됩니다.



While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LEDs being used, the one that we decided to install here is called "full spectrum LEDs," 

많은 서로 다른 종류의 LED가 사용되고 있지만 우리가 여기에 설치하기로 했던 것은 “완전 스펙트럼 LED”인데, 



which was optimized for the type of vegetables that we were growing. 

이는 우리가 키웠던 야채의 종류에 최적화되어 있었습니다.



Also, in order to maximize production for a given space, 

또한 일정한 공간에서 생산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indoor vertical farms also utilize and install racking systems to grow vegetables vertically, 

실내 수직 농장 또한 받침대 시스템을 사용하고 설치하여 야채들을 수직으로 재배해야 합니다.



and some of the biggest facilities stack their production 14 to 16 floors high. 

그리고 몇몇 큰 시설에서는 14층에서 16층 높이까지 쌓아서 생산하죠.



Now most of these farms are hydroponic or aeroponic systems, 

현재 이런 농장의 대부분은 수경 및 수기경 재배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which means that instead of using soil, they use a substitute material like polyurethane sponges, biodegradable peat moss 

흙 대신 폴리우레탄 스폰지, 생분해 물이끼와 같은 대체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and even use inorganic materials like perlite and clay pellets. 

심지어 펄라이트나 찰흙 알갱이같은 무생물 재료를 사용하기도 하죠.



Another unique aspects about these farms is that they use a precise nutrient formula that is circulated and recycled throughout the facility, 

이런 농장의 또다른 독특한 면은 그들이 시설 전체에서 순환되고 재활용되는 정확한 영양분 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and this is pumped directly to the vegetables' root zone to promote plant growth. 

그리고 이것은 식물의 성장 촉진을 위해 직접 야채의 뿌리로 주입됩니다.



And lastly, these farms use a sophisticated monitoring and automation system to significantly increase productivity, efficiency and consistency,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농장들은 생산력, 효율성과 일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정교한 모니터링과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and these tools also provide the added benefit of producing food that is more traceable and safe. 

또한 이러한 기술들은 생산되는 음식들을 더 안전하게 그리고 추적가능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Some of the obvious benefits of growing food in this way is that you have year-round vegetable production, 

이런 기술들의 명백한 장점들은 일년 내내 야채를 생산 할수있는 것과 



you have consistent quality and you have predictable output. 

일관된 품질을 얻고 생산량이 예측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Some of the other major benefits include significant resource use efficiencies, particularly water. 

일부 다른 주요 장점들은 주요 자원 특히 그 중 물을, 효율성있게 사용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For every kilogram of vegetables grown in this way, 

이렇게 자라난 야채들은 1kg 당 기존의 농업방법과 비교하였을때,



hundreds of liters of water is conserved compared to conventional farming methods. 

수백 리터의 물이 보존됩니다. 



And with the water savings come similar savings in the use of fertilizer. 

그리고 물 절약과 동시에 비료 사용도 절약 될 수 있습니다.



One of the highest-yielding farms grows over 350 times more food per square meter than a conventional farm. 

수확량이 가장 많은 농장 중 하나는 기존 농장 보다 평방 미터 당 350배 이상의 식량을 재배합니다. 



And weatherproofing means complete control of incoming contaminants and pests, completely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use of chemical pesticides. 

그리고 '내후성'이란 유입되는 오염 물질 및 해충의 완전한 통제하여 화학 살충제의 필요성을 제거함을 의미합니다. 



And not to be mistaken, these farms can produce enormous amounts of food, 

다시 한번 말하자면, 하루에 3만 개의 야채를 생산하는 가장 큰 시설중에 하나를 통해



with one of the biggest facilities producing 30,000 heads of vegetables a day. 

이 농장들은 엄청난 양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However, as with any new technology or innovation, there are some drawbacks. 

하지만 모든 새로운 기술과 혁신에는 몇 가지 단점들이 따르기 마련입니다.



As you would imagine, growing food in this way can be incredibly energy-intensive. 

여러분께서 상상 하시는 것처럼, 이렇게 식량재배를 하는 것은 매우 에너지 집약적입니다. 



Also, these farms can only produce a small variety of vegetables commercially and the overall cost of the production still is quite high. 

또한 농장들은 상업적으로 오직 적은 종류의 야채만 생산 가능하고, 여전히 생산 비용은 꽤 높습니다. 



And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some of the biggest and most sophisticated farms are making significant investments, starting with energy efficiency. 

그리고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몇몇 가장 크고 복잡한 농장들은 에너지 효율성부터 시작해 상당한 투자를 하고있습니다.



In order to reduce the high energy usage, there are efforts to develop higher-efficiency LEDs, to develop lasers optimized for plant growth 

높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효율적인 LED를 개발하고 식물 성장에 최적화된 레이저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and using even fiber-optic cables like these to channel sunlight directly into an indoor vertical farm during the day to reduce the need for artificial lighting. 

그리고 낮에는 인공 불빛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 심지어 이와 같은 광섬유를 사용하여 실내 수직 농장에 직접적으로 햇빛이 들게끔합니다.



Also, to reduce the labor costs associated with hiring a more sophisticated, more urban and also more high-skilled labor force, robotics in automation is used extensively in large-scale facilities. 

또한 정교하고 도시적이며 숙련된 노동력 사용으로 인한 인건비의 절감을 위해서 자동화된 로봇들은 대규모 시설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And you can never really be too resource-efficient. 

그리고 여러분은 결코 완벽하게 자원 효율적일 수 없습니다.



Building indoor vertical farms in and around urban city centers can help to shorten the agricultural supply chain and also help to maintain the nutritional content in vegetables. 

실내 수직 농장 건설로 인하여 도시 중심가의 농작물 연쇄 공급과정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야채의 야채의 영양 성분을 유지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Also, there are food deserts in many countries that have little to no access to nutritious vegetables, 

또한 많은 국가에는 음식이 거의 전혀 접근 할 수 없는 음식 사막화가 있습니다.



and as this industry matures, 

하지만 이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it will become possible to provide more equitable access to high-quality, 

심지어 대부분의 혜택 받지 못하는 공동체에도 고품질과



highly nutritious vegetables in even the most underprivileged of communities. 

고양분의 야채들에 대한 공평한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And finally, and this is really exciting for me personally,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가는 것인데, 



indoor vertical farming can actually be integrated seamlessly into the cityscape to help repurpose idle, underutilized and unused urban infrastructure. 

실내 수직 농업은 실제로 도시에 매끄럽게 통합되어 충분히 활용되지 않았던 도시 하부구조를 다른 용도로 바꾸는 데 도움을 줍니다.



In fact, this is already happening today. 

사실 이는 이미 일어나고 있습니다.



Ride-sharing services have taken hundreds of thousands of cars off the road and they have significantly reduced the need for parking. 

승차 공유 서비스는 도로의 수많은 자동차를 줄였고, 주차의 필요성을 상당히 줄였습니다.



This is a farm that we installed in central Beijing in an underutilized underground parking structure to grow vegetables for the nearby hotels. 

이것은 우리가 베이징의 중심부에 위치한 활용도가 낮은 근처호텔의 지하 주차장을 이용하여 지은 야채를 재배하는 한 농장 입니다.



Underutilized infrastructure is not simply limited to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projects, 

활용도가 낮은 하부구조들은 단순히 대규모 토목 프로젝트에 제한 되어있지 않습니다. 



and they can also include smaller spaces like idle restaurant corners. 

그리고 거기에는 사용하지 않는 음식점 코너같이 좁은 곳도 포함됩니다.



This is an example of a farm that we installed directly into the partition of a hotel entrance in order to grow fresh herbs and microgreens on-site for the chefs. 

이것은 우리가 요리사를 위해 신선한 허브와 녹색 채소들을 현장에서 키우기 위해 호텔 입구를 분할하여 설치한 농장의 예입니다. 



Honestly, if you look around, you will find underutilized space everywhere, under, around and inside of urban developments. 

사실 주변을 둘러 보면, 도시 개발의 아래, 주변 혹은 안쪽 등 어디에서나 활용하지 않는 공간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This is a farm that we installed into an empty office corner to grow fresh vegetables for the employees in nearby cafes. 

이것은 우리가 근처 카페 직원들을 위한 신선한 야채를 재배하기 위해 빈 사무실 코너에 설치 한 농장입니다.



I get to be a part of all these cool projects 

저는 이 모든 멋진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and working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to improve access and affordability to fresh and nutritious produce, hopefully soon by anyone anywhere, 

그리고 이 농업 산업에서 신선하고 영양가 있는 농산물에 대한 바라건대 곧 모든 곳에서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접근성과 저렴한 가격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했는데,



has been the greatest joy and also the most humbling and intellectually challenging thing I've ever done. 

이는 제 최대의 기쁨이며 또한 현재까지 제가 했던 것 중 가장 지적으로 도전적이며 겸손했던 일입니다. 



And now that I've convinced you that agriculture can be quite sexy, 

그리고 이제 제가 농업이 상당히 매력적일 수 있다는 것을 확신시켰으니,



you'll be surprised and shocked to know that I still have trouble fully articulating how and why I decided to work, and continue to work,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제가 농업 산업에서 어떻게 그리고 왜 일을 계속하기로 결심했는지 아직도 완전히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면 놀라움과 충격을 받을 것입니다.



But a couple of years ago, I found a rather unique answer hiding in plain sight. 

그러나 몇 년 전, 저는 잘 보이지 않던 독특한 답을 찾았습니다.



You see, I read an article about how your name, particularly your last name, can have a strong influence on everything from your personality to your professional career. 

보시면, 저는 어떻게 하여 이름 중 특히 성이 여러분의 성격부터 전문적인 직업까지 모든 것에 대해 얼마나 큰 영향을 줄수있는 지에 대한 기사를 읽은적이 있습니다.



This is my Japanese last name: Oda. 

오다, 이게 저의 일본 성입니다.






And the characters translate literally into "small farm." 

그리고 이 단어들은 말 그대로 "작은 농장"의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Thank you. 

감사합니다.



https://www.ted.com/talks/stuart_oda_are_indoor_vertical_farms_the_future_of_agriculture?language=ko







The Vikings came from the rugged, inhospitable north known today as Scandinavia. 

바이킹들은 척박하고 살기 어려운 북쪽땅에서 왔는데 오늘날 스칸디나비아라고 불리는 곳이죠.



As the Roman Empire flourished further south, Scandinavians had small settlements, no central government, and no coinage. 

멀리 남쪽에서 로마제국이 번성할 때, 스칸디나비아인들의 정착지는 작았고 중앙정부나 화폐도 없었습니다. 



Yet by the 11th century, the Vikings had spread far from Scandinavia, 

하지만 11세기에 이르러서는 바이킹들은 스칸디나비아로부터 멀리까지 퍼져나갔고,



gaining control of trade routes throughout Europe, conquering kingdoms as far as Africa, 

유럽 전역의 무역로를 장악했으며 멀리 아프리카에 있는 왕국들까지 정복했습니다. 



and even building outposts in North America. 

그리고 심지어 북아메리카에 전초기지까지 건설합니다. 



The secret to their success was their ships. 

이 성공의 비밀은 바이킹 배였습니다. 



The formidable Viking longship had its origins in the humble dugout canoe, or log boat. 

가공할 만한 바이킹 배는 조촐한 카누나 통나무배에서 유래하였습니다.



For millennia, the inhabitants of Scandinavia had used these canoes for transportation. 

천 년 동안 스칸디나비아인들은 카누를 운송수단으로 사용했습니다.



Dense forests and tall mountains made overland travel difficult, 

우거진 숲과 높은 산들때문에 육로 이동은 어려웠습니다.



but long coastlines and numerous rivers, lakes, and fjords provided a viable alternative. 

대신에 긴 해안선과 수많은 강과 호수 그리고 협만이 현실성있는 대안이 되었죠.



The first canoes were simply hollowed out logs rowed with paddles. 

초기 카누는 단순히 나무 줄기를 파고 작은 노로 저었습니다.



Over time, they added planks to the log boat base using the clinker, or "lapstrake," technique, 

시간이 지나면서, 통나무배 바닥에 널빤지를 추가합니다. 클링커 또는 겹판이라고 부르는데,



meaning the planks overlapped and were fastened to each other along their edges. 

널빤지들을 겹쳐 붙여서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고정이 되게 하는 거죠.



As the Roman Empire expanded north, some Scandinavians served in their new neighbors’ armies— 

로마제국이 북쪽으로 확장하면서 일부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은 로마 군대에서 복무를 했고,



and brought home Roman maritime technology. 

로마의 해상기술을 익혀서 돌아왔습니다.



The Mediterranean cultures at the heart of the Roman Empire had large warships that controlled the sea, 

로마제국 중심부에 있는 지중해 문화는 바다를 장악한 큰 전함들이 있었고



and cargo ships that transported goods along the waterways. 

수로를 따라 짐을 나르는 화물선도 있었습니다.



These ships were powered by sail and oars and relied on a strong skeleton of internal timbers fastened to the outer planks with copper, iron, and wood nails. 

이 배들은 돛과 노로 움직였고 내부에 튼튼한 뼈대가 있었습니다. 늑재는 구리, 쇠, 나무못을 써서 외벽에 결합하였습니다. 



At first, Scandinavians incorporated this new technology by replacing their loose paddles with anchored oars. 

처음에 스칸디나비아인들이 이 신기술을 도입한 것은 노를 고정시킨 것이었습니다.



This change hugely improved the crew’s efficiency, but also required stronger ships. 

이 변화는 선원의 능률을 크게 높였지만 더 튼튼한 배가 필요해졌죠.



So boat builders began to use iron nails for fasteners rather than sewing. 

그래서 꿰매는 대신 쇠못을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They abandoned the log boat base for a keel plank, and the boats became higher and more seaworthy. 

통나무 바닥을 버리고 용골을 설치해서 배는 더 높아지고 항해에 더 적합하게 됩니다.



But these early ships retained the concept of the original log boat: 

하지만 초기의 배들은 통나무 배의 개념을 유지했습니다.



their strength depended on the outer shell of wood, not internal frames and beams. 

내구성을 나무 외벽에 의존한 거죠. 내부의 뼈대나 기둥 대신에요. 






They were built as shells— thin-walled but strong, and much lighter than the Roman ships. 

얇지만 강한 외벽을 써서 로마의 배보다 훨씬 가벼웠죠. 



Competing chieftains quickly refined the new ships to be even more efficient. 

족장자리에 대한 경쟁으로 배가 더욱 효율적으로 되었습니다.



The lighter the boat, the more versatile it would be and the less investment of resources it would require— 

배가 가벼울수록 더 많은 용도로 쓸 수 있었고 더 적은 자원을 썼죠. 



an essential advantage in a decentralized culture without large supplies of people. 

분산된 문화에서 매우 큰 이점이었죠. 많은 인력이 필요 없었으니까요.



These ships still had no sails— sails were costly, and for now the rowed ships could meet their needs. 

이 배들은 아직 돛이 없었는데 돛은 매우 비쌌고 현재로서는 노로도 충분했죠. 



That changed after the Western Roman Empire collapsed in the 5th century. 

하지만 서로마 제국이 5세기에 무너지면서 사정이 바뀌게 됩니다.



Western Europe took a heavy economic blow, leveling the playing field a bit for the Scandinavians. 

서유럽은 심한 경제적 타격을 받았고 나름 공평한 경쟁의 장이 스칸디나비아인들에게 펼쳐졌죠.



As the region revived, new and vigorous trade routes extended into and through Scandinavia. 

지방이 다시 활발해지면서 새롭고 활발한 거래 통로가 스칸니나비아를 통해서 확장되었습니다.



The wealth that flowed along these routes helped create a new, more prosperous and powerful class of Scandinavians, 

이 동선들로 흐른 부로 인해 일부 스칸디나비아인들은 더욱 번창하고 강력해졌습니다.



whose members competed constantly with each other over trade routes and territory. 

이들은 지속적으로 서로 경쟁을 했는데 무역로와 영토가 그 목표였습니다. 



By the 8th century, a sailing ship began to make sense: 

8세기에 이르러서는 범선이 전면에 등장했습니다.



it could go further, faster, in search of newly available plunder. 

새로 약탈가능한 곳을 찾아서 더 멀리, 더 빨리 갈 수 있게 됐죠. 



With the addition of sails, the already light and speedy ships became nearly unbeatable. 

돛을 추가하면서 이미 가볍고 빨랐던 배들은 거의 무적이 됩니다.



The Viking ship was born. 

바이킹 배가 탄생한 것이죠.



Viking longships could soon carry as many as 100 Vikings to battle. 

곧 바이킹 배는 100명의 바이킹을 전장으로 보낼 수 있었습니다.



Fleets of them could land on open beaches, penetrate deep into river systems, and be moved over land if need be.

이들은 해변에 상륙하거나 강을 따라 깊숙히 침투했고 필요하면 내륙에서도 이동했습니다.



When not at war, the vessels were used to transport goods and make trade journeys. 

전시가 아닐 때는 배들은 짐을 옮기거나 무역에 쓰였습니다.



There were smaller versions for fishing and local excursions, 

작은 것들은 낚시나 근처 여행에 쓰였고 



and larger adaptations for open sea voyages capable of carrying tens of tons of cargo. 

큰 것들은 먼바다 항해용으로 개조해서 수십 톤의 짐을 실을 수도 있었죠.



Thanks to their inventiveness in the face of difficult terrain and weak economies, the Vikings sailed west, 

허약한 경제와 척박한 땅에 맞선 창의력 덕분에 바이킹들은 서쪽으로 항해를 했고



settled the North Atlantic and explored the North American coast centuries before any other Europeans would set foot there. 

북대서양 연안에 정착했고 북아메리카 해안을 탐험했습니다. 다른 유럽인들이 나타나기 수 세기 전에 말이죠. 






https://www.ted.com/talks/jan_bill_what_was_so_special_about_viking_ships?language=ko







Growing up in central Wisconsin, I spent a lot of time outside. 

위스콘신에서 자란 전, 바깥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In the spring, I'd smell the heady fragrance of lilacs. 

봄에는 라일락 꽃향기를 맡았죠.



In the summer, I loved the electric glow of fireflies as they would zip around on muggy nights. 

여름에는 후덥지근한 밤에 날개를 펴고 날아다니는 반딧불이를 좋아했죠. 



In the fall, the bogs were brimming with the bright red of cranberries. 

가을에는 늪에 새빨간 크렌베리 열매가 가득했습니다. 



Even winter had its charms, with the Christmassy bouquet emanating from pine trees. 

겨울의 풍경까지도 아름다웠죠. 소나무에 크리마스 장식용 꽃들이 막 피어나니까요. 



For me, nature has always been a source of wonder and inspiration. 

저에게 자연은 항상 경이와 영감을 주었습니다. 



As I went on to graduate school in chemistry, 

몇 년이 지나고 제가 화학공학으로 학교를 졸업했을 때는,



and in later years, I came to better understand the natural world in molecular detail. 

자연 속에 있는 작은 분자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All the things that I just mentioned, 

방금 제가 언급한 모든 것들, 



from the scents of lilacs and pines to the bright red of cranberries and the glow of fireflies, 

라일락과 소나무의 향기 새빨간 크렌베리 열매 반딧불이의 불빛, 



have at least one thing in common: they're manufactured by enzymes. 

여기에는 최소한 한 가지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효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이죠. 



As I said, I grew up in Wisconsin, so of course, I like cheese and the Green Bay Packers. 

앞서 말했듯이, 저는 위스콘신 출신이라 치즈를 좋아하고 그린베이 패커스 팀을 응원합니다.



But let's talk about cheese for a minute. 

잠깐 치즈에 대해서 얘기해 보죠.



For at least the last 7,000 years, humans have extracted a mixture of enzymes 

최소한 7,000년 전부터 인간은 효소를 채취해 왔습니다.s



from the stomachs of cows and sheep and goats and added it to milk. 

소와 양 그리고 염소의 젖으로부터 그리고 그걸로 우유를 만들었죠.



This causes the milk to curdle -- it's part of the cheese-making process. 

이렇게 하면 우유가 분리되는데 치즈를 만드는 과정 중에 하나죠.



The key enzyme in this mixture is called chymosin. 

이 혼합물에서 가장 중요한 효소는 키모신이라고 불립니다. 



I want to show you how that works. 

어떻게 작용하는지 보여드리죠. 



Right here, I've got two tubes, and I'm going to add chymosin to one of these. 

바로 여기 두 개의 관이 있고, 이 관들 중 하나에 키모신을 넣을 겁니다.



Just a second here. 

잠깐만 기다려보세요. 



Now my son Anthony, who is eight years old, 

제 아들 앤서니는 이제 여덟 살이 됐는데, 



was very interested in helping me figure out a demo for the TED Talk, 

TED 강연에서 제가 시연할 것을 옆에서 도와주는 걸 정말 좋아합니다.



and so we were in the kitchen, we were slicing up pineapples, 

그래서 저희는 부엌에서 파인애플을 썰어서, 



extracting enzymes from red potatoes and doing all kinds of demos in the kitchen. 

감자에서 효소를 추출해 부엌에서 온갖 종류의 실험들을 해봅니다.



And in the end, though, we thought the chymosin demo was pretty cool. 

그리고 그 결과, 저희는 키모신이 가장 괜찮은 것 같다고 생각했죠. 



And so what's happening here is the chymosin is swimming around in the milk,

그래서 지금 이 안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냐면 키모신이 우유 속을 돌아다니면서, 



and it's binding to a protein there called casein. 

카세인이라는 단백질과 결합하고 있습니다. 



What it does then is it clips the casein -- 

그러곤 어떻게 되냐면 카세인을 잘라냅니다.  



it's like a molecular scissors. 

분자 가위처럼요.



It's that clipping action that causes the milk to curdle. 

이렇게 자르는 과정이 우유가 분리되는 과정입니다.



So here we are in the kitchen, working on this. OK. 

여기 부엌에서 저희가 하는 거 보이시죠. 이제 됐습니다. 



So let me give this a quick zip. 

이제 빨리 뚜껑을 덮습니다.



And then we'll set these to the side and let these simmer for a minute. OK. 

그런 다음 몇 분 동안 이렇게 옆으로 흔들어줍니다. 됐네요.



If DNA is the blueprint of life, enzymes are the laborers that carry out its instructions. 

DNA가 인생의 청사진이라면 효소는 지시를 수행하는 노동자입니다.



An enzyme is a protein that's a catalyst, 

효소는 단백질이며 촉매제입니다. 



it speeds up or accelerates a chemical reaction, 

화학반응의 속도를 빠르게 하죠. 



just as the chymosin over here is accelerating the curdling of the milk. 

여기 이 키모신이 우유가 분리되는 걸 빠르게 하는 것처럼요.



But it's not just about cheese. 

하지만 치즈는 아닙니다. 



While enzymes d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ods that we eat, 

효소가 저희가 먹는 치즈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they also are involved in everything from the health of an infant to attacking the biggest environmental challenges we have today. 

영유아의 건강에 관련된 것부터 환경 문제에 관한 문제까지도 포함돼 있죠. 오늘날 우리가 가진 효모에는요. 



The basic building blocks of enzymes are called amino acids. 

효소의 가장 기본적인 결합은 아미노산입니다.



There are 20 common amino acids, and we typically designate them with single-letter abbreviations, 

20개의 기본 아미노산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저희는 한 글자씩 선택을 합니다. 



so it's really an alphabet of amino acids. 

그러면 정말로 알파벳으로 된 아미노산이 됩니다. 



In an enzyme, these amino acids are strung together, like pearls on a necklace. 

효소에서는 이러한 아미노산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꼭 진주 목걸이처럼 말이죠.



And it's really the identity of the amino acids, 

이것이 아미노산의 진짜 모습입니다. 



which letters are in that necklace, and in what order they are, what they spell out, 

그 목걸이에 걸린 글자가 무엇이고, 어떤 식으로 걸려있고, 철자가 무엇이고, 



that gives an enzyme its unique properties and differentiates it from other enzymes. 

이런 것들이 효소가 다른 효소와 구별될 수 있는 차이점을 부여합니다. 



Now, this string of amino acids, this necklace, folds up into a higher-order structure. 

이런 아미노산 줄이, 이 목걸이가, 더 고차원의 구조를 만들어냅니다.



And if you were to zoom in at the molecular level and take a look at chymosin, 

분자단위로 확대해서 여기에서 작용하고 있는 효소, 카모신을 들여다보면



which is the enzyme working over here, you would see it looks like this. 

바로 이렇게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It's all these strands and loops and helices and twists and turns, 

각각의 줄, 고리들과 나선들이 서로 얽혀서



and it has to be in just this conformation to work properly. 

이런 형태로 작동을 제대로 하기 위해 고군분투 하고 있습니다. 



Nowadays, we can make enzymes in microbes, and that can be like a bacteria or a yeast, for example. 

오늘날에는 미생물에서 효소를 발생시킬 수 있죠, 이렇게 만들어진 예시들이 박테리아나 효모입니다. 



And the way we do this is we get a piece of DNA that codes for an enzyme that we're interested in, 

이렇게 함으로써 저희가 관심갖고 있는 효소의 DNA 일부분을 얻어, 그걸 미생물에 주입합니다. 



we insert that into the microbe, and we let the microbe use its own machinery, 

그러면 저희는 그 미생물이 자체적으로 작용과 생산해 



its own wherewithal, to produce that enzyme for us. 

저희에게 필요한 효소를 만들어내게 둡니다.



So if you wanted chymosin, you wouldn't need a calf, nowadays -- you could get this from a microbe. 

그러니까 오늘날에는 키모신을 얻고 싶다면, 소는 필요 없습니다.  미생물에서 발효시킬 수 있으니까요.



And what's even cooler, 

그리고 더 끝내주는 사실은요,



I think, is we can now dial in completely custom DNA sequences to make whatever enzymes we want, 

이제 저희는 DNA 배열을 완전히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저희가 원하는 효소를 얻기 위해서요.



stuff that's not out there in nature. 

자연에서 얻을 수 없는 그런 효소들을 얻기 위해. 



And, to me, what's really the fun part is trying to design an enzyme for a new application, 

저는, 이게 정말로 재밌는 부분인데 효소를 발효시키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습니다. 



arranging the atoms just so. 

원자를 그렇게 배열하는 것이죠. 



The act of taking an enzyme from nature and playing with those amino acids, tinkering with those letters, 

자연에서 효소를 발효시키는 것과 아미노산을 가지고 놀면서 이러한 글자들로 어설프게 



putting some letters in, taking some letters out, 

어떤 글자는 넣어보고, 어떤 글자는 빼보고, 



maybe rearranging them a little bit, 

또 다시 재배열해보고, 



is a little bit like finding a book and editing a few chapters or changing the ending. 

이런 건 책을 찾아서 몇몇 챕터를 다시 쓰거나 결말을 바꾸는 것과 비슷합니다. 



In 2018,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was given for the development of this approach, 

2018년 노벨화학상 수상자가 이런 식의 접근 방법을 개발해냈습니다. 



which is known as directed evolution. 

직접 진화라고 알려져 있죠. 



Nowadays, we can harness the powers of directed evolution to design enzymes for custom purposes, 

저희는 직접 진화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효소를 각각의 목적에 알맞게 바꿔서요.



and one of these is designing enzymes for doing applications in new areas, like laundry. 

이런 것 중 하나는 만들어진 효소를 새로운 분야에 적용하는 것도 있습니다. 세탁처럼 말이죠. 



So just as enzymes in your body can help you to break down the food that you eat, 

여러분의 몸 속에 있는 효소가 여러분이 먹은 음식을 잘 소화시킬 수 있게 해주는 것처럼



enzymes in your laundry detergent can help you to break down the stains on your clothes. 

세탁세제 속의 효소도 옷에 묻은 얼룩을 쉽게 지울 수 있게 해줍니다. 



It turns out that about 90 percent of the energy that goes into doing the wash is from water heating. 

90% 정도 되는 에너지가 빨래가 돌아가기 전 물을 따뜻하게 할 때 쓰인다고 합니다. 



And that's for good reason -- the warmer water helps to get your clothes clean. 

이건 타당해 보입니다. 따뜻한 물이 옷을 깨끗하게 해주긴 하니까요.



But what if you were able to do the wash in cold water instead? 

하지만 대신 차가운 물로 세탁을 할 수 있다면요?



You certainly would save some money, 

그러면 돈도 절약할 수 있고,



and in addition to that, according to some calculations done by Procter and Gamble, 

그리고 더 나아가서 프록터 앤드 갬블의 통계에 따르면



if all households in the US were to do the laundry in cold water, 

미국에 있는 모든 가정집이 차가운 물로 세탁을 한다면



we would save the emissions of 32 metric tons of CO2 each year.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일년에 32톤을 줄일 수 있습니다. 



That's a lot, that's about the equivalent of the carbon dioxide emitted by 6.3 million cars. 

이건 엄청난 양이죠. 그 양은 6천 3백만 대의 차량이 배출하는 양과 같아요. 



So, how would we go about designing an enzyme to realize these changes? 

그렇다면 저희는 어떠한 방법으로 효소가 이런 변화들을 인지할 수 있게 할까요?



Enzymes didn't evolve to clean dirty laundry, much less in cold water. 

효소가 더러운 세탁물을 깨끗하게 하려고 진화하진 않죠, 하물며 차가운 물이라도요. 



But we can go to nature, and we can find a starting point. 

하지만 자연에 가면, 출발점은 찾을 수 있습니다.



We can find an enzyme that has some starting activity, some clay that we can work with. 

자연에서 활발하게 활동을 시작한 효소를 찾을 수 있어요, 진흙들로 말이죠. 



So this is an example of such an enzyme, right here on the screen. 

여기 화면에 띄운 효소는 바로 그러한 예 중 하나입니다. 



And we can start playing with those amino acids, 

제가 앞서 말했듯이 이러한 아미노산으로 노는 겁니다. 



as I said, putting some letters in, taking some letters out, rearranging those. 

글자를 넣어도 보고, 글자를 빼보기도 하고, 다시 재배열 해보기도 하죠. 



And in doing so, we can generate thousands of enzymes. 

이렇게 해서, 저희는 수천 개의 효소를 발생시킵니다. 



And we can take those enzymes, and we can test them in little plates like this. 

그래서 이러한 효소들을 가져다 이러한 작은 접시에 시험을 해보는 거죠. 



So this plate that I'm holding in my hands contains 96 wells, 

제가 들고 있는 이 접시에는 96개의 칸막이가 있고,



and in each well is a piece of fabric with a stain on it. 

각각의 칸막이에 붙어있는 천에는 얼룩이 묻어있어요.



And we can measure how well each of these enzymes are able to remove the stains from the pieces of fabric, 

저희는 이러한 효소들이 천에 묻은 이러한 얼룩들을 얼마나 잘 처리할 수 있는지를 실험해 볼 겁니다. 



and in that way see how well it's working. 

그렇게 하면 이게 얼마나 잘 되는지 볼 수 있겠죠.



And we can do this using robotics, like you'll see in just a second on the screen. 

로봇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방금 전 화면에서 보신 것처럼요. 



OK, so we do this, and it turns out that some of the enzymes are sort of in the ballpark of the starting enzyme. 

좋아요. 저희는 이 실험을 해봤고, 그 결과 이 중 몇몇 효소들이 어떻게 효소들을 만들어내는지 대략적으로 파악이 됐습니다.



That's nothing to write home about. 

인상적인 결과는 아니었죠.



Some are worse, so we get rid of those. 

더 나빠진 것도 있었고, 이건 제거했습니다. 



And then some are better. 

몇 개는 더 좋아졌습니다.



Those improved ones become our version 1.0s. 

더 나아진 건 버전 1.0이었죠.



Those are the enzymes that we want to carry forward, and we can repeat this cycle again and again. 

저희는 이러한 효소들을 이용해 성공할 수 있겠다 싶었고, 이러한 순환을 반복하고 또 반복했습니다.



And it's the repetition of this cycle that lets us come up with a new enzyme, 

이러한 순환을 반복하니 새로운 효소가 만들어졌습니다. 



something that can do what we want. 

저희가 원하는 바로 그 효소를요.



And after several cycles of this, we did come up with something new. 

이러한 순환을 몇 번 더 거치니, 뭔가 새로운 것이 탄생했습니다. 



So you can go to the supermarket today, 

그러니까 오늘 슈퍼마켓에 가신다면, 



and you can buy a laundry detergent that lets you do the wash in cold water because of enzymes like this here. 

차가운 물로 세탁할 수 있는 세탁세제를 살 수 있을 거예요. 여기 이러한 효소 덕분에 말이죠. 



And I want to show you how this one works too. 

이 효소도 어떻게 작용하는지 보여드리죠. 






So I've got two more tubes here, and these are both milk again. 

여기 관이 두 개 더 있는데, 여기에도 똑같이 우유가 들어있습니다.



And let me show you, 

이제 보여드릴게요. 



I've got one that I'm going to add this enzyme to and one that I'm going to add some water to. 

제가 지금 하나에 이 효소를 넣었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에는 물을 더 추가했죠.



And that's the control, so nothing should happen in that tube. 

여기는 통제되어 있기 때문에, 이 관에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You might find it curious that I'm doing this with milk. 

제가 왜 우유로 이러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But the reason that I'm doing this is because milk is just loaded with proteins, 

제가 우유로 하는 이유는 바로 우유에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and it's very easy to see this enzyme working in a protein solution, 

그래서 이 효소가 단백질 용액과 어떤 작용을 하는지 보는 게 매우 쉽습니다.



because it's a master protein chopper, that's its job. 

왜냐하면 이건 단백질 자르기의 마스터거든요. 하는 일이 그거니까요. 



So let me get this in here. 

이걸 여기에 넣습니다. 



And you know, as I said, it's a master protein chopper 

제가 이건 단백질 자르기의 마스터라고 했죠. 



and what you can do is you can extrapolate what it's doing in this milk to what it would be doing in your laundry. 

이 우유에서 일어나는 일로 세탁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게 될지 추측할 수 있습니다. 



So this is kind of a way to visualize what would be happening.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눈으로 보여주는 거죠.



OK, so those both went in. 

좋아요. 두 관에 다 들어갔습니다.



And I'm going to give this a quick zip as well. 

그리고 재빨리 뚜껑을 덮어줍니다.



OK, so we'll let these sit over here with the chymosin sample, so I'm going to come back to those toward the end. 

키모신 샘플 옆에 놔두고 강의를 다 끝내고 다시 여기에 와 보죠. 



Well, what's on the horizon for enzyme design? 

효소가 이렇게 빨리 생길 수 있냐고요?



Certainly, it will get it faster -- there are now approaches for evolving enzymes 

물론이죠, 엄청 빨리 생깁니다. 지금 보여준 방법이 효소를 발생시킬 때



that allow researchers to go through far more samples than I just showed you. 

연구원들이 제가 방금 여러분께 보여준 샘플보다 훨씬 더 많은 샘플로 하는 방법입니다. 



And in addition to tinkering with natural enzymes, like we've been talking about, 

효소를 자연발생시키려고 한다면, 저희가 지금까지 얘기했던 것처럼,



some scientists are now trying to design enzymes from scratch, using machine learning, 

몇몇 과학자들이 효소를 발생시키기 위해 스크래치, 다양한 기계나,



an approach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form their enzyme designs. 

인공지능을 이용해 효소를 발생시키려 합니다.



Still others are adding unnatural amino acids to the mix. 

반면에 또 다른 몇몇은 변형 된 아미노산을 혼합물에 섞습니다. 



We talked about the 20 natural amino acids, the common amino acids, 

저희가 얘기를 나눈 20개의 아미노산은 순수한 형태의 아미노산이며, 



before -- they're adding unnatural amino acids to make enzymes with properties unlike those that could be found in nature. 

변형 된 아미노산을 넣기 전이고, 이러한 것을 효소와 섞으면 자연에서 볼 수 없는 걸 탄생시킵니다.



That's a pretty neat area. 

엄청나게 발전된 분야죠. 



How will designed enzymes affect you in years to come? 

효소를 발생시키는 기술이 몇 년 후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Well, I want to focus on two areas: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전 두 가지 분야를 말하고 싶습니다. 건강과 환경이죠. 



Some pharmaceutical companies now have teams that are dedicated to designing enzymes to make drugs more efficiently and with fewer toxic catalysts. 

몇몇 제약회사들은 벌써부터 효소를 발생시키는 일에만 헌신하는 팀들이 있어 더 효과적이고 독성 또한 약한 약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For example, Januvia, which is a medication to treat type 2 diabetes, is made partially with enzymes. 

예를 들자면, 시타클립틴이 있죠. 2형 당뇨를 치료하기 위한 이 약은, 일정 부분이 효소로 만들어졌습니다.



The number of drugs made with enzymes is sure to grow in the future. 

효소로 만들어진 이런 약물은 점점 더 많아질 거라고 확신할 수 있습니다. 



In another area, there are certain disorders in which a single enzyme in a person's body doesn't work properly. 

다른 분야에선 몸속에 있는 효소가 잘 작동하지 않아 생기는 몇몇 질병들을 예로 들 수 있죠.



An example of this is called phenylketonuria, or PKU for short. 

그 예가 바로 페닐케뇨증이라는 병입니다. 아니면 줄여서 PKU라고 하죠.



People with PKU are unable to properly metabolize or digest phenylalanine, 

PKU를 앓는 사람들은 소화를 제대로 시키지 못하거나,



which is one of the 20 common amino acids that we've been talking about. 

저희가 얘기했던 20개의 아미노산 중 하나인 페닐알라닌을 소화시키지 못합니다.



The consequence of ingesting phenylalanine for people with PKU is that they are subject to permanent intellectual disabilities, 

페닐알라닌을 소화시키지 못하면 영구적인 지능 발달 장애를 겪게 되죠. 



so it's a scary thing to have. 

꽤 무서운 결과입니다.



Now, those of you with kids -- do you guys have kids, here, which ones have kids? 

아이가 있으신 분? 아이가 있으신 분 계세요, 여기?



A lot of you. 

많군요.



So may be familiar with PKUs, because all infants in the US are required to be tested for PKU. 

그러면 PKU는 아마 익숙하실 겁니다. 왜냐하면 미국에 있는 모든 아기들은 PKU 검사를 하니까요.



I remember when Anthony, my son, had his heel pricked to test for it. 

제 아들 앤서니가 피 검사를 받았던 것이 기억나네요.



The big challenge with this is: What do you eat? 

가장 큰 문제는 뭘 먹어야 하느냐?



Phenylalanine is in so many foods, it's incredibly hard to avoid. 

수많은 음식에 페닐알라닌이 들어있어서, 피하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Now, Anthony has a nut allergy, and I thought that was tough, but PKU's on another level of toughness. 

앤서니는 땅콩 알러지가 있어서, 그것도 꽤 힘들다고 생각했는데, PKU는 또 다른 차원입니다. 



However, new enzymes may soon enable PKU patients to eat whatever they want. 

하지만 새로운 효소는 PKU환자들에게 먹고 싶은 건 무엇이든 먹을 수 있게 해줄 겁니다. 






Recently, the FDA approved an enzyme designed to treat PKU. 

최근에, FDA가 PKU 치료약을 허가해줬거든요.



This is big news for patients, and it's actually very big news for the field of enzyme-replacement therapy more generally, 

환자들에게도 엄청나게 좋은 소식이지만 사실은 효소 보충 요법을 연구하는 이들에게는 엄청난 소식이죠. 



because there are other targets out there where this would be a good approach. 

왜냐하면 이런 좋은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는 대상은 더 많으니까요. 




So that was a little bit about health. 

여기까지가 건강에 관한 거였습니다. 



Now I'm going to move to the environment. 

환경으로 주제를 옮겨보죠. 



When I read about the Great Pacific Garbage Patch -- by the way, that's, like, this huge island of plastic, 

태평양의 거대 쓰레기 지대에 관해 읽었을 때 이 섬이 거대한 플라스틱처럼 느껴졌어요. 



somewhere between California and Hawaii -- and about microplastics pretty much everywhere, it's upsetting. 

캘리포니아와 하와이사이 어딘가에 있는 곳곳에 있는 미세플라스틱들에 관해 말이죠, 그건 기분 좋은 일이 아닙니다.



Plastics aren't going away anytime soon. 

플라스틱은 금방 사라지지 않습니다.



But enzymes may help us in this area as well. 

하지만 효소는 이러한 지역에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거예요.



Recently, bacteria producing plastic-degrading enzymes were discovered. 

최근에,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했어요. 



Efforts are already underway to design improved versions of these enzymes. 

이러한 효소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물밑 작업이 이미 시작됐죠.



At the same time, there are enzymes that have been discovered and 

동시에, 이렇게 발견한 효소들을



that are being optimized to make non-petroleum-derived biodegradable plastics.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서 석유 원료가 아닌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재료로 만드는 방법이 개발되었습니다. 



Enzymes may also offer some help in capturing greenhouse gases, 

효소는 또 온실가스를 잡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어요. 



such as carbon dioxide, methane and nitrous oxide.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질소 등이 있죠. 



Now, there is no doubt, these are major challenges, and none of them are easy. 

이것들이 엄청난 문제라는데는 이견이 없을 겁니다. 쉬운 건 하나도 없죠.



But our ability to harness enzymes may help us to tackle these in the future, 

하지만 효소를 이용하면 미래에 도움이 될 겁니다. 



so I think that's another area to be looking forward. 

저는 그건 또 다른 영역이라고 생각해요. 



So now I'm going to get back to the demo -- this is the fun part. 

그럼 이제 샘플로 돌아가 볼까요. 여기가 재밌는 부분입니다. 



So we'll start with the chymosin samples. 

키모신 샘플부터 살펴볼 건데요. 



So let me get these over here. 

이걸 여기로 가져올게요.



And you can see here, this is the one that got the water, 

지금 보시는 것이 물을 담아놓은 관입니다. 



so nothing should happen to this milk. 

그러니까 이 우유에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겠죠. 



This is the one that got the chymosin. 

키모신을 넣은 관입니다.



So you can see that it totally clarified up here. 

완전히 깨끗해진 것이 보이죠.



There's all this curdled stuff, that's cheese, we just made cheese in the last few minutes. 

완전히 다 분리된 이게 바로 치즈예요, 저희가 지난 몇분 동안 치즈를 만든 겁니다. 



So this is that reaction that people have been doing for thousands and thousands of years. 

이러한 행동이 수천 년 동안 인류가 해왔던 행동입니다.



I'm thinking about doing this one at our next Kids to Work Day demo but they can be a tough crowd, so we'll see. 

다음 번 진로박람회 때 해봐야겠어요. 하지만 관람객들이 꽤 거칠 겁니다. 알게 되겠죠. 



And then the other one I want to look at is this one. 

그 다음에 제가 보고 싶은 관은 바로 이 관입니다.



So this is the enzyme for doing your laundry. 

세탁할 때 사용할 효소예요. 



And you can see that it's different than the one that has the water added. 

물을 추가한 것과 다른 점을 볼 수 있을 겁니다.



It's kind of clarifying, and that's just what you want for an enzyme in your laundry, 

일종의 정화죠.  이게 바로 여러분이 세탁할 때 원하는 거죠. 



because you want to be able to have an enzyme that can be a protein chowhound, just chew them up, 

왜냐하면 여러분은 효소가 단백질을 빨아들이는 껌이 되어, 다 닦아내길 바라니까요. 



because you're going to get different protein stains on your clothes, 

왜냐하면 여러분은 옷에 각각 다른 단백질들을 묻힐 건데, 



like chocolate milk or grass stains, 

초콜릿 우유나 녹색 얼룩 같은 거요.



for example, and something like this is going to help you get them off. 

게다가 이런 건 여러분이 옷을 벗을 때도 도움이 되고요. 



And this is also going to be the thing that allows you to do the wash in cold water, 

그리고 또한 차가운 물로 세탁할 수 있게 해서,



reduce your carbon footprint and save you some money. 

탄소 사용량을 줄이고 돈을 절약해주죠. 



Well, we've come a long way, 

저희는 꽤 긴 길을 걸어왔습니다.



considering this 7,000-year journey from enzymes in cheese making to the present day and enzyme design. 

7,000년 전부터 전해져 내려온 치즈를 만드는 방법부터 현대의 효소발생법까지.



We're really at a creative crossroads, 

저희는 정말 창의적인 크로스퍼즐을 했어요.



and with enzymes, can edit what nature wrote or write our own stories with amino acids. 

효소를 이용해서 자연에서 뭘 만들어낼 수 있는지 아니면 아미노산으로 저희만의 이야기를 써내려갔죠. 



So next time you're outdoors on a muggy night and you see a firefly, I hope you think of enzymes. 

다음 번 여러분이 후덥지근한 밤에 바깥에 나간다면 반딧불이를 볼 겁니다. 그때 효소를 생각해주면 좋겠어요.






They're doing amazing things for us today. 

오늘날 우리에게 놀라운 것들을 하게 해주니까요. 



And by design, they could be doing even more amazing things tomorrow. 

효소를 만들면, 내일은 더 놀라운 것들을 할 수 있게 되겠죠. 



Thank you. 

감사합니다. 






When I was a teen, I had terrible periods. 

저는 십대 때 생리통이 심했습니다.



I had crippling cramps, I leaked blood onto my clothes and onto my bed sheets, and I had period diarrhea. 

심한 복통이 있었고, 피가 새서 제 옷과 침대커버에 다 묻기도 했고, 생리로 인한 설사도 있었어요. 



And I had to miss school one to two days a month, 

한달에 하루 이틀 정도 학교도 빠져야 했었죠.



and I remember sitting on the couch with my heating pads, thinking, 

소파에 앉아 발열패드를 붙인 채 이런 생각을 했던 게 기억나요. 



"What's up with this?" 

"도대체 뭐가 문제인 거지?"



When I ate food, I didn't leak saliva from my salivary glands. 

뭘 먹을 때 침샘에서 침을 흘린 적도 없었고, 



When I went for a walk, I didn't leak fluid from my knees, "joint fluid." 

산책하러 나갈 때, 무릎에서 관절액이 새는 것도 아니었어요.



Why was menstruation so different? 

대체 월경은 왜 그렇게나 다른 걸까? 



I wanted answers to these questions but there was no one for me to ask. 

답을 찾고 싶었지만 물어볼 사람이 아무도 없었습니다.



My mother knew nothing about menstruation except that it was dirty and shameful and I shouldn't talk about it. 

저희 어머니는 월경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르셨죠. 그저 더럽고 창피하니 말하지 말하야 한다고만 하셨어요. 



I asked girlfriends and everybody spoke in euphemisms. 

주위의 친구들에게 물어봤고, 모두들 월경에 대해서 완곡하게 말하더라고요. 



And finally, when I got the courage to go to the doctor and talk about my heavy periods, I was told to eat liver. 

마침내 용기를 내어 의사선생님을 찾아가 과도한 생리양에 대해 말했더니, 저보고 간을 먹으라고 하지 뭐예요. 



And when I went to the drug store to buy my menstrual products, 

그리고 약국에 생리 용품을 사러 갔을 때,



my 48-pack of super maxi pads, back in the day when they were the size of a tissue box, each pad -- 

48개 팩으로 된 초대형 생리대였는데, 옛날에는 이 패드가 티슈박스 크기로 나왔었거든요. 



You know what I'm talking about. 

제가 무슨 말 하는지 다들 아시죠?



You have no idea how far absorbent technology has come. 

흡수 기술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여러분들은 모르실 거예요. 



I used to have to buy my menstrual products in the feminine hygiene aisle. 

예전에는 제가 생리제품들을 구매할 곳이 여성 위생용품 코너 밖에 없었어요.



And I remember standing there, thinking, 

거기에 서서 생각했죠.



"Well, why don't I buy toilet paper in the anal hygiene aisle?" 

"그래, 화장지를 항문 위생코너에서 사는 건 어떨까? 



Like, what's up with that? 

뭐가 잘못된 거죠?



Why can't we talk about periods? 

왜 우리는 생리에 대해 말할 수 없는 걸까요? 



And it's not about the blood, as Freud would have you say, 

그 이유는 피 때문이 아니라 바로 프로이드 같은 사람들 때문입니다.



because if it were, there would be an ear, nose and throat surgeon up here right now, 

만약 피 때문이었다면, 외과의사가 여기 지금 나와서 코피의 금기사항에 대해 말했겠죠.



talking about the taboos of nose bleeds, right? 

그리고 이것은 심지어 생리에 대한 것도 아닙니다. 



And it's not even about periods, because otherwise, when we got rid of our toxic, 

그랬다면, 유해하고 수치스러운 생리가 멈추는 



shameful periods when we became menopausal, 

폐경기를 맞이하게 될 때



we'd be elevated to a higher social status. 

우리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가 올라갔겠죠. 



It's just a patriarchal society is invested in oppressing women, 

이유는 단지 여성들을 억압하는 가부장적 사회 때문입니다.



and at different points in our lives, different things are used. 

그리고 우리 삶의 다른 지점들에 다른 억압의 방식들이 사용되지요. 



And menstruation is used during what we in medicine call the reproductive years. 

즉 의학에서 말하는 가임기인 월경이 이러한 억압에 이용 되는 거고요.






It's been around since pretty much the beginning of time, many cultures thought that women could spoil crops or milk, or wilt flowers. 

꽤 오래 전부터 많은 문화들은 여성이 작물이나 우유를 상하게하고 꽃도 시들게 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And then when religion came along, purity myths only made that worse. 

그 후 종교가 들어오면서, 생리에 대한 미신들이 상황을 더 악화시켰습니다.



And medicine wasn't any help. 

의약제품들조차 아무런 도움이 안됐죠.



In the 1920s and '30s there was the idea that women elaborated something called a menotoxin. 

1920년과 1930년대에 여성이 월경독이라는 것을 만들어낸다는 이야기가 있었어요.



We could wilt flowers just by walking by. 

꽃 옆으로만 걸어가도 시들게 할 수 있다는 거였죠. 



And that's what happens when there's no diversity, right. 

다양성이 없을 때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나요?



Because there was no woman to put her hand up and go, 

왜냐면 손을 들며 이렇게 말하는 여성은 없었거든요.



"Well, actually, that doesn't happen." 

"글쎄요.. 사실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아요."



And when you can't talk about what's happening to your body, 

자신의 몸에 무엇이 일어나는지 말할 수 없다면,



how do you break these myths? 

이러한 미신들을 어떻게 깰 수 있겠습니까?



Because you don't even need to be a doctor to say that periods aren't toxic. 

월경이 유해하지 않다고 말하기 위해서 의사가 될 필요까지는 없으니까요.



If they were, why would an embryo implant in a toxic swill? 

만약 생리가 유해하다면, 배아가 독극물에 왜 착상하겠어요?



And if we all had this secret menotoxin, we could be laying waste to crops and spoiling milk. 

또 모든 여성들이 이런 비밀스러운 월경독이 있다면, 아마 농작물을 파괴하거나 우유를 상하게 했을 겁니다. 



Why would we have not used our X-Women powers to get the vote sooner? 

왜 좀 더 일찍 투표하기 위해 이 초능력을 사용하지 않았을까요? 



Even now, when I tweet about period diarrhea, as one does, 

심지어 지금도 생리중 겪는 설사에 대해 트윗을 할 때면 어떤 사람이 그러듯, 



I mention that it affects 28 percent of women. 

제가 말하는 건, 그 트윗이 28%의 여성들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거예요.



And every single time, someone approaches me and says, 

그때마다 누군가 저에게 다가와서 말하죠.



"I thought I was the only one." 

"저는 저만 그런 줄 알았어요."



That's how effective that culture of shame is, 

그것은 문화가 주는 수치가 얼마나 영향을 끼치길래,



that women can't even share their experiences. 

여성들이 그러한 경험들마저 공유할 수 없는가를 말해주죠. 



So I began to think, 

그래서 저는 생각하기 시작했죠. 



"Well, what if everybody knew about periods like a gynecologist? Wouldn't that be great?" 

"만약 모두가 산부인과 의사처럼 생리에 대해 알고 있었다면 어떨까? 그러면 더 낫지 않을까?"



Then you would all know what I know, 

그러면 여러분들도 제가 아는 것처럼,



you'd know that menstruation is a pretty unique phenomenon among mammals. 

월경은 포유류가 가진 꽤 특징적인 현상이라는 것을 아시게 될지도 몰라요.



Most mammals have estrus. 

대부분의 포유류들은 발정합니다. 



Humans, some primates, some bats, the elephant shrew and the spiny mouse menstruate. 

사람, 몇몇 영장류들, 몇몇 박쥐들, 아프리카산 뒤쥐와 가시쥐, 모두 월경을 합니다.



And with menstruation what happens is the brain triggers the ovary to start producing an egg. 

그리고 월경을 하게되면서 뇌는 난소를 자극하여 난자를 생산하도록 하지요.



Estrogen is released and it starts to build up the lining of the uterus, 

에스트로겐이 분비되고 난소는 자궁내벽을 만들기 시작하죠. 



cell upon cell, like bricks. 

벽돌처럼 세포들이 위로 쌓아올려지죠.



And what happens if you build a brick wall too high without mortar? Well, it's unstable. 

회반죽 없이 벽돌로 만든 벽을 너무 높게 쌓으면 불안정해지죠? 



So what happens when you ovulate? 

그러면 배란할 때는 어떻게 될까요?



You release a hormone called progesterone, which is progestational, it gets the uterus ready. 

프로게스테론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됩니다. 임신전에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자궁이 임신을 준비할 수 있게 해줍니다.



It acts like a mortar and it holds those bricks together. 

회반죽의 역할과 같이 벽돌들이 서로 붙어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It also causes some changes to make the lining more hospitable for implantation. 

또한 몇가지 변화를 통해 자궁내벽을 좀 더 착상하기 쉬운 상태로 만듭니다.



If there's no pregnancy, (Whoosh) lining comes out, 

만약 임신이 아니라면 (우후) 내벽이 나오면서, 



there's bleeding from the blood vessels and that's the period. 

혈관에서 피가 나오게 되고, 그게 바로 생리인 거죠. 



And I always find this point really interesting. 

그리고 저는 항상 이 점이 정말 신기하다고 생각해요.



Because with estrus, the final signaling to get the lining of the uterus ready actually comes from the embryo. 

왜냐면 발정기때는 자궁내벽이 준비되도록 마지막으로 내보내는 신호는 사실 배아로부터 오는 거지만 월경의 경우엔



But with menstruation, that choice comes from the ovary. 

그러한 선택이 난소로부터 오기 때문이죠.



It's as if choice is coded in to our reproductive tracts. 

마치 선택이 우리 여성의 생식기관에 입력되어 있는 것과 같아요. 



OK, so now we know why the blood is there. 

좋아요, 이제 우리는 왜 피가 거기에 있는지 알죠.



And it's a pretty significant amount. 

그리고 양도 꽤 많죠. 






It's 30 to 90 milliliters of blood, which is one to three ounces, 

30에서 90밀리리터 정도의 양이에요. 온스로 따지면 1에서 3온스 정도죠. 



and it can be more, and I know it seems like it's more a lot of the times. 

더 많이 나올 수도 있어요. 대부분은 더 많은 양이라 느끼시는 것도 압니다. 



I know. So why do we have so much blood? 

저도 알아요. 그러니까 왜 이렇게 피가 많은 걸까요? 



And why doesn't it just stay there till the next cycle, right? 

왜 다음 생리기간까지 피가 그냥 머물러있지 않는 걸까요?



Like, you didn't get pregnant, so why can't it hang around? 

임신을 하지도 않았는데 왜 피는 기다릴 수 없는 걸까요?



Well imagine if each month it got thicker and thicker and thicker, 

매달 피가 점점 더 고인다고 상상해보세요.



right, like, imagine what tsunami period that would be. 

그리되면 얼마나 쓰나미 같은 생리가 될지도요. 



We can't reabsorb it, because it's too much. 

이런 피를 다시 흡수할 수 없는 건 양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And it's too much because we need a thick uterine lining for a very specific reason. 

그리고 양이 많은 건 우리에게 두꺼운 자궁내벽이 딱 한가지 이유로 인해 필요하기 때문이에요.



Pregnancy exerts a significant biological toll on our bodies. 

임신은 우리 인체에 굉장한 생물학적인 대가를 요구합니다.



There is maternal mortality, there is the toll of breastfeeding and there is the toll of raising a child until it is independent. 

산모 사망률, 모유수유로 인한 대가, 그리고 아이가 독립할 때까지 양육하며 지불되는 대가도 있죠. 



And evolution -- 

그리고 진화는... 



That goes on longer for some of us than others. 

양육 문제는 몇몇 사람들에게 더 길게 나타나기도 하죠. 



But evolution knows about risk-benefit ratio. 

하지만 진화는 위험과 혜택의 비율을 알지요. 



And so evolution wants to maximize the chance of a beneficial outcome. 

그래서 더 좋은 결과들을 최대화 하길 원하고요.



And how do you maximize the chance of a beneficial outcome? 

어떻게 최대화 할까요? 



You try to get the highest quality embryos.

제일 좋은 배아를 얻으려고 하죠.



And how do you get the highest quality embryos? 

그건 어떻게 얻죠?



You make them work for it. 

배아들이 이겨내게 하는 거죠.



You give them an obstacle course. 

일련의 장애물들을 주면서요. 



So over the millennia that we have evolved, it's been a little bit like an arms race in the uterus, 

여러분들이 진화해온 지난 천 년 동안 자궁에서는 마치 군비경쟁과 같은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the lining getting thicker and thicker and thicker, 

자궁내벽이 점점 더 두꺼워짐에 따라 배아는 손상에 더 취약해지죠.



and the embryo getting more invasive until we reach this détente with the lining of the uterus that we have. 

마침내 자궁 내벽과의 긴장이 완화되기 전까지요. 



So we have this thick uterine lining and now it's got to come out,  

이렇게 우리는 두꺼운 자궁 내벽을 지니게 되고 마침내 배출을 해야 됩니다. 



and how do you stop bleeding?

그러면 피는 어떻게 멈출 수 있을까요? 



Well, you stop a nose bleed by pinching it, 

코를 꼬집어서 코피를 멈추고



if you cut your leg, you put pressure on it. 

다리가 베였다면 그 부위에 압박을 하죠. 



We stop bleeding with pressure. 

압박을 가해서 피를 멈추게 하죠. 



When we menstruate, the lining of the uterus releases substances that are made into chemicals called prostaglandins and other inflammatory mediators. 

월경을 할 때 자궁내벽은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화학물질과 염증을 가라앉히는 다른 물질들을 분비합니다. 



And they make the uterus cramp down, they make it squeeze on those blood vessels to stop the bleeding. 

그리고 내벽을 경직시키고 내벽의 혈관들을 압박하며 피를 멈추게 합니다. 



They might also change blood flow to the uterus 

내벽의 피의 흐름도 바꿀 수도 있습니다. 



and also cause inflammation and that makes pain worse. 

그리고 염증을 일으켜서 고통이 더 심해질 수도 있어요. 



And so you say, "OK, how much pressure is generated?" 

그럼 여러분들은 묻겠죠. "피를 멈추려면 얼마나 많은 압력이 필요한가요?"



And from studies where some incredible women have volunteered to have pressure catheters put in their uterus that they wear their whole menstrual cycle -- God bless them, 

여러 연구에서 엄청난 여성분들이 자원하여 월경하는 기간 동안 압력 카테터를 자신들의 자궁에 넣도록 하였습니다.



because we wouldn't have this knowledge without, and it's very important knowledge, 

다행히도 그들 덕분에 저희는 매우 중요한 지식을 알게 되었습니다.



because the pressure that's generated in the uterus during menstruation is 120 millimeters of mercury. 

왜냐하면 자궁에서 월경기동안 발생되는 압력은 수은계를 기준으로 120 밀리미터이기 때문이죠.



"Well what's that," you say. 

"그래서 그게 뭐지" 라고 말하실 수 있습니다.



Well, it's the amount of pressure that's generated during the second stage of labor when you're pushing. 

그 정도의 압력은 여러분이 두 번째 분만기 때 밀어내는 힘과 같아요. 



Right. Which, for those of you who haven't had an unmedicated delivery, 

맞습니다. 의학의 도움없이 출산해 본 경험이 없으신분들에게 말하자면



that's what it's like when the blood pressure cuff is not quite as tight as it was at the beginning, 

그 정도의 압력은 혈압측정기가 처음보다 약간 덜 조여졌지만 



but it's still pretty tight, and you wish it would stop. 

여전히 꽤 단단해서 이제 그만 조여줬으면 하는 정도의 압력이지요.



So that kind of makes it different, right? 

생각해왔던 것과 좀 다르지 않나요?



If you start thinking about the pain of menstruation, 

만약 여러분이 월경의 고통에 대해 정말 생각하신다면



we wouldn't say if someone needed to miss school 

만일 어떤 사람이 학교에 빠지는 이유가



because they were in the second stage of labor and pushing, we wouldn't call them weak. 

두 번째 분만에 한창 진을 빼는 것이라 하면 우리는 그 사람을 약하다고 보는 게 아니라



We'd be like, "Oh my God, you made it that far," right? 

"세상에나, 거기까지 해냈어?" 라고 물을 겁니다. 그렇죠? 



And we wouldn't deny pain control to women who have typical pain of labor, right? 

그리고 전형적인 분만의 고통이 있는 여성에게 약을 통한 통증 조절을 막진 않을 겁니다.



So it's important for us to call this pain "typical" instead of "normal," 

그렇기에 "일반적"이 아닌 "전형적"인 고통이라고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ecause when we say it's normal, it's easier to dismiss. 

왜냐면 일반적이라고 하면 고통을 묵인하기 더 쉬우니까요.






As opposed to saying it's typical, and we should address it. 

전형적이라고 부르는 것과는 반대로, 이러한 문제에 대해 다뤄야 합니다. 



And we do have some ways to address menstrual pain. 

이러한 고통을 줄이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이 있습니다.



One way is with something called a TENS unit, 

한 가지로 TENS unit이라는 것입니다.



which you can wear under your clothes and it sends an electrical impulse to the nerves and muscles 

옷 속에 착용 가능하며 전기자극을 신경이나 근육으로 보냅니다. 



and no one really knows how it works, 

어떠한 원리인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but we think it might be the gate theory of pain, which is counterirritation. 

아마 반대자극법인 게이트이론이 토대가 되지 않았나 합니다.



It's the same reason why, if you hurt yourself, you rub it. 

여러분이 고통을 느낄 때 그 부위를 문지르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Vibration travels faster to your brain than pain does. 

진동이 뇌로 이동하는 시간이 고통보다 빠르기 때문이죠. 



We also have medications calle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medications. 

또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And what they do is they block the release of prostaglandins. 

이 항염증제는 프로스타글랜딘의 분비를 막으면서



They can reduce menstrual pain for 80 percent of women. 

80%의 여성들이 느끼는 월경의 고통을 줄일 수 있습니다. 



They also reduce the volume of blood by 30 to 40 percent and they can help with period diarrhea. 

그리고 혈액의 양을 30에서 40%까지 줄여 월경으로 인한 설사를 멈추도록 도와줍니다.



And we also have hormonal contraception, which gives us a thinner lining of the uterus, 

또한 호르몬 피임제를 써서 자궁내벽을 얇게 해줌으로써



so there's less prostaglandins produced and with less blood, there's less need for cramping. 

더 적은 양의 프로스타글란딘이 나오고 적은 양의 피와 함께 배가 아플 필요가 없게 되죠. 



Now, if those treatments fail you -- and it's important to use that word choice, 

만일 이러한 치료법들이 도움이 안된다면... 여기서 단어 선택이 중요한데요.



because we never fail the treatment, the treatment fails us. 

그건 우리에게 문제가 있는 게 아니라 그러한 치료법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죠.



If that treatment fails you, you could be amongst the people who have a resistance to nonsteroidal anti-inflammatories. 

만일 치료법에 문제가 있다면 여러분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에대한 저항력을 갖고있는 사람들 중 한 명일 것입니다.



We don't quite understand, but there are some complex mechanisms why those medications just don't work for some women. 

모두 이해할 순 없지만 어떠한 복잡한 이유들로 인해서 몇몇 여성들에게 그런 약물들이 듣지 않는것입니다.



It's also possible that you could have another reason for painful periods. 

또한 여러분이 월경으로 인해 고통스러우시다면 그것에 대한 또 다른 이유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You could have a condition called endometriosis, where the lining of the uterus is growing in the pelvic cavity, causing inflammation and scar tissue and adhesions. 

여러분은 자궁내막증이라는 내벽이 복강내에 자라면서 염증, 조직 손상과 흡착을 유발하는 질병에 걸린 것일 수도 있습니다. 



And there may be other mechanisms we don't quite understand yet, 

아직 우리가 이해 못한 다른 매커니즘들이 존재할지도 모르고요. 



because it's a possibility that pain thresholds could be different due to very complex biological mechanisms. 

그 이유는 아주 복잡한 생물학적인 매커니즘으로 인해서 고통의 한계점이 다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But we're only going to find that out by talking about it. 

하지만 이런 것들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이것들에 대해 이야기를 해야합니다. 



It shouldn't be an act of feminism to know how your body works. It shouldn't -- 

여러분의 몸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려고 하는 것이 페미니즘적 행동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그래서는 안 됩니다. 



It shouldn't be an act of feminism to ask for help when you're suffering. 

생리통으로 고통받을 때 도움을 청하는 것이 페미니즘이라고 여겨져서는 안됩니다.



The era of menstrual taboos is over. 

생리에 대해 금기하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The only curse here is the ability to convince half the population that the very biological machinery that perpetuates the species, that gives everything that we have, is somehow dirty or toxic. 

이 시대 유일하게 남은 폐해는 인구의 절반으로 하여금 생물들을 지속가능하게 하며 우리가 가진 모든 것들을 제공하는 바로 그 생물학적인 기관이 더럽고 유해하다고 납득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And I'm not going to stand for it. 

그리고 저는 그것을 가만히 보고만 있지 않을 것입니다 . 



And the way we break that curse? It's knowledge. 

그리고 그러한 폐해를 없애기 위한 방법이요? 그건 지식입니다. 



Thank you. 

감사합니다. 








Picture your dream vacation. 

최고의 휴가를 한번 상상해 보십시오.



Maybe you're dying to go to Rio for Carnival. 

카니발 축제가 있는 브라질 리우에 가거나



Or you really just want to hang out on a Mexican beach. 

멕시코 해변에서 시간을 보내고 싶으실 겁니다.



Or maybe you're going to join me in New Orleans for Jazz Fest. 

아니면 저와 함께 뉴올리언즈 재즈 축제를 즐길 수도 있죠.



Now, I know it's less pleasant, but picture, for a moment, one of the most violent places on earth. 

유쾌하진 않겠지만, 잠시 떠올려보세요, 세계에서 가장 폭력적인 장소를 말이죠.



Did anyone think of the same place? 

같은 장소를 떠올린 분 계신가요? 



Brazil is the most violent country in the world today. 

브라질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폭력적인 국가입니다.



More people have been dying there over the last three years than in Syria. 

지난 3년 동안 정말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는데 그 수가 시리아보다 많습니다.



And in Mexico, more people have died over the last 15 years than in Iraq or Afghanistan. 

또, 지난 15년 동안 멕시코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는데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 보다도 더 많은 사람들이 죽었습니다.



In New Orleans, more people per capita are dying than in war-torn Somalia. 

뉴올리언즈는 인구 수 대비 더 많은 수의 사람들이 죽고 있습니다. 전쟁으로 피폐 해진 소말리아 보다 말이죠. 



The fact is, war only results in about 18 percent of violent deaths worldwide. 

중요한 사실은 전쟁으로 인한 죽음은 전 세계적으로 18%에 그친다는 것입니다.



Today, you are more likely to die violently if you live in a middle-income democracy with high levels of income inequality and serious political polarization. 

오늘날, 여러분들은 변사체로 발견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중산층 민주주의 국가 즉, 소득 불평등이 심각한 국가의 시민이고 정치적 양극화가 극심한 나라에 살고 있다면 말이죠. 



The United States has four of the 50 most violent cities on earth. 

미국에만 해도 세계에서 가장 폭력적인 50개 도시 중 4개 도시가 있습니다. 



Now, this is a fundamental alteration in the nature of violence, historically. 

이는 역사상 폭력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But it's also an opportunity. 

하지만 기회이기도 하죠.



Because while few people can do much to end war, violence in our democracies is our problem. 

왜냐하면 전쟁을 없앨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민주주의 속의 폭력은 바로 우리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And while regular voters are a big part of that problem, we're also key to the solution. 

우리와 같은 일반인 유권자는 그 문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면서도, 해결책의 중심에 서있기도 합니다. 



Now, I work at a think tank,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현재 저는 사설 연구기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카네기 국제 평화 재단이라는 곳인데요.



where I advise governments on what to do about violence, 

폭력에 대해서 각국 정부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조언합니다.



but the dirty secret is, most policymakers haven't figured out these changes to violence today. 

하지만 부끄럽게도 대부분의 정책 입안자들은 오늘날 폭력에 대해 이렇다 할 변화를 만들지 못했습니다.




They still believe that the worst violence happens in countries at war or places that are too poor, too weak, to fight violence and control crime. 

그들은 아직도, 최악의 폭력은 전쟁이나 또는 매우 빈곤하고 국력이 약해서 폭력에 대항하고 범죄를 통제하기 어려운 국가에서 발생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And that had been my assumption too. 

저도 한때 그렇게 생각했었습니다. 



But if you look at a map of the most violent places on earth, you see something strange. 

하지만 지구에서 가장 폭력적인 장소를 표시한 지도를 한번 보시면 여러분은 뭔가 이상한 것을 발견하실 수 있을 겁니다.



Some of them are at war, and a few are truly failed states. 

어떤 곳은 전쟁중이고, 몇몇 장소들은 테러가 빈발하는 지역입니다. 



The violence in these places is horrific, 

이 곳들의 폭력은 끔찍합니다. 



but they happen to have small populations, so it actually affects few people. 

하지만 어쩌다보니 이곳들의 인구는 적었기에,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습니다. 



Then there's South Africa, Brazil, Venezuela. 

남아프리카, 브라질, 베네수엘라를 보실까요.



These places are not poor. 

이 국가들은 빈곤하지는 않습니다. 



Maybe they're weak. 

국력은 약할지도 모르겠습니다. 



My research assistant and I mapped places based on how well they delivered on World Bank projects and whether they could get public services to their people, 

어시스턴트와 함께 장소들을 분류해보았습니다. 세계 은행 프로젝트를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와, 국민에게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요.



and if you did well on both of those, 

만약 두 기준 모두를 충족했고, 






if you could get sanitation and electricity to your people and deliver vaccines, 

위생이 잘 관리되고, 전기 사용이 유용할 뿐만 아니라 백신은 잘 공급되고 있다면,



you were in the upper right-hand quadrant. 

오른쪽 상단에 배치했습니다.



And then we overlaid that with a map of places where journalists were being murdered. 

그리고 나서 다른 지도 위에 덧입혀 보았는데요. 저널리스트들이 살해되는 장소들을 표시한 지도였습니다.



Some were happening in weak states, but an awful lot of journalists were being killed in places plenty capable of protecting them. 

어떤 장소는 국력이 약한 국가였지만, 심각하게도, 많은 저널리스트들은 스스로 자신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수많은 곳에서 살해를 당했습니다. 



I traveled to every settled continent on earth, 

저는 세계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곳들을 직접 돌아 보았는데요.



comparing places that had faced massive violence and recovered and those that hadn't, 

극심한 폭력을 마주하고도 회복된 곳들과 회복되지 못한 곳들을 비교하면서요. 



and I kept seeing the same pattern. 

그리고 저는 계속 같은 패턴을 볼 수 있었습니다. 



I came to call it "privilege violence," because it happened in highly unequal democracies, 

그것을 저는 "특권 폭력"이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왜냐하면 이는 민주주의 내부의 상당히 불평등한 요소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입니다. 



where a small group of people wanted to hold on to inordinate power and privilege. 

소수의 집단이 지나친 권력과 특권을 계속 쥐려고 하는 모습 말입니다.



And if they didn't think they could get those policies past the voters, 

투표를 통해 그들이 내놓은 정책을 통과시킬 수 없을 것 같으면,



sometimes they would turn to violent groups for help. 

그들은 종종 집단 폭력배에게 도움을 받으려 합니다. 



Drug cartels would finance their campaigns. 

마약 범죄 조직이 그들의 선거운동에 자금을 대거나, 



Organized criminals would help them get out the vote. 

조직화된 범죄자들이 선거유세를 도울 것입니다.



Gangs would suppress the vote. 

범죄조직은 특정 투표를 강권할지도 모릅니다.



And in exchange, they'd be given free reign, and violence would grow. 

그리고 그 댓가로, 그들은 자율 재량을 허락받겠죠. 그러면 폭력은 더욱 활개를 치게 됩니다. 



Take Venezuela. 

베네수엘라를 보십시오.



It's the most violent country in the world today, if you look at deaths per capita.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폭력적인 국가입니다. 인구 수 대비 사망자 수를 보시면요.



Twenty years ago, the current regime gained power in legitimate elections, 

20년 전, 합법적인 선거를 통해 현 정권이 집권하였습니다.



but they didn't want to risk losing it, and so they turned to gangs, called "colectivos," for help. 

그들은 그 자리를 잃고 싶지 않았고, 범죄조직에게 함께 한 배를 타자며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The gangs were told to get out the vote for the government 

범죄조직들은 정부를 위해서 선거유세를 해달라는 부탁을 받았습니다.



and force people to vote for the regime in some neighborhoods and keep opposition voters away from the polls in others,

특정지역 주민들이 현 정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편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투표를 하지 못하도록 말입니다.



and, in exchange, they'd be given control. 

그 대신, 그들은 통제력을 부여받았습니다. 



But if criminals have control, then police and courts can't do their jobs. 

그러나 범죄자들이 통제력을 가지고 있으면 경찰과 법정이 그들의 일을 할 수 없죠. 



So the second stage in privilege violence is that courts and police are weakened, and politicians politicize budgets, hiring, firing, 

따라서 특권 폭력의 두 번째 단계는 법정과 경찰세력이 약화되고, 정치인들은 정치적 논쟁을 일삼는 것입니다. 예산, 고용, 해고 등에 대해서요.



so that they and the violent groups that they collude with stay out of jail. 

그리고 정치세력과 그들을 도운 폭력배 모두가 감옥에 들어가지 않으려고 합니다. 



Now, pretty soon, good cops leave, and many that remain become brutal. 

이 정도가 되면 선량한 경찰은 떠나고 남아 있는 자들은 악랄해집니다.



They start off, usually, with rough justice. 

보통, 그들만의 정의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They kill a drug dealer that they think would be let off by the corrupt courts. 

그들이 보기에 부패한 법정이 방면할 것이 뻔한 마약 거래자들을 죽입니다. 



But over time, the worst of them realize that there will be no repercussions from the politicians they're in bed with,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가장 최악인 자들은 같은 배를 탄 정치인에게서 얻을 것이 없다고 생각하게 되서 



and they go into business for themselves. In Venezuela, nearly one in three murders is by the security services. 

그들이 직접 나서기 시작합니다. 베네수엘라에서는 1/3에 가까운 살인이 보안기관에 의해 발생합니다. 



Now, the poor are hit hardest by violence all over the world, 

전세계적으로 빈곤계층은 폭력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습니다. 



but they're hardly going to turn to such predatory cops for help. 

그러나 그들이 악랄한 경찰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So they tend to form vigilante groups. 

대신, 스스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조직을 형성하기 시작합니다. 



But arm a bunch of 18-year-old boys, 

수많은 18살 정도의 소년들을 무장시키는 것입니다.



and pretty soon, they devolve into gangs over time. 

머지 않아 그 조직은 범죄조직 밑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Other gangs come in, mafias come in, 

다른 조직들이 들어오고, 마피아도 들어옵니다.



and they offer to protect people from the other criminals and from the police. 

그리고 나서 다른 범죄자와 경찰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겠다고 기꺼이 나섭니다.



Unlike the state, the criminals often try to buy legitimacy. 

정부와는 달리, 이러한 조직들은 종종 적법성을 갖추려고 노력합니다.



They give charity. 

자선을 베풀기도 하고,



They solve disputes. 

논쟁을 해결하기도 합니다.



Sometimes, they even build subsidized housing. 

심지어 가끔씩, 정부 보조 주택을 짓기도 합니다. 



The last stage of privilege violence happens when regular people start committing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murder. 

특권 폭력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일반 시민들이 살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는 모습이 나타납니다.



Bar fights and neighborhood arguments turn deadly when violence has become normal and repercussions have evaporated.

술집 싸움이나 이웃간의 언쟁은 치명적으로 변합니다. 폭력이 일상화 되고, 그에 대한 반향조차 사라진 상황에서는요.






To outsiders, the culture looks depraved, 

외국인에게는 이러한 문화가 도덕적으로 부패한 것으로 보일 것입니다. 



as if something is deeply wrong with those people. 

여기 사람들은 정말 뭔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할지도 모르죠. 



But any country can become this violent when the government is, by turns, absent and predatory. 

하지만 어떤 국가든지 이와 같이 폭력이 난무하게 될 수 있습니다. 정부가 계속 부재하고, 약자를 이용한다면 말이죠. 



Actually, that's not quite true -- 

사실, 조건 하나가 더 남았습니다.



it takes one more step for this level of violence to reign. 

특권 폭력의 마지막 단계까지 이르려면 말이죠.



It takes mainstream society to ignore the problem. 

바로, 주류 사회에서 이 문제를 무시하는 것입니다.



You'd think that would be impossible, that violence at this level would be unbearable, 

무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저 정도의 폭력은 참을 수 있는 수준이 아닐텐데!



but it's actually quite bearable to people like you and me. 

그렇지만 놀랍게도 저와 여러분 같은 사람들에게 꽤 참을만 합니다.



That's because, in every society in the world, even the most violent, violence is highly concentrated. 

왜냐하면 세계의 어떤 사회든지 심지어 가장 폭력적인 곳에서도 폭력은 대개 집중될 경향이 높기 떄문입니다.



It happens to people on the wrong side of town, people who are poor, 

보통 빈곤층 거주 지역의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가난하고, 



often darker, often from groups that are marginalized, groups that mainstream society can separate ourselves from. 

때로는 더 처참하고 하찮게 여겨지는 집단들, 주류사회의 사람들이 스스로 분리되고 싶어하는 그 대상들이죠. 



Violence is so concentrated that we're shocked when the pattern deviates. 

폭력은 매우 집중되어서 폭력이 발생하는 패턴이 평소와 다를 때 우리는 매우 놀랍니다.



In Washington, DC, in 2001, a young white college-educated intern went missing after a hike in Northwest DC, 

2001년 워싱턴 DC에서 대학 교육을 받은 한 젊은 백인 인턴이 워싱턴 북서부에서 하이킹 후에 실종되었습니다. 



and her case was in the papers nearly every day. 

그 당시 이 사건은 거의 매일 언론에서 보도되었습니다.



On the other side of town, a black man had been killed every other day that year. 

반대편 지역에서는 그 해에 흑인은 이틀에 한 번 꼴로 죽임을 당했습니다. 



Most of those cases never made the papers even once. 

그렇지만 대부분 단 한번도 언론에 보도되지 않았습니다. 



Middle class society buys their way out of violence. 

중산층은 폭력을 벗어나기 위해 어떻게든 방법을 찾습니다. 



We live in better neighborhoods. 

우리는 보다 더 좋은 이웃들이 있는 곳에 삽니다.



Some people buy private security. 

어떤 사람들은 민간 경비요원을 고용합니다.



And we also tell ourselves a story. 

그리고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하기도 합니다.



We tell ourselves that most of the people 

죽임을 당한 사람들의 대부분에 대해 우리는 이렇게 말하죠. 



who are killed are probably involved in crime themselves. 

그들 스스로 범죄에 연루되었을 것이라고 말입니다.



By believing that somehow some people deserve to be murdered,

어떻게든, 어떤 사람들은 피살되기 마땅하다고 생각하면서



otherwise good people allow ourselves to live in places where life chances are so deeply skewed. 

그와 다르게 선량한 듯 보이는 사람들은 스스로 이렇게 허용하며 살아갑니다. 인생의 기회가 매우 삐딱한 곳에서 살아가도 괜찮다고 말입니다. 



We allow ourselves. Because, after all, what else can you do? 

바로 우리가 허용한 것이죠.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도대체 무엇을 할 수 있다는 거지? 



Well, it turns out, quite a lot. 

글쎄요, 사실 할 수 있는 것이 꽤 있습니다.



Because violence today is not largely the result of war but is because of rotten politics in our democracies, 

왜나하면 오늘날 폭력은 대부분 전쟁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대부분 우리 민주정치의 부패함 때문이죠.



regular voters are the greatest force for change. 

일반 유권자들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큰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Consider the transformation of Bogotá. 

보고타 지역의 변화를 예로 들겠습니다. 



In 1994, Colombia's incoming president was caught taking millions of dollars in campaign contributions 

1994년, 콜롬비아에서 새로 당선된 대통령이 선거유세를 할 때 수백만 달러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체포되었습니다. 



from the Cali drug cartel, 

칼리 지역의 마약 관련 범죄조직으로부터 말입니다.



and the capital was overrun with gangs and paramilitary groups. 

보고타는 갱들과 불법 무장 단체들로 넘쳐 났습니다.



But fed-up voters overcame really rabid partisanship, 

그러나 이에 신물이 난 유권자들은 극단적인 당파심을 극복해냈습니다.



and they delivered nearly two-thirds of the vote to an independent candidate, 

그리고 2/3 정도의 유권자들은 무소속 후보자를 뽑았습니다.



enough to really overcome business as usual. 

진정으로 정치적 위선을 타파할 수 있는 후보를 말이죠.



On Mayor Mockus's first day in office, the police barely bothered to even brief him on homicide, 

모쿠스 시장의 집권 첫날, 경찰은 살인에 대해 그에게 보고하는 것을 딱히 신경쓰지 않았습니다.



and when he asked why, they just shrugged and said, "It's just criminals killing criminals." 

그들에게 이유를 물어보았을 때, 어깨를 으쓱이며 말했습니다. "그건 그냥 범죄자들이 범죄자들을 죽이는 것이니까요."



The corrupt city council wanted to give police even more impunity for brutality. 

부패한 시의회는 경찰의 만행을 더욱 묵인하고자 했습니다. 



It's a really common tactic that's used worldwide 

이런 행태는 세계적으로 매우 흔합니다.






when politicians want to posture as tough on crime but don't actually want to change the status quo. 

정치인은 범죄에 대해 까다롭게 반응하는 척 할 뿐, 현재의 상황을 그다지 바꿀 의지가 없는 것이죠. 



And research shows it backfires all over the world. 

연구에 따르면 이것이 세계적으로 역효과를 낳는다고 합니다. 



If you throw a lot of low-level offenders into jails, usually already overcrowded jails, 

만약 수많은 낮은 지위의 범죄자들을 감옥에 보낸다면, 이미 넘쳐나는 감옥에 말이죠.



they learn from each other and they harden. 

그들은 서로 배우며 더욱 단단해집니다. 



They start to control the prisons, and from there, the streets. 

감옥을 통제하기 시작하고, 길거리까지 통제하게 되는 것입니다. 



Instead, Mockus insisted that police begin investigating every death. 

그러나 모쿠스는 이렇게 하지 않고, 죽은 자 모두를 조사할 것을 경찰에게 촉구했습니다.



He fought the right-wing city council, and he abandoned SWAT-style police tactics. 

우파인 시의원들과 대립하고 경찰의 SWAT 방식과 같은 전략을 버렸습니다.



And he fought the left-wing unions and fired thousands of predatory cops. 

그리고 그는 좌파 통합당과도 대립하였습니다. 약탈적인 수천 명의 경찰들을 해고한 것이죠.



Honest police were finally free to do their jobs. 

정직한 경찰은 마침내 그들의 일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Mockus then challenged citizens. 

그리고 모쿠스는 시민들에게 문제의식을 제기했습니다.



He asked the middle class to stop opting out of their city, 

중산층들에게 지역당국의 통제로부터 독자적으로 움직이지 말라고 요청했습니다.



to follow traffic laws and otherwise behave as if they shared the same community of fate. 

교통법을 준수하고, 같은 운명을 공유한 공동체와 같이 행동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He asked the poor to uphold social norms against violence, 

빈곤층에게는 폭력에 대항하여 사회규범을 준수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often at immense personal risk. 

종종 상당한 개인적인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말입니다.



And he asked the wealthy to give 10 percent more in taxes, voluntarily. 

부유층에게는 자발적으로 10%의 세금을 더 내도록 요청했습니다.



Sixty-three thousand people did. 

6만 3천여명이 세금을 더 냈습니다. 



And at the end of the decade that spanned Mayor Mockus's two terms in office, 

90년대말, 모쿠스가 시장으로서 두 번 재임하는 동안 



homicide in Bogotá was down 70 percent. 

보고타의 살인은 70% 가량 줄었습니다. 



Audience: Whoo! 

관객 : 와! 



People in places with the most violence, whether it's Colombia or the United States, can make the biggest difference. 

폭력이 난무한 지역에 있는 사람들은 콜롬비아든, 미국이든지 간에 가장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The most important thing we can do is abandon the notion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은 다음과 같은 생각을 버리는 것입니다.



that some lives are just worth less than others, 

어떤 생명은 그냥 다른 생명보다 가치가 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that someone deserves to be raped or murdered, 

누군가는 강간이나 살인을 당할만 하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because after all, they did something, 

그들은 그럴만한 무언가를 했을 거라 단정하면서 



they stole or they did something to land themselves in prison where that kind of thing happens. 

'뭔가를 훔치거나 했기 때문에 감옥에 들어갔을 거고, 그런 일이 일어날 법한 지역이라서..' 라고 생각합니다.



This devaluing of human life, a devaluing we barely admit even to ourselves, 

이렇게 인간의 삶의 가치를 낮추는 것은 우리가 인정하지 않으려 하지만요.



is what allows the whole downward spiral to begin. 

원인도 모를 끝없는 혼란을 야기합니다. 



It's what allows a bullet shot in a gang war in Rio to lodge in the head of a two-year-old girl climbing on a jungle gym nearby. 

이것이 바로 리오에서 폭력배 간 싸움에서 총을 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죠. 근처 체육관에 있었던 두 살짜리 여자아이의 머리에요.



And it's what allows a SWAT team hunting for a meth dealer in Georgia to throw a flash bang grenade into the crib of a little boy, 

또, SWAT 팀은 조지아에서 필로폰 딜러를 잡을 때, 터지는 수류탄을 어린 남자아이 침대에 서슴없이 던지기도 합니다.



exploding near his face and maiming him for life. 

그 아이의 얼굴 앞에서 터져 평생 불구로 만들겠죠.



The fact is, most violence everywhere happens to people on the wrong side of town at the wrong time, 

사실, 어디에서든 대부분의 폭력이 별볼일 없는 마을에 사는 사람들 사이에서, 부적절한 때 발생하기는 합니다.



and some of those people are from communities that we consider quite different. 

그 사람들 중 일부는 우리가 조금 다르다고 생각하는 공동체에 속해 있기도 합니다.



Some of them are people who have done horrible things. 

어떤 사람은 끔찍한 일을 저지르기도 했죠.



But reducing violence begins with privileging every human life, 

하지만 모든 인간의 생명을 존중할 때, 폭력은 줄어들기 시작할 것입니다. 



both because it's right and because only by prizing each life as worthy of at least due process, 

왜냐하면 이것이 옳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정당한 절차를 밟을 가치가 있는 개개인의 생명을 귀하게 여기는 것이야 말로



can we create societies in which the lives of innocents are safe. 

무고한 시민들이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Second, recognize that today, inequality within our countries is a vastly greater cause of violence than war between countries. 

두 번째로 알아야 할 것은, 오늘날 국가 내부에 존재하는 불평등이 국가 간 전쟁보다 폭력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입니다.



Now, inequality leads to violence for a whole host of reasons, 

불평등은 정말 많은 이유로 폭력을 야기합니다. 



but one of them is that it lets us separate ourselves 

그 이유들 중 하나는 불평등은 스스로 구별하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from what's happening on the other side of town. 

마을 반대쪽에서 일어나는 일로부터 말입니다. 



Those of us who are middle-class or wealthy, who are benefiting from these systems, 

부유층처럼 이러한 시스템에서 이익을 얻고 있는 사람들이



have to change them at immense cost to ourselves. 

막대한 비용을 감수하더라도 스스로 시스템을 바꾸어야 합니다.



We have to pay enough taxes and then demand that our governments put good teachers in other kids' schools 

충분히 세금을 내야 하고, 정부에 다른 아이들의 학교에도 좋은 선생님을 배치할 수 있도록 요구하며



and well-trained police to protect other peoples' neighborhoods. 

잘 훈련된 경찰들이 다른 사람들의 이웃들도 지킬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But, of course, that's not going to do any good 

그러나, 물론 이렇게 하는 것이 소용없는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if the government is stealing the money or fueling the violence, 

만약 정부가 돈을 계속 탈취하고, 폭력을 부채질한다면 말입니다.



and so we also need better politicians with better incentives. 

따라서 우리는 인센티브를 더 받는것 보다 더 나은 정치인들이 필요합니다. 



The fact is, we actually know a lot about what it takes to reduce violence. 

사실은, 우리는 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많이 알고 있습니다.



It's policies like putting more cops in the few places where most violence occurs. 

다음과 같은 정책이 될 수도 있겠죠, 대부분의 폭력이 발생하는 몇몇 장소에 경찰을 더 투입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But they don't fit easily into the boxes of the Left or the Right,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은 좌파나 우파에 딱 들어맞을 수 없습니다. 



and so you need really honest politicians 

그래서 정말 정직한 정치인들이 필요한 것이죠.



who are willing to buck knee-jerk partisanship and implement solutions. 

자동적으로 기꺼이 당파 근성에 대항할 수 있고 해결방안을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정치인 말이죠.



And if we want good politicians to run, we need to start respecting politicians. 

좋은 정치인들이 활동할 수 있게 하려면 우리는 정치인들을 존중하기 시작해야 합니다. 



There's also a lot we can do to fight privilege violence in other countries. 

다른 국가들의 특권 폭력에 대항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많습니다.



The most violent regimes tend to be fueled by drugs, 

가장 폭력적인 정권들은 마약관련 집단에 의해 힘을 얻는 경향이 있습니다.



and then they launder the profits through financial systems in New York and London, 

그리고 금융제도를 통해서 수익을 세탁합니다.  뉴욕이나 런던에서



through real-estate transactions, and through high-end resorts. 

부동산 거래를 통해서, 또는 고급 리조트를 통해서 말입니다.



If you use drugs, know your supply chain top to bottom, 

만약 여러분이 마약을 한다면 공급 경로를 처음부터 끝까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or admit the amount of pain you're willing to cause others for your own pleasure. 

그렇게 할 수 없다면, 다른 사람에게 가한 고통이 얼마나 아픈 것인지 인정하시기를 바랍니다.



Meanwhile, I would love to see one of those tourist sites team up with investigative journalists and create a little tiny icon -- 

자기 이익을 위해 남에게 가한 그 고통을요. 한편, 저는 한 여행사에서 탐사 보도 기자들과 팀을 이루어서 만든 한 작은 아이콘을 보는 걸 좋아하는데요.



right next to the one for free WiFi and if a place has a swimming pool, 

무료 와이파이 아이콘 바로 옆에 있는데, 숙소에 수영장이 있으면,



there could be a little tiny gun for "likely criminal money-laundering front." 

작은 총 모양 아이콘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범죄조직 돈세탁 가능성 있는 프론트" 라는 의미입니다. 



But until then, if you're booking a place in a dangerous country, whether that's Jamaica or New Orleans, 

하지만 그런 아이콘이 등록되기 전에 만약 여러분이 위험국가에서 숙소를 예약 한다면, 자메이카 이든, 뉴올리언스든



do a little web research, see if you can see any criminal ties. 

한번 웹 검색을 해서, 범죄와 연루되어 있는지 한번 찾아 보세요. 



And, to make that easier, support legislation 

더 쉽게 찾으려면, 다음과 같은 법을 지지해 주세요.



that makes our financial systems more transparent -- 

우리의 금융 시스템을 보다 투명하게 할 수 있는



things like banning anonymous company ownership. 

익명으로 기업을 소유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과 같은 법이요. 



Now, this all probably sounds pretty quixotic, 

이 모든 것들이 살짝 비현실적으로 들릴 수도 있습니다.



kind of like recycling your cans, 

캔을 재활용하는 것 정도로 보일 수 있고



just a tiny drop in the ocean of a gigantic problem, 

바다에 잉크 한 방울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but that's actually a misconception. 

사실 그것은 오해입니다. 



Homicide has been falling for centuries. 

수백 년간 살인은 줄어들어 왔습니다.



Battle deaths have been dropping for decades. 

수십 년간,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도 줄었습니다. 



In places where people have demanded change, 

사람들이 변화를 요구했던 곳에서는 



violent death has fallen, from Colombia to New York City, 

폭력으로 인한 죽음도 줄었습니다. 콜롬비아에서 뉴욕에 이르기까지






where homicide is down 85 percent since 1990. 

1990년 이후로 살인이 85% 가량 줄었습니다. 



The fact is, violence will always be with us, but it's not a constant. 

사실, 폭력은 항상 우리와 함께 존재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그대로이지는 않을 것입니다.



It has been falling for centuries, and it could fall further faster. 

수백 년간, 줄어들어 왔고, 더 빠르게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Could it drop by 25 percent in the next quarter century, a third? 

다음 25년 동안 25%에서 1/3 가량 줄어들 수 있죠. 



Many of us actually think it could.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이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I think of all the kids who'd grow up with their dads, 

저는 아이들이 그들의 아버지와 성장하기를 기대하고,



all the families that get their sisters back, their brothers. 

모든 가족들이 그들의 자매, 형제들과 다시 함께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All it needs is one small push.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작은 자극입니다. 






It needs us to care. 

바로 우리가 움직여야 합니다. 



Thank you.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