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you've heard, when I was very young, I was elected to the New Zealand Parliament.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저는 아주 어렸을 때 뉴질랜드 의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



And at that age, you learn mostly by listening to others' stories. 

보통 그맘때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서 배움을 얻죠.



I remember a woman who'd been injured in a farm accident, 

농장에서 사고로 부상을 입었던 여성의 이야기가 기억 나는데,



and it was coming up to shearing time on the farm, 

마침 양털을 깎아야 할 시기가 가까웠기 때문에



and she had to be replaced by a shepherd, 

그녀는 새로 고용된 양치기와 



by a rousie in the woolshed, 

양모 손질자에게 일자리를 내주어야 했습니다.



and of course there was still someone needed to manage the household and to prepare the food for the shearing gangs. 

하지만 여전히 집안을 돌보고 농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음식을 제공할 사람이 필요했죠. 



And her mother came to help with that. 

결국 그녀의 어머니까지 나서지만 



But the family got no compensation for the mother, 

어머니 몫으로는 어떤 보수도 받을 수 없었습니다. 



because that's what mothers and family members are supposed to do. 

가족이라면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One year, a company called Gold Mines New Zealand applied for a prospecting license on our beautiful Mt. Pirongia. 

어느 날, 골드마인스 뉴질랜드라는 회사가 아름다운 피롱기아 산에 채굴 전망권을 신청합니다.



It is a mountain full of extraordinary ecosystems, of verdant, virgin native forests. 

피롱기아 산은 푸르른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한 신비로운 생태계의 보고입니다. 



It produced oxygen, it was a carbon sink,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죠. 



it was a home for endangered species and for pollinating species in the farmland around. 

경작지 주변에 서식하는 멸종 위기종이나 꽃가루 매개종의 보금자리 역할도 합니다.



And the mining company put up this great economic prospectus 

하지만 골드마인스는 투자 설명서를 만들어 



that was about how much money could be made from mining our mountain, 

산을 채굴하면 돈을 얼마나 벌 수 있을지나, 




about all the growth and development that would show in New Zealand's budgetary forecasts, 

뉴질랜드 예산 전망 보고서에 나올 법한 성장이나 개발에 관한 내용으로 채웠습니다.



and we were just left with the language of all that we valued about our mountain. 

결국 산의 수많은 가치 중 그런 말들로 표현할 수 있는 것만 남았습니다. 



Fortunately, we stopped. 

다행히도, 이제 개발을 멈추었죠. 



And then I remembered a woman who had three children under five who was caring for her elderly parents, 

또 다른 여성은 다섯 살도 안된 아이를 셋이나 기르며 노부모를 모셔야 했지만 



and nobody seemed to think that at some stage she might actually need some assistance with childcare, 

그녀 주위의 아무도, 육아에 도움이 필요할 거란 생각은 하지 않는 듯했습니다. 



because she wasn't in the paid workforce. 

그녀가 무급으로 일하고 있었기 때문이죠. 



And there began to be a pattern in all of these stories I was being told. 

제가 들은 이야기를 살펴보니 어떤 패턴이 발견되더군요.



And I started to ask enough questions to try and track to the core of this pattern of values that was part of all of these stories. 

모든 이야기에 나타나고 있는  그 패턴의 핵심이 무엇인지 알아내고자 저는 질문을 던지기 시작했습니다.



And I found it in an economic formula called the "gross domestic product," or the GDP. 

결국 찾아낸 답은 경제식에 있었는데, '국내총생산' 또는 'GDP'라고 불리는 것이죠. 



Most of you will have heard of it. 

대부분 이 용어를 들어보셨겠지만



Many of you won't have any idea what it actually means. 

정확한 뜻을 아시는 분은 많이 없을 겁니다. 



The rules were drawn up by Western-educated men in 1953. 

이 개념은 1953년, 서양식 교육을 받은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They established a boundary of production in drawing up these rules. 

그들은 개념을 정립하며 생산활동에 경계를 설정했죠. 



What they were keen to measure was everything that involved a market transaction. 

이들이 측정하고자 한 것은 시장 거래와 관련된 모든 행위였습니다. 



So on one side of the boundary, everything where there was a market exchange was counted. 

그러므로 경계선 한쪽에서는 시장 거래가 이루어졌다면 전부 경제 행위로 간주했습니다. 



It doesn't matter whether the exchange is legal or illegal. 

거래가 합법이든 불법이든 상관없습니다.



Market exchange in the illegal trade in armaments, [munitions], drugs, endangered species, trafficking of people -- 

법적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군사물품 거래, 마약이나 멸종위기종 거래, 인신매매 같은 거래들도



all of this is great for growth and it all counts. 

성장에 도움이 되므로 모두 경제 행위로 간주됩니다. 



On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of production, 

경계선 반대쪽에는 이 개념상 존재하는 기이한 부분이 있는데, 



there was this extraordinary phrase in the rules that the work done by the people they called "nonprimary producers" was "of little or no value." 

소위 '비주요 생산자'가 행한 노동은 가치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So I thought, let's see how many nonprimary producers we have here today. 

오늘 비주요 생산자들이 얼마나 왔는지 봅시다.



So in the last week or so, how many of you have transported members of your household or their goods without payment? 

약 일주일 동안 아무런 대가 없이 가족을 데려다주거나 짐을 옮겨주신 분?



How many of you have done a bit of cleaning, a bit of vacuuming, a bit of sweeping, a bit of tidying up the kitchen? Yeah? 

뭔가 정리를 했다거나, 청소기를 돌렸다거나 비질을 했다거나, 주방을 정리하신 분? 있으신가요? 



How about going shopping for members of the household? 

가족이 필요한 것을 사러 가신 분은요? 



Preparing food? Cleaning up afterwards? 

식사 준비나 식탁 정리는 어떤가요?



Laundry? Ironing? 

빨래나 다림질은요? 



Well, as far as economics is concerned, you were at leisure. 

경제학적으로 볼 때 여러분은 놀고 계신 겁니다. 



Now, how about the women who have been pregnant and who have had children? 

이번엔 임신을 했거나 아이가 있는 여성분들 계신가요? 



Yes. 

계시는군요. 



Now, I really hate to tell you this, because it might well have been hard labor, but at that moment, you were unproductive. 

죄송한 말씀이지만 힘든 노동을 하고 계심에도 불구하고 그 순간 만큼은 비생산적이십니다. 



And some of you may have breastfed your infant. 

그중 어떤 분들은 모유를 수유하고 계시겠죠. 



Now, in the New Zealand national accounts -- 

뉴질랜드 국가 회계에서는, 



that's what the figures are called, that's where we get the GDP -- 

여기서 각종 수치가 나오고 GDP가 계산되죠. 



in the New Zealand national accounts, the milk of buffalo, goats, sheep and cows is of value but not human breast milk. 

이 국가 회계에 따르면 물소, 염소, 양과 소의 젖은 가치가 있지만 모유는 아닙니다. 



It is the very best food on the planet. 

모유는 지구상에서 가장 훌륭한 음식이자 



It is the very best investment that we can make in the future health and education of that child. 

아이들의 미래 교육과 건강에까지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투자이지만 



It doesn't count at all. 

전혀 고려되지 않죠. 



All of those activities are on the wrong side of the production boundary. 

이 모든 활동들이 생산 경계선의 잘못된 쪽에 놓여있습니다. 



And something that's very important to know about this accounting framework: 

이 회계 체계에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they call it "accounts," but there's no debit side. 

 '회계'라고 불리고 있지만 차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없다는 겁니다. 



We just keep market exchanges going, and it's all good for growth. 

시장 거래들은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모든 거래는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We're in Christchurch, 

우리는 크라이스트처치에 살고 있죠.



where people have lived through a devastating natural disaster and recovered. 

엄청난 자연재해를 맞닥뜨리고 또 극복하며 살아왔습니다.



And ever since that time, New Zealand has been told our growth figures are great, 

이러한 시기를 거치면서도 이곳이 재건되고 있으니, 공식적인 성장 지표는 우수했습니다.



because we're rebuilding Christchurch. 

잃은 건 아무 것도 없었습니다. 



Nothing was ever lost from the national accounting framework because of the loss of lives, 

국가 회계 체계의 관점에서 생명의 손실, 



the loss of land, the loss of buildings, the loss of special spaces. 

토양의 손실, 건물의 손실, 중요한 공간의 손실은 잃은 것이 아닙니다. 



Now, it might also be becoming obvious to you that this boundary of production works in terms of our environment. 

이제 이것도 확실히 아실 겁니다. 생산 경계선이란 자연환경을 포함하여 설정되는데 



When we're mining it, when we're deforesting, when we're deleting our environment, 

채굴하고, 채벌하고, 환경을 없애고, 



when we're fishing out our marine resources, legal or illegal, as long as market is exchanged, 

해양생물을 잡으면 그게 합법이든 불법이든 시장 거래로 성립되는 한



it's all good for growth. 

모두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To leave our natural environment alone, to sustain it, to protect it, is apparently worth nothing. 

환경을 그대로 두거나 보존하거나 보호하는 건 가치가 없다는 겁니다. 



Now, how and what can we do about this? 

이런 상황에 우리는 무얼 할 수 있을 할까요?



Well, I wrote first about it 30 years ago. 

30년 전, 제가 이 문제에 대해 쓴 글이 있습니다.



Then in 2008,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2008년 세계경제위기 이후로



President Sarkozy of France asked three men who had all won Nobel Prizes in Economics -- Sen, Fitoussi and Stiglitz -- to discover 

 프랑스의 사르코지 대통령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세 남자, 센, 피투시, 스티글리츠에게 조사를 요구했습니다.



what I'd written about 30 years ago. 

제가 30년 전에 쓴 문제에 대해서요. 



"Relying on per capita GDP, relying on these growth figures," 

그들이 말하길, "1인당 GDP나 이런 성장 지표에 의존하는 것은 



they said, "doesn't appear to be the best way to proceed to make public policy." 

공공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최선의 방법이 아닌 것 같다."



And I totally agree with them. 

전적으로 동의하는 바입니다. 



One of the things that you notice about these rules -- they are revised; 1968 they were revised, 1993, 2008 -- 

이 개념 체계는 1968년, 1993년, 2008년에 개정이 이루어졌는데,



is that the revisions are mostly done by statisticians, 

대부분 통계학자들이 주도했죠. 



and the statisticians do know what is wrong with the data, 

통계학자들은 데이터의 잘못된 점을 알고 있었지만 



but hardly any of the economists ever stop to ask that same question. 

경제학자들 중에는 의문을 품는 사람이 거의 없었습니다. 



So, in 2019, the GDP is in even worse shape. 

결과적으로, 2019년에 GDP 모형은 더 악화되었죠.



You see, to measure GDP, you have to assume 

GDP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가정이 필요한데, 



that some kind of production or service delivery or consumption occurs inside a nation-state, and you know where that is. 

생산이라든지 서비스 제공과 소비는 국가 영토 안에서 이루어지며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겁니다.



But trillions of dollars are circling the globe, 

하지만 수 조 달러가 전 세계를 순환하며 



in many part from our Googles, our Facebooks, our Twitters, siphoned through a number of tax shelters,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를 통해 무수한 조세 회피지역을 거치게 되므로 



so that when we click on our computer and go to download some software, 

우리가 컴퓨터에서 클릭 한 번으로 다운받는 소프트웨어 중에는 어디서 생산됐는지 알 수 없는 것도 있습니다. 



we don't know where it was produced, and frankly, no one knows where we are as we're consuming it, either. 

그 소프트웨어를 소비하는 동안 우리가 어디있는지도 알 수 없죠.



These tax-free havens distort the GDP to such an extent that about three years ago, 

이 사각지대 때문에 GDP에 왜곡이 일어나는데 약 3년 전,



Europe looked askance at Ireland and said, "We don't think you're reporting correctly," 

유럽이 아일랜드를 문제삼아 지표를 제대로 보고하는 것 같지 않다고 지적하자,



and in the next year, their GDP went up 35 percent. 

그 다음해 아일랜드의 GDP는 35%나 증가할 정도였습니다. 



Now, all that work that you're doing when you were at leisure and unproductive, 

여러분이 행하는 모든 노동 활동은 여러분이 쉬고 계시거나



we can measure this, and we can measure this in time use surveys. 

경제활동을 하지 않으실 때도 측정할 수 있습니다. 



When we look at the amount of time that's taken in the unpaid sector, 

무급 노동에 소요된 시간을 조사해보면



what we find is that in almost every country where I've ever seen the data, 

이 데이터를 조사한 거의 모든 나라에서



it is the single largest sector of the nation's economy. 

이 부문이 국가 단일 경제 중 최대 규모에 해당합니다. 



In the last three years, for example, 

예를 들어, 지난 3년 간



the UK statistician has declared that all of that unpaid work is the equivalent of all manufacturing and all retailing in the UK.

영국의 통계학자들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무급으로 이루어진 노동의 규모는 제조업과 소매업 두 부문을 합친 규모와 거의 동일했습니다. 



In Australia, the single largest sector of Australia's economy is unpaid childcare, 

호주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부문은 바로 무급 육아였습니다. 



and the second-largest sector is all the rest of the unpaid work, 

그 다음은 다른 무급 노동을 전부 합친 것이었고, 



before banking and insurance and financial intermediation services clock in at the largest part of the market sector. 

시장 관점에서 가장 규모가 큰 금융, 보험 및 금융중개 부문은 사실상 세 번째 순위를 차지합니다. 



Just last year, the Premier of the Victoria state of Australia declared that half of that state's GDP was, in fact, the value of all the unpaid work. 

작년에 빅토리아주 주지사는 주에서 생산된 GDP 절반 가량이 무급 노동의 가치라고 밝혔습니다. 



Now, as a policy maker, you cannot make good policy if the single largest sector of your nation's economy is not visible. 

정책을 만드는 사람이 좋은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국가 경제에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부문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You can't presume to know where the needs are. 

이를 간과하면 실제 국민의 니즈를 알아낼 수 없고



You can't locate time poverty. 

여유 시간 빈곤 문제도 파악할 수 없습니다.



You can't address the most critical issues of need. 

정작 중요한 문제에는 대처할 수 없는 겁니다. 



So what can go in the place of GDP? 

그러면 GDP를 대신할 수 있는 건 뭘까요?



Well, GDP has got many other problems, OK? 

GDP에는 다른 문제들도 많습니다.



We don't behave in a way that assists GDP. 

사람들이 GDP에 협조적인 행동만 하지는 않죠.



Large numbers of people around the planet are now using household assets -- their cars, their homes, themselves -- for Uber, for Airbnb. 

지구상에 수많은 사람들이 자가용이나 주택, 자기자신 같은 가계 자산을 이용해 우버나 에어비앤비 같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nd no, we're not supposed to use assets from the unpaid sector to make money in the market sector. 

사람들이 시장 외적 분야의 자산으로 실제 시장에 돈을 벌다니요. 



This is confusing! 

혼란스러운 일이죠! 



And very difficult to measure. 

게다가 측정도 매우 어렵습니다. 



So economists don't want to know what's wrong with their most important GDP, 

그래서 경제학자들은 자신의 소중한 GDP가 지닌 결점들을 외면하려 하죠. 



and I think they've got so many problems, 

많은 문제들이 생겨나도, 



they can just move off to a quiet corner and continue to publish 

어디 조용한 구석으로 가서 계속 GDP를 연구하는 겁니다. 



that and not come anywhere near the rest of us with this talk of capitals and natural assets and other ways in which to colonize the rest of our lives. 

우리 같은 사람들과는 동떨어진 채 자본이라든지, 천연자원에 대해 이야기하고, 모든 존재를 경제적 틀 안에 가두는 방법을 논하면서요.



I think time use is the most important indicator going forward. 

앞으로는 시간 소비량을 주요 지표로 삼아야 합니다.



Every one of us has exactly the same amount of it. 

시간은 모두에게 정확히 같은 양이 주어집니다. 



If there are going to be critical issues as we move forward, we need a solid database, 

앞으로 중대한 문제에 맞닥뜨리게 된다면, 안정적인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합니다.



because whatever we change away from the GDP, we're going to be stuck with it for about 50 years, 

GDP에서 벗어나 무언가 바꾸려면 50년은 더 붙어서 지켜봐야 하기 때문이죠. 



and we need something that's solid and immutable and that everybody understands, 

그래서 안정적이고 변화가 없으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합니다.



because if I put time use data in front of you, you'll immediately start nodding. 

제가 여러분께 시간 소비 자료를 보여드리면 



You'll immediately start recognizing what it means. 

바로 고개를 끄덕이며 의미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실 겁니다. 



And, honestly, if I put the GDP data in front of you, a lot of you would prefer to leave for morning tea. 

반면에, 제가 GDP 자료를 보여드리면 차나 한 잔 마시자며 자리를 뜨시겠죠. 



We also need to be looking at the quality of our environment.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생각해야 합니다.



As every year goes past, 

시간이 갈수록 사람들은 더 능숙해집니다. 



we get much better at measuring the devastation of it, of measuring how little we protect anymore. 

얼마나 많은 환경을 파괴하고 얼마나 적은 부분을 보호하는지 마주하는 일에 말이죠. 



And yet, with climate change, 

하지만 기후 변화 같은 문제처럼



we don't all have to be scientists to see, to feel, to know what is happening to our beautiful planet. 

아름다운 지구에서 벌어지는 일을 보고, 느끼고, 알기 위해 모두 과학자가 돼야 하는 건 아닙니다. 



We need, in this country, the paramountcy of what we can learn from kaitiakitanga, from whanaungatanaga, from what Maori, 

우리가 필요한 건 카이티아키탕아의 세계관과 바낭아탕아의 정신을 전파하며 수 백년을 살아온 마오리족이 알려주는 



who have been here for centuries, can teach us. 

자연의 고결함입니다. 



When you're in parliament, and you're not in an economist's frame of mind, 

의회에서 일하는 의원으로서 경제학자의 마인드에서 벗어나면 



you make decisions across a range of data. 

다양한 자료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You look at the trade-offs. You think deeply about implications way beyond whether or not GDP is up or down. 

상충 관계를 파악하며 단순한 GDP의 증감 문제에서 벗어나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까지 고려할 수 있습니다. 



Economists want to turn everything into a monetary exchange, even time use data, 

경제학자들은 모든 것을 화폐적 가치로 변환하려 하죠. 시간 소비 자료까지도 말입니다. 



so that they can carry on trying to decide whether GDP is up or down. 

그렇게 해서 결정하려고 하는 것은 GDP의 증감 여부입니다. 



That's not a great way to go. 

우리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And others have said to me, 

가끔 사람들이 묻습니다.



"Marilyn, why don't you just work on a system that includes all the unpaid work and the pregnancy and the birth and the lactation in the GDP?" 

 "하나의 시스템에 모든 걸 포함시켜 무급 노동은 물론이고 임신이나 출산, 수유까지 GDP로 계산하는 건 어떤가요?"



There's a very important moral and ethical answer to that, and it is that I do not want the most valuable things on earth, 

이 물음에는 그냥 넘길 수 없는 윤리적인 대답이 있습니다. 



the things I treasure, sitting in an accounting framework that thinks that war is great for growth. 

저는 제가 가장 중요한 가치를 두고, 소중히 아끼는 것을 전쟁도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회계적 관점에 가두고 싶지 않습니다. 



So from now on, whenever you listen to the news, you're not going to go blank when they say GDP. 

이제부터는 뉴스를 보실 때마다 GDP 이야기가 나온다고 멍해지진 않으실 겁니다.



You're going to think, "I know what they're talking about, and it's not good." 

이렇게 생각하시겠죠. "무슨 얘기 하는 줄 알겠는데, 그것 참 별로군." 



I know that there are alternatives, 

"GDP를 대체할 만한 지표가 있으니 



and I'm going to spend my time correcting people, 

난 기꺼이 시간을 들여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고,



talking to them about this value base and talking to them about what the alternatives can be, 

GDP가 기준으로 삼는 가치를 설명하고 이를 대체할 지표에 대해 이야기해야지.



because humankind and our planet need another way. 

우리 인류는 그리고 우리 지구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니까." 



Thank you. 

감사합니다.



https://www.ted.com/talks/marilyn_waring_the_unpaid_work_that_gdp_ignores_and_why_it_really_counts/transcript?language=ko



Centuries ago, the Inca developed ingenuous suits of armor that could flex with the blows of sharp spears and maces, 

수세기 전, 잉카문명은 날카로운 창과 철퇴의 강타에 유연하게 휘어지는 영리한 갑옷을 발전시켰고,



protecting warriors from even the fiercest physical attacks. 

심지어 가장 무시무시한 신체 공격으로부터 전사들을 보호했습니다. 



These hardy structures were made not from iron or steel, 

이러한 단단한 구조는 쇠와 강철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but rather something unexpectedly soft: cotton. 

전혀 기대치않게 부드러운 것, 바로 솜이었습니다.



These thickly woven, layered quilts of cotton could distribute the energy from a blow across a large surface area, 

두텁게 짜여져 겹쳐진 솜 누빔 천은 타격의 힘을 너른 표면으로 고르게 나눠줄 수 있어,



shielding warriors without restricting their mobility. 

그들의 동작의 범위를 제어하지 않고 전사들을 보호했죠. 



These seemingly contradictory features— strength and flexibility, 

이러한 외견상으로 모순적인 특성들, 즉 강도와 유연성, 



softness and durability— have their roots in the intricate biology of the nearly invisible cotton fiber. 

부드러움과 내구성은 거의 보이지 않는 면 섬유 조직의 복잡한 생물학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These fibers begin life deep within a cotton flower, on the surface of a seed. 

이러한 섬유 조직은 목화 안의 깊은 곳인 씨앗의 표면에서 시작됩니다.



As many as 16,000 fibers will festoon a single seed, bulging from the seed’s surface like miniature water balloons. 

만 6천 개의 섬유질은 한개의 단일 씨앗을 장식하는데, 축소판 물풍선들같이 씨앗의 표면에 불퉁하게 튀어나온다.



Each cotton fiber, no matter how large it grows, is made of just one cell. 

각각의 면 섬유질은, 그것이 얼마나 크게 자라나는지에 관계없이 오직 하나의 세포로 만들어집니다.



That cell has multiple layers of cell wall. 

그 세포에는 다수의 세포벽 층이 있죠.



After a few days, the sides of the first layer, called the primary cell wall, stiffen, 

며칠 뒤에, 첫 번째 층의 면들, 일차세포벽이라고 불리는데, 



pushing cell growth in one direction and causing the fiber to elongate. 

한 방향으로 세포 성장을 밀어붙이고 섬유질이 길고 단단해지게 합니다. 



The fiber elongates quickly for about 16 days. 

섬유질은 대략 16일 동안 빠르게 길이가 늘어납니다. 



Then it begins the next stage: strengthening the cell wall. 

그리고 그 다음 단계인 세포벽 강화 단계가 시작되죠. 



It does this by making more of the carbohydrate cellulose. 

이것은 더 많은 탄수화물 셀룰로오스가 생성되면서 진행됩니다.



Cellulose will make up 34% of the cell wall at this stage and swiftly increases. 

이 단계에서 섬유소는 세포벽의 34%를 이루고 신속하게 증가합니다.



This new growth also reinforces the cell wall by going against the grain of the existing wall. 

이러한 새로운 성장은 또한 세포벽을 강화시키는데 이미 생긴 벽의 결에 부딪히는 방식으로 강화합니다. 



The strengthened wall is more rigid, restricting further growth. 

강해진 벽은 더 단단해져 앞으로의 성장을 제어하게 되죠.



That means if the fiber remodels its walls too early, 

만약 섬유질이 너무 빨리 그 벽을 재형성하면, 



it will be short, and ultimately make rough, weak fabrics. 

그 섬유질은 짧아 질 것이고, 결과적으로 거칠고 약한 직물이 만들어진다는 뜻입니다. 



But if cell wall strengthening begins too late, the wall won’t be sturdy enough— 

그러나 세포벽 강화되기가 너무 늦게 시작된다면, 그 벽이 충분히 견고하지 못할 것이고 



producing fibers that are too weak to hold fabrics together well. 

세포의 구조를 지탱하기엔 너무 약한 섬유소들을 생산하게 될 겁니다. 



In ideal growing conditions— with the right temperature, water, fertilizer, pest control, and light— 

적정 온도, 물, 비료, 병충해 방지 그리고 빛을 갖춘 이상적인 성장 환경 속에서



a cotton fiber can grow up to 3.6 centimeters long with only a 25 micrometer width. 

면 섬유소는 3.6 센티미터 가까이 자랄 수 있습니다. 너비는 겨우 25 마이크로미터 밖에 안되지만요. 



Long, fine fibers can wrap around one another better than shorter, less fine fibers, 

더 짧고 덜 고운 섬유질들보다 길고 고운 섬유소들은 서로를 감쌀 수 있습니다. 



which means those long, fine fibers make stronger threads that hang together better as fabric. 

길고 고운 섬유질들이 더 강한 실들을 만들어낸다는 의미죠. 직물로 더 잘 함께 엮여 있는 실처럼 말이죠. 



Cotton with these qualities has diverse uses— 

이런 품질을 가진 면은 다양한 쓰임새가 있습니다. 



from soft textiles to the U.S. dollar bill, which is 75% cotton. 

부드러운 옷감에서 미국 달러 지폐까지, 지폐의 75%가 면으로 되어 있습니다. 



The next crucial stage of the cotton fiber’s growth begins as it thickens 

면 섬유질 성장의 중요한 다음 단계는 이차세포벽이 두꺼워짐에 따라 시작되는데 



its secondary cell wall by depositing large quantities of cellulose into the secondary layer. 

이차세포벽에 많은 양의 섬유소들을 담아두는 방식입니다. 



Cellulose goes on to make up over 90% of the fiber’s weight. 

섬유소는 섬유질 무게의 90%이상을 이룰 때까지 계속 생성됩니다. 



The more cellulose that gets deposited, the denser that secondary layer becomes— 

담겨진 섬유소가 많을 수록 이차세포벽은 더욱 밀도가 높아지고



and this determines the strength of the final fiber. 

이것이 최종 섬유질의 강도를 결정하게 됩니다. 



This stage is essential for developing long-lasting material for the likes of, say, a t-shirt. 

이러한 단계는 견고한 물질을 개발하는데 핵심적입니다. 예를 들면 티셔츠 같은 것 말이죠.



The garment’s capacity to withstand years of washing and wear is largely determined by the density of that secondary cell wall. 

수년간의 빨래와 착용을 견디는 의복의 능력은 그 이차세포벽의 견고함에 의해 크게 좌우됩니다.



On the other hand, its softness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length of the fiber, 

한편, 섬유질의 길이에 의해 옷감의 부드러움은 크게 영향을 받는데 



established with the remodeling of the primary wall layer. 

그것은 일차 세포벽 층의 재구성으로 구현됩니다. 



Finally, after about 50 days, the fiber is fully grown. 

마지막으로, 약 50일 후에, 그 섬유질은 완전히 자라게 되죠.



The living matter within the cell dies off, leaving behind only the cellulose. 

세포 안에서 살아있는 물질들은 소멸하며 오직 섬유소만을 남게 됩니다. 



The dried cotton seed pod, or boll, that surrounds the fibers cracks open, 

섬유질로 둘러 싸인 건조된 목화씨 껍질 또는 꼬투리가 갈라져



unveiling a burst of several thousand fiber cells in a fluffy mass. 

솜털에 싸인 덩어리 안에 있는 수천 개의 섬유소 세포들을 드러냅니다.



The thread-like fibers we see— thinner than a human hair— are the remains of those dense, 

우리가 보는 인간 머리카락 보다 더 가는 실 같은 섬유소들은 그 정도의 밀도를 형성하고,



dried out walls of cellulose. 

섬유소의 벽들은 소멸합니다. 



Tens of thousands of these fibers spun into yarn will go on to make everything from fabric, to coffee filters, diapers, and fishing nets. 

실로 짜여진 수만의 이런 섬유질들은 직물에서 시작해, 커피 필터, 기저귀, 그리고 어망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으로 계속 생산될 것입니다. 



And with the help of modern science, cotton might soon be softer, stronger, and more resilient 

그리고 현대 과학의 도움으로 면은 곧 더 부드럽고, 강하고, 더 탄력성이 강해질지도 모르죠.



than ever as researchers investigate how to optimize its growth based on nutrients, weather conditions, and genetics. 

연구원들이 영양요소, 날씨 그리고 유전학에 근거하여 면의 성장을 최대한 이끌어낼 방법을 알아낸다면 가능할 것입니다. 



https://www.ted.com/talks/michael_r_stiff_why_is_cotton_in_everything?language=ko



What is the most beautiful place you have ever been? 

여러분이 가본 장소 중 가장 아름다운 곳은 어디였나요?



And when you were there, did you take a picture of it? 

그리고 그곳에 있었을 때, 그 장소를 사진 찍었나요?



Here's a place that tops that list for me. 

여기 제 기준에서 가장 최고였던 곳이 있습니다. 



This is Mesa Arch in Canyonlands National Park in Utah at sunrise. 

이 사진은 유타주 캐니언랜즈 국립공원에 위치한 메사 아치에서 찍은 일출입니다. 



It's the traditional homeland of the Pueblo, Ute, Paiute and Navajo people, and when you are there, it is absolutely stunning. 

이곳은 전통적으로 푸에블로족, 우트족, 파이우트족, 나바호족 사람들의 고향이며, 그리고 메사 아치에 실제로 가보면, 그야말로 장관입니다.



The sunrise illuminates the bottom of the arch orange, and then behind it you see the buttes and clouds and cliffs. 

아침노을이 아치의 밑부분을 오렌지색으로 빛나게 하고, 그리고 뒤로는 외딴 언덕들과 구름, 절벽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But what you might not see from my photo here is the 30 people behind me who were also taking photos. 

하지만 제 사진에서 여러분이 놓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제 뒤에 저처럼 사진을 찍던 30명의 사람입니다. 



And these are just the committed people, the sunrise people, right? 

이분들은 그저 일출 사진 촬영에 전념하고 있던거죠, 그렇죠?



So when you think about that, there must be hundreds if not thousands of photos of Mesa Arch taken every week. 

이것에 대해서 생각해보자면, 매주 수백, 아니 수천 장의 메사 아치 사진이 찍히고 있음이 분명합니다. 



I've been sharing my photography on Instagram for years, 

저는 수년간 인스타그램에서 제가 찍은 사진을 공유해왔습니다.



and it started to become really interesting and funny, even, just how many similar photos of the same places I started to see online. 

그리고 온라인에 같은 장소를 찍은, 수많은 비슷한 사진들이 올라오는 것을 보면서 흥미로움과 때로는 재미까지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And I was participating in it. 

그리고 저도 여기에 동참하고 있었죠. 



So this made me wonder: 

이 사실은 제게 궁금증을 안겼어요. 



Why are we taking photos in the first place? 

우리가 애초에 사진을 찍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Sometimes, I visit a popular landmark -- this one is Horseshoe Bend in Arizona -- 

때때로, 제는 유명한 랜드 마크를 방문합니다. 참고로 여기는 애리조나에 위치한 호스슈 벤드입니다. 



and I see all the people with their phones and cameras out who snap a photo, 

저는 각자 핸드폰이나 카메라를 들고서 딱 사진만 찍고, 



just to turn and get back in the car or walk back to the trailhead. 

차로 돌아가거나 다시 시작점으로 되돌아가는 사람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And sometimes it seems like we are missing the point of going to this place to experience it for ourselves or to see it with our own eyes. 

때로 우리는 이런 장소에 오는 본래 목적을 놓치는 듯합니다. 직접 경험을 쌓거나 두 눈으로 직접 관찰하려는 그 목적을 말이죠. 



When I'm behind the camera, I notice the smallest details: 

저는 카메라 뒤에 있을 때, 아주 세세한 부분에 주목합니다.



the layers of light in the mountains as the light fades at the end of the day; 

산 뒤에 층층이 쌓인 빛과 하루의 끝에 다다라 그 빛이 옅어져 가는 모습,



the shapes that nature so expertly makes, abstract and yet completely perfect. 

자연이 만드는 정교한 문양들, 추상적이면서도 완벽한 그런 것들을 말입니다.



I could go on and on here musing about the intricacies of this planet and the way that it makes me feel. 

저는 이런 복잡함에서 나오는 지구의 아름다움 그 자체와, 이것이 저에게 어떤 느낌을 주는지에 대해 끝없이 사색을 즐길 수 있습니다. 



Photographing the beauty and complexity of this world for me is like making a portrait of someone that I love. 

제게 있어 이 세상의 아름다움과 복잡함을 사진에 담는다는 것은, 제가 사랑하는 누군가의 초상화를 그리는 것과도 같습니다.



And when I make a photograph, I have to think about what I want it to say. 

리고 저는 사진을 찍을 때, 이 사진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생각합니다. 



I have to ask myself what I want it to feel like. 

저 자신에게 이 사진이 어떤 느낌을 줄지에 대해 질문하죠. 



When you're communicating through an image, every creative choice matters. 

이미지를 통해 소통할 때, 모든 독창적인 선택들이 중요합니다. 



Sometimes, I plan to share my images, and other times, I take them just for myself. 

때때로, 저는 제 사진들을 공유하기로 계획하고 또 다른 때에는 오직 저 자신을 위해 간직합니다. 



I currently host a video series on the future of the outdoors, 

저는 요즘 미래의 야외 활동에 대한



and for one of the episodes we wan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y and outdoor spaces. 

비디오 시리즈 진행을 맡고 있는데 그중 한 에피소드에서 우리는, 사진 촬영과 야외 공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했습니다. 



I learned about the research of Kristin Diehl and her colleagues at USC, who studied photo-taking's effect on enjoyment levels. 

저는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소속 크리스틴 디엘 교수와 동료들이 진행한 사진 촬영이 즐거움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이란 연구를 알게 되었죠.



They found that when we're behind the camera, 

그들은 사람들이 카메라 뒤에 있을 때, 



when we're the ones taking the picture, we enjoy our experiences more, not less. 

즉, 우리가 직접 사진을 찍을 때 경험을 뺏기는 것이 아니라 더 즐길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죠.



But it wasn't true all the time. 

하지만 이게 항상 사실은 아니죠.



If the person took the photo solely with the intention of sharing it, there was no increase in enjoyment, 

만약 한 사람이 그저 공유를 목적으로 사진을 찍었다면, 이는 자기 자신을 위한 행동이 아니기 때문에 즐거움이 더해지지 않습니다.



because they didn't do it for themselves. 

이 연구는 명확히 구별해야 할 점을 알려줍니다. 



So this points to an important distinction: photography can enhance your experience if it's done intentionally. 

사진 촬영이 자신을 위한 의도성을 가지고 있을 때, 경험을 증진할 수 있다는 것을요. 



The intention piece is what matters. 

이 의도성이 모든 걸 좌지우지합니다. 



As a photographer, I've really had to check myself on this. 

저는 사진작가로서, 이 의도성을 스스로 반드시 점검했어야 했죠. 



When does it help me to have my camera out, and when do I just need to put it away? 

언제 카메라를 꺼내는 게 도움이 될지, 또 언제 꺼내지 말아야 할지를 말입니다.



On a trip to Alaska, I had the opportunity to photograph Alaskan brown bears.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 저는 알래스카 불곰들을 사진 찍을 기회를 얻었습니다.



I was on a boat with four other photographers, 

저는 보트 위에 다른 네 명의 사진작가들과 같이 있었고,



and we were all having our minds blown at the same time in such close proximity to these animals. 

우리는 곰들과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다 같이 황홀경에 빠졌습니다.



It's an emotional experience. 

정말로 감정이 폭발하는 그런 경험이었습니다. 



Being eye to eye with these bears gave me a feeling of connection that transcends words, 

곰들과 직접 눈을 맞추면서,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연대감을 느꼈습니다.



and having my camera with me in this case enhanced that. 

그리고 이 경우에는 제 카메라가 그 느낌을 극대화했습니다.



We were all creating independently but also all completely in the moment, both with nature and with each other. 

우리는 그 순간 각자, 그러면서도 완전하게, 자연과 서로 간의 연대감을 생성하고 있었죠. 



I so clearly remember capturing the water droplets and the motion as the bears swam and the cute cubs following their mothers. 

저는 생생히 기억합니다, 물방울이 떨어지는 순간, 곰이 헤엄치는 동작, 그리고 귀여운 새끼 곰들이 엄마 곰을 따라가는 모습을 포착했죠. 



That group and I will have that experience together and these images to look back on time and time again, 

그 사진작가들과 저는 함께 이 경험과 이를 몇 번이고 되돌아볼 수 있는 사진들을 간직할 것입니다.



and photography is what enabled us to share this in the first place. 

그리고 애초에 우리가 이 경험을 나눌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사진 촬영 덕분이었습니다. 



Other times, I choose to leave the camera behind, 

다른 때에는, 저는 카메라를 두고 가는 쪽을 선택합니다. 



and I think that choice ultimately improves both my experience and my work. 

그리고 이 결정이 근본적으로 제 경험과 업무를 증진한다고 생각합니다. 



I recently flew to the South Pacific island of Tonga to swim with humpback whales. 

최근, 저는 혹등고래와 수영을 하려고 남태평양의 통가제도를 방문했습니다. 



I noticed myself feeling pressure and a certain obligation to take the camera with me, 

저는 카메라를 들고가야 한다는 의무감에 제 자신이 압박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습니다.



when sometimes I just wanted the pure experience itself. 

때로 저는 그저 순수한 경험 그 자체를 쌓고 싶은데 말이죠.



And the experience is seriously amazing. 

그리고 이 경험은 실로 놀라웠습니다.



You're talking about being in the water with a curious baby animal the size of a station wagon 

바닷속에서 스테이션 왜건 차량 크기의 호기심 많은 새끼고래와 함께, 



while you are surrounded by particles that float around you like glitter, and the mom swims gracefully below you. 

마치 반짝이와 같은 물질들로 둘러싸인 상태에서 엄마 고래가 우아하게 제 밑에서 헤엄친 이 경험을 말이예요.



There were times, obviously, when I did take my camera with me, 

굉장히 놀라운 사진들을 찍을 수 있었습니다. 물론, 제가 카메라를 들고 간 경우도 있었고,



and those were really amazing to capture as well. 

굉장히 놀라운 사진들을 찍을 수 있었습니다.



But the setup is pretty big. 

문제는, 장비 사이즈가 꽤 큽니다. 



It's like this big box. 

보시다시피 큰 상자처럼 생겼습니다. 



This is what it looks like. 

바로 이게 저와 고래들 사이에 있고,



And so this is between me and the whales, 

바로 이게 저와 고래들 사이에 있고,



and at times that feels like a block between you and reality.

그리고 때로는 저와 현실 사이의 장벽과도 같이 느껴집니다.



Is there a difference when it's just your phone? 

과연 카메라가 아닌 핸드폰으로 찍으면 차이가 있을까요? 



Last year, I went to Uluru in Central Australia, which is this massive rock that towers over the desert. 

작년에, 저는 중앙 오스트레일리아의 울루루를 방문했습니다. 여기 보이는, 사막 위에 솟아 있는 거대한 바위입니다. 



This is sacred land to Anangu, who are the Aboriginal people from this area and the traditional owners of the land. 

이곳은 이 지역의 원주민이자 이 땅의 오래된 주인인 아낭구족에게 있어 신성한 장소입니다.



There are particular spots in Uluru that you cannot photograph professionally, 

울루루에는 전문 촬영이 금지된 특정 구역들이 존재합니다. 



because they are culturally sensitive, equivalent to sacred scripture to Anangu. 

그 이유는, 이 구역들이 아낭구족에게 성서와도 같은, 문화적으로 민감한 곳이기 때문입니다.



So because of this, most of my photographs are from either far away, like this one, or from specific angles in the park.

이러한 이유로, 제 사진들의 대부분은 이 사진처럼 원거리에서 찍혔거나, 아니면 공원에서 특정 각도로 찍힌 것들입니다.



You could say that some of the most interesting and beautiful visuals in Uluru are located in these sensitive areas, 

아마 울루루의 가장 흥미롭고 아름다운 광경은 사실 이런 민감한 곳에 있다고 주장할 수도 있겠지만 



but the request not to photograph them is an explicit and direct invitation to learn more about the land, its importance and its people. 

이를 찍지 말아 달라는 원주민들의 요구는 이 땅, 그리고 이 땅의 의의와 이곳에서 사는 사람들에 대해 배워볼 수 있는 분명하고 직접적인 일종의 초대입니다.



Isn't that what we should be doing anyway? 

사실 이런 공부가 우리가 진짜로 해야 하는 일이지 않을까요? 



So my visit to Uluru quickly became not about me but about connecting with the place. 

그래서, 저의 울루루 방문의 목적은 저에 대한 것이 아니라, 그 장소와 연대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곧 탈바꿈했습니다. 



Ironically and unsurprisingly, I have found that presence and connection also happens to make for more compelling images. 

역설적으로, 또한 놀랍지 않게도, 저는 한 장소에서의 제 존재와 그곳과의 연대감을 통해 더 매력적인 사진이 탄생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We can probably all point to social media as being a good place to share the images from our travels and from our lives. 

아마도 우리는 소셜 미디어가 여행과 삶을 담은 사진들을 공유하기에 좋은 장소라고 말할 수 있겠죠. 



We not only share pieces of the world that we have seen but also parts of our day-to-day experiences. 

우리는 우리가 목격해온 세상의 일부분일 뿐만 아니라, 하루하루 삶의 부분 역시 공유합니다. 



And if we're applying intentionality to the photos we take, then hopefully we're sharing intentionally too. 

그리고 우리가 사진을 찍을 때 의도성을 적용한다면, 바라건대 사진을 공유할 때도 역시 의도성을 가질 수 있겠죠.



For me, allowing people to see pieces of my story and my perspective online has reminded me that I'm not alone. 

제게 있어, 사람들에게 제 이야기와 시선을 담은 사진들을 온라인에서 볼 수 있게 공유한 행동은 제가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상기시켜주었습니다. 



It's helped me build support and community to do the same for others. 

 이는 다른 사람들도 이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제가 커뮤니티 개발과 지원을 하는 데에 이바지했습니다. 



Let me be clear: I am not trying to discourage you from taking photos. 

분명히 해둘 것이 있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사진 찍는 것을 말리고자 하는 것이 아닙니다. 



Even if thousands of people have been to whatever exact location and taken whatever exact photo, 

수천 명의 사람들이 이미 그 어떤 곳에 가보았다 하더라도,  이미 그 어떤 사진을 찍었더라도, 



I encourage you to get out and create too. 

저는 여러분도 밖에 나가 사진을 찍을 것을 권합니다. 



The world needs every voice and perspective, and yours is included. 

이 세상은 모두의 목소리와 시선이 필요합니다. 여러분들을 포함해서요. 



But what I'm trying to show you is that the phone or camera doesn't have to stay out all the time. 

하지만 제가 여러분에게 보여드리고자 하는 사실은, 핸드폰이나 카메라를 항상 꺼내고 있을 필요는 없다는 겁니다.



What I'm trying to encourage you to do is to put it away, just for a moment -- a moment for you. 

제가 여러분에게 권장하는 바는, 잠시만이라도, 집어넣는 것입니다. 여러분 자신을 위한 그 순간을 위해서. 



So let's go back to Mesa Arch, 

다시 메사 아치로 돌아가 봅시다.



the way that the rock glows orange and the lovely layers of blue in the background. 

바위가 오렌지 색으로 빛나고, 뒷배경에 겹겹의 아름다운 푸른색 층이 있는 곳으로요.



What if the next time you were somewhere amazing, you couldn't bring your camera or phone? 

다음번에, 어딘가 경이로운 곳을 방문할 때, 핸드폰이나 카메라를 가지고 갈 수 없다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What if you were not allowed to take any pictures at all? 

그 어떤 사진도 찍을 수 없다면요?



Would it feel like a limitation? 

이것이 여러분에게 제약으로 느껴질까요?



Or would it feel like a relief? 

아니면 해방으로 느껴질까요? 



So what can we do? 

그럼 이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Well, the next time you feel the impulse to take out your camera or phone, 

다음번에 카메라나 핸드폰을 꺼내려는 충동을 느낀다면, 



or, in my case, once you realize you have already pulled it out -- 

혹은, 제가 그랬던 것처럼 이미 꺼냈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다면, 



First: stop. Pause. 

일단, 멈추세요. 잠깐 정지. 



Take a deep breath. Look around. 

한 번 심호흡합니다. 주변을 둘러보세요.



What do you notice? 

무엇이 보이십니까?



Are you experiencing this moment with someone else? 

이 순간을 혹시 다른 누군가와 함께 경험하고 있나요?



Remember that this moment only comes once. 

기억하세요, 이 순간은 오로지 한 번뿐이라는 것을.



Photography can be part of a beautiful experience. 

사진 촬영은 아름다운 경험의 일부분이 될 수 있습니다. 



Just don't let it be a block between you and reality. 

그렇다고 현실 사이의 장벽으로 두지는 마세요.



Be intentional, and don't lose a beautiful, irreplaceable memory, because you were too focused on getting the shot. 

의도성을 갖고 찍으세요. 그리고 사진 촬영에 너무 몰두한 나머지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아름다운 기억을 잃어버리지 마세요. 



Thank you. 

감사합니다. 



https://www.ted.com/talks/erin_sullivan_does_photographing_a_moment_steal_the_experience_from_you?language=ko







My title: "Queerer than we can suppose: the strangeness of science." 

제 발표의 제목은 "상상을 초월하게 기괴한: 과학의 생소함" 입니다.



"Queerer than we can suppose" comes from J.B.S. Haldane, the famous biologist, who said, 

"상상을 초월하게 기괴한"이라는 표현은 홀데인이 쓴 것인데 이 유명한 생물학자가 말하기를



"Now, my own suspicion is that the universe is not only queerer than we suppose, 

"그러니까 내 느낌에는 우주가 우리가 상상했던 것 보다 더 기괴한 정도가 아니라,



but queerer than we can suppose.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날 정도로 기괴하다는 거야.



I suspect that there are more things in heaven and earth than are dreamed of, or can be dreamed of, in any philosophy." 

기존의 어떤 철학에서 꿈꿔온 또는 꿈꿀 수 있었던 우주보다 알 수 없는 무언가가 있는 것 같아요."



Richard Feynman compared the accuracy of quantum theories -- experimental predictions -- 

리처드 파인만은 양자 이론의 정확도를 즉, 실험으로 예측할 수 있는 수준을



to specifying the width of North America to within one hair's breadth of accuracy. 

머리카락 하나의 굵기 이하의 오차범위로 북미 대륙의 폭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에 비유한 적이 있습니다.



This means that quantum theory has got to be, in some sense, true. 

이는 양자 이론이 어떤 의미에서 진실이라는 뜻이죠. 



Yet the assumptions that quantum theory needs to make in order to deliver those predictions are so mysterious that even Feynman himself was moved to remark, 

하지만 그런 예측을 하기 위해서 양자 이론에서 내세우는 가정이 너무나도 수수께끼 같아서 파인만 조차도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



"If you think you understand quantum theory, you don't understand quantum theory." 

양자 이론을 이해했다고 생각한다면, 양자 이론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It's so queer that physicists resort to one or another paradoxical interpretation of it. 

너무나도 기괴해서 물리학자들은 이런 저런 모순된 해석에 기댈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David Deutsch, who's talking here, in "The Fabric of Reality," embraces the many-worlds interpretation of quantum theory, 

오늘 강연한 데이빗 도이치는 그의 책 "실체의 구조"에서 양자 이론의 "다중 세계" 해석을 받아들입니다.



because the worst that you can say about it is that it's preposterously wasteful. 

왜냐하면 최악의 경우에도 불합리하게 낭비적이라는 얘기를 듣는데 그치니까요.



It postulates a vast and rapidly growing number of universes existing in parallel, 

이 이론의 가정은 여러 평행 우주가 공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mutually undetectable, except through the narrow porthole of quantum mechanical experiments. 

그 수가 무척 빠르게 늘어나며 양자 역학 실험이라는 좁은 현창을 제외하고는 서로 탐지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And that's Richard Feynman. 

리처드 파인만의 얘기가 그것입니다. 



The biologist Lewis Wolpert believes that the queerness of modern physics is just an extreme example. 

생물학자인 루이스 월퍼트는 현대 물리학의 기괴함은 극단적인 예시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Science, as opposed to technology, does violence to common sense. 

기술과 달리 과학은 상식에 배치된다는 



Every time you drink a glass of water, he points out, 

 물 한 잔을 마실 때마다, 그가 지적하기를, 



the odds are that you will imbibe at least one molecule that passed through the bladder of Oliver Cromwell. 

올리버 크롬웰의 방광을 빠져 나온 물 분자를 최소 하나 이상 마실 거라는 겁니다. 



It's just elementary probability theory. 

이건 그저 간단한 확률론이죠.



The number of molecules per glassful is hugely greater than the number of glassfuls, or bladdersful, in the world. 

한 잔에 들어 있는 분자의 수는 전 세계의 모든 잔 또는 방광의 수보다는 훨씬 크고



And of course, there's nothing special about Cromwell or bladders -- 

당연히 크롬웰이건 방광이건 가릴 것 없는 거죠.



you have just breathed in a nitrogen atom that passed through the right lung of the third iguanodon to the left of the tall cycad tree. 

여러분은 방금 키 큰 소철나무 왼편에 있던 이구아노돈(역자주:백악기 파충류)의 오른쪽 폐를 거쳐간 질소 원자를 들이 마시셨습니다. 



"Queerer than we can suppose." 

"상상을 초월하게 기괴하다."



What is it that makes us capable of supposing anything, 

우리가 뭔가를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건 뭘까요?



and does this tell us anything about what we can suppose? 

이걸 알면 우리가 뭘 상상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Are there things about the universe that will be forever beyond our grasp, 

우주에 대한 것 중에서 우리는 영원히 못하겠지만



but not beyond the grasp of some superior intelligence? 

어떤 우월한 존재는 이해할 수 있는 그런 것이 있을까요? 



Are there things about the universe that are, in principle, ungraspable by any mind, however superior? 

우주에 대한 것 중에서 아무리 우월하다고 하더라도 어떤 존재라도 원칙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있는 것일까요?



The history of science has been one long series of violent brainstorms, 

과학의 역사는 격렬한 난상토론의 연속입니다.



as successive generations have come to terms with increasing levels of queerness in the universe. 

회를 거듭할 수록 우주의 기괴한 정도는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We're now so used to the idea that the Earth spins, rather than the Sun moves across the sky, 

요즘에는 지구가 돈다는 생각이 너무 익숙해서 



it's hard for us to realize what a shattering mental revolution that must have been. 

이것이 얼마나 엄청난 정신 혁명이었는지 깨닫기 어렵습니다.



After all, it seems obvious that the Earth is large and motionless, the Sun, small and mobile. 

그럼에도 지구는 크고 움직이지 않으며 태양은 작고 움직이는 것이 더 명백하게 느껴집니다.



But it's worth recalling Wittgenstein's remark on the subject: 

하지만 이에 대해 비트겐슈타인의 지적을 되새길 필요가 있습니다. 



"Tell me," he asked a friend, 

그가 친구에게 물었습니다.



"why do people always say it was natural for man to assume that the Sun went 'round the Earth, rather than that the Earth was rotating?" 

"지구가 공전하는 것이 아니라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돈다고 가정하는 것이 자연스러웠을 것이라고들 말하는 이유가 뭐지?"



And his friend replied, "Well, obviously, because it just looks as though the Sun is going round the Earth." 

친구가 대답하길 "글쎄,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도는 것처럼 보이니까 당연히 그러지 않았겠어?"



Wittgenstein replied, "Well, what would it have looked like if it had looked as though the Earth was rotating?" 

비트겐슈타인은 이렇게 말했죠. "글쎄, 지구가 도는 것처럼 보였다면 어땠을까?"



Science has taught us, against all intuition, that apparently solid things, 

과학이 가르쳐준 것은



like crystals and rocks, are really almost entirely composed of empty space. 

수정이나 바위 같은 명백히 딱딱한 것도 실제로는 거의 텅 빈 공간으로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And the familiar illustration is the nucleus of an atom is a fly in the middle of a sports stadium, 

흔히 묘사하기를 원자의 핵은 대운동장의 한 가운데 있는 파리 한 마리인 셈이고



and the next atom is in the next sports stadium. 

바로 옆의 원자는 이웃 운동장이라는 것입니다.



So it would seem the hardest, solidest, densest rock is really almost entirely empty space, 

가장 단단하고 가장 조밀한 바위가 사실은 거의 완전히 빈 공간일 뿐이고 너무 널리 퍼져있어서 



broken only by tiny particles so widely spaced they shouldn't count. 

도저히 셀 수 없는 작은 입자들만이 그 공간을 휘젓고 다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입니다.



Why, then, do rocks look and feel solid and hard and impenetrable? 

그렇다면 왜 바위는 딱딱하고 뚫을 수 없는 것으로 보이고 느껴지는 걸까요?



As an evolutionary biologist, I'd say this: 

진화생물학자로서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our brains have evolved to help us survive within the orders of magnitude, of size and speed which our bodies operate at. 

우리의 몸이 동작하는 크기와 속도의 규모에 맞춰 생존하는데 도움이 되게 우리의 뇌가 진화했다는 것입니다.



We never evolved to navigate in the world of atoms. 

우리는 원자의 세계를 돌아다니도록 진화한 것이 절대로 아니라는 것입니다.



If we had, our brains probably would perceive rocks as full of empty space. 

만약 그렇게 진화했더라면 우리의 뇌는 바위를 그저 빈 공간으로 인지할 것입니다.



Rocks feel hard and impenetrable to our hands, 

손으로 만지면 바위가 단단하고 뚫을 수 없다고 느껴지는 것은



precisely because objects like rocks and hands cannot penetrate each other. 

바위나 손 같은 물체는 서로 뚫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It's therefore useful for our brains to construct notions like "solidity" and "impenetrability," 

따라서 우리의 뇌가 "딱딱함" 이나 "뚫을 수 없음"과 같은 개념을 갖는 것은



because such notions help us to navigate our bodies through the middle-sized world in which we have to navigate. 

우리가 누비고 다녀야 할 중간 크기의 세계를 돌아다니는데 이들 개념이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Moving to the other end of the scale, 

규모의 반대편 극단으로 가보자면






our ancestors never had to navigate through the cosmos at speeds close to the speed of light. 

우리의 조상은 거의 광속으로 우주를 돌아다녀야 할 일이 결코 없었습니다.



If they had, our brains would be much better at understanding Einstein. 

만약 그래야 했다면, 우리의 뇌는 훨씬 쉽게 아인쉬타인을 이해하겠지요. 



I want to give the name "Middle World" to the medium-scaled environment in which we've evolved the ability to take act -- nothing to do with "Middle Earth" -- Middle World. 

우리가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온 중간 크기의 환경에 "중간 세계"라는 이름을 붙이고자 합니다. 중간계랑은 상관없고요 중간 세계입니다.



We are evolved denizens of Middle World, 

우리는 중간 세계에 서식하는 생물로 진화하였습니다. 



and that limits what we are capable of imagining. 

이러한 사실이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합니다.



We find it intuitively easy to grasp ideas like, 

우리에게 친숙한 개념이라는 것은



when a rabbit moves at the sort of medium velocity at which rabbits and other Middle World objects move, 

어떤 토끼가 중간 속도 즉 일반적인 물체가 움직이는 속도로 움직이다가



and hits another Middle World object like a rock, it knocks itself out. 

다른 중간 세계의 물체 예컨대 어떤 바위에 부딪치면 뻗는다는 것입니다. 



May I introduce Major General Albert Stubblebine III, commander of military intelligence in 1983. 

앨버트 스터블바인 3세를 소개할까 합니다. 1983년에 육군 정보 사령관을 했던 사람입니다.



"...[He] stared at his wall in Arlington, Virginia, and decided to do it.

버지니아 알링턴의 자기 사무실 벽을 쳐다보고 있다가 그걸 하기로 결심했습니다.



As frightening as the prospect was, he was going into the next office. 

가능할지 겁이 났지만 옆 사무실로 가기로 한 거죠.



He stood up and moved out from behind his desk. 

일어서서 책상 뒤로 물러났습니다.



'What is the atom mostly made of?' he thought, 'Space.' He started walking. 

원자가 대부분 무엇으로 되어 있다고? 그가 생각합니다. 공간이야. 걷기 시작했습니다.



'What am I mostly made of? 

나는 대부분 무엇으로 되어 있지? 



Atoms.' He quickened his pace, almost to a jog now. 

원자. 속도를 높여서 이제 조깅하는 속도입니다. 



'What is the wall mostly made of?' 

벽은 대부분 무엇으로 되어 있지? 



'Atoms!' All I have to do is merge the spaces. 

원자. 그렇다면 그냥 공간과 공간을 합치기만 하면 되는 거잖아.



Then, General Stubblebine banged his nose hard on the wall of his office.

그리고는 스터블바인 장군은 자기 사무실 벽에 코를 심하게 박았습니다. 



Stubblebine, who commanded 16,000 soldiers, was confounded by his continual failure to walk through the wall. 

1만6천명의 부하를 지휘하는 스터블바인은 벽을 뚫고 걸어가는 것에 계속 실패하자 어리둥절했습니다. 



He has no doubt that this ability will one day be a common tool in the military arsenal. 

그는 언젠가 이 능력이 군에서 실용화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Who would screw around with an army that could do that?" 

그걸 할 수 있는 군대가 있다면 누가 감히 집적대겠습니까?



That's from an article in Playboy, which I was reading the other day. 

이 얘기는 제가 며칠 전에 읽던 플레이보이에 실린 기사입니다.



I have every reason to think it's true; 

저는 이게 사실이라고 생각할 충분한 이유가 있습니다.



I was reading Playboy because I, myself, had an article in it. 

제가 플레이보이를 읽는 이유는 제 글이 실렸기 때문이거든요.



Unaided human intuition, schooled in Middle World, 

중간 세계에서 교육받은 인간의 직관만 가지고는



finds it hard to believe Galileo when he tells us a heavy object and a light object, air friction aside, would hit the ground at the same instant. 

공기 저항만 없다면 무거운 물체나 가벼운 물체나 동시에 땅에 떨어진다고 갈릴레오가 말했을 때 이를 믿기는 힘듭니다. 



And that's because in Middle World, air friction is always there. 

왜냐하면 중간 세계에서는 공기 저항이 항상 있으니까요.



If we'd evolved in a vacuum, we would expect them to hit the ground simultaneously. 

만약 우리가 진공에서 진화해왔다면, 당연히 땅에 동시에 떨어진다고 기대했겠죠.



If we were bacteria, constantly buffeted by thermal movements of molecules, it would be different. 

만약 우리가 박테리아라서 열 에너지로 움직이는 분자들에게 계속 시달려야 한다면, 달랐겠죠.



But we Middle-Worlders are too big to notice Brownian motion. 

하지만 우리 같은 중간 세계 생물들은 브라운 운동을 느끼기엔 너무 큽니다. 



In the same way, our lives are dominated by gravity, but are almost oblivious to the force of surface tension. 

마찬가지로, 우리의 삶은 중력의 지배를 받는 반면에 표면장력은 거의 잊고 지내게 됩니다.



A small insect would reverse these priorities. 

작은 곤충에게는 이 둘의 중요성이 뒤집힙니다. 



Steve Grand -- he's the one on the left, Douglas Adams is on the right. 

스티브 그랜드 - 왼쪽에 있는 사람입니다. 더글러스 애덤스가 오른쪽에 있네요.



Steve Grand, in his book, "Creation: Life and How to Make It," 

스티브 그랜드는 그의 책 "창조: 생명과 그것을 만드는 법" 에서



is positively scathing about our preoccupation with matter itself. 

우리가 물질에만 정신이 팔려있음을 살짝 비난합니다. 



We have this tendency to think that only solid, material things are really things at all. 

우리는 딱딱하고 형태를 가진 것만 진짜 물건이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Waves of electromagnetic fluctuation in a vacuum seem unreal. 

진공에서 전자기파의 파동은 실체가 아닌 것으로 여깁니다.



Victorians thought the waves had to be waves in some material medium: the ether. 

빅토리아 시대 사람들은 파동이 퍼져나가기 위해서는 어떤 물질이 매개체로 있어야만 한다고 생각했고 이를 에테르라고 했습니다. 



But we find real matter comforting only because we've evolved to survive in Middle World, where matter is a useful fiction. 

하지만 우리가 실체가 있는 물질을 편하게 느끼는 것은 물질이 유용한 얘기인 중간 세계에서 살아남도록 우리가 진화해왔기 때문일 뿐입니다.



A whirlpool, for Steve Grand, is a thing with just as much reality as a rock. 

소용돌이가 스티브 그랜드에게는 바위와 마찬가지의 실체입니다. 



In a desert plain in Tanzania, in the shadow of the volcano Ol Doinyo Lengai, there's a dune made of volcanic ash. 

탄자니아의 사막에는 올 도뇨 렝가이 화산 기슭에 화산재로 된 모래 언덕이 있습니다.



The beautiful thing is that it moves bodily. 

아름다운 점은 그것이 통째로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It's what's technically known as a "barchan," 

전문용어로는 바르한(역자주:초승달 모양의 모래 언덕)이라고 하는데,



and the entire dune walks across the desert in a westerly direction at a speed of about 17 meters per year. 

모래 언덕 전체가 사막을 가로질러 서쪽으로 이동하고 그 속도는 대략 일년에 17미터 정도입니다. 



It retains its crescent shape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horns. 

초승달 모양을 유지한 채 뾰족한 끝쪽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What happens is that the wind blows the sand up the shallow slope on the other side,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은 바람이 모래를 불어서 얕은 경사 너머 반대편으로 보내는 것이죠. 



and then, as each sand grain hits the top of the ridge, 

그리고, 모래 알갱이가 등성이의 꼭대기 부분을 때립니다. 



it cascades down on the inside of the crescent, and so the whole horn-shaped dune moves. 

그럼 그 부분이 초승달의 안쪽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그래서 뾰족한 모래 언덕 전체가 움직이게 됩니다.



Steve Grand points out that you and I are, ourselves, more like a wave than a permanent thing. 

스티그 그랜드는 여러분이나 저, 우리들 스스로가 불변의 물질이라기보다는 파도와 같다고 지적하였습니다. 



He invites us, the reader, to think of an experience from your childhood, something you remember clearly, 

그는 우리 독자들에게 이렇게 권유합니다. "어린 시절의 경험을 떠올려보라. 어떤 것은 당신이 또렷이 기억하고 있을 것이고



something you can see, feel, maybe even smell, as if you were really there. 

또 어떤 것은 당신이 실제로 거기에 있는 것처럼 보고 느끼고 심지어는 냄새조차 맡을 수 있을 것이다.



After all, you really were there at the time, weren't you? 

결국 당신은 그 때 진짜로 거기에 있었다. 그렇지 않은가? 



How else would you remember it?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기억하고 있겠는가?



But here is the bombshell: You weren't there. 

그러나 여기에 깜짝 놀랄 사실이 있다. 당신은 그곳에 없었다. 



Not a single atom that is in your body today was there when that event took place. 

오늘 당신 몸에 있는 원자 중에서 단 하나도 그 일이 있었던 곳에 있지 않았다.



Matter flows from place to place and momentarily comes together to be you. 

물질은 이 장소에서 저 장소로 흐르며 일시적으로 모여서 당신을 이룰 뿐이다.



Whatever you are, therefore, you are not the stuff of which you are made. 

그러므로, 당신이 무엇이건 간에 당신은 당신을 이루고 있는 물질이 아니다. 



If that doesn't make the hair stand up on the back of your neck, read it again until it does, 

만약 이 얘기를 듣고도 뒷덜미의 털이 곧추서지 않았다면 그렇게 될 때까지 다시 읽어라.



because it is important. 

왜냐하면 그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So "really" isn't a word that we should use with simple confidence. 

따라서, "실제로"라는 단어는 단순한 확신을 갖고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If a neutrino had a brain, which it evolved in neutrino-sized ancestors, 

만약 중성미자(역자주: 전자 정도의 무게를 가진 전기적으로 중성인 소립자)가 자기만한 조상으로부터 진화하여 두뇌를 갖게 되었다면, 



it would say that rocks really do consist of empty space. 

바위는 실제로 허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할 것입니다. 



We have brains that evolved in medium-sized ancestors which couldn't walk through rocks. 

우리가 가진 뇌는 바위를 뚫고 지나지 못하는 중간 크기의 조상으로부터 진화한 것입니다.



"Really," for an animal, is whatever its brain needs it to be in order to assist its survival. 

어떤 동물에게 "실제로"라는 것은 무엇이건 그의 생존에 도움이 된다고 두뇌가 요구하는 그 무엇일 뿐입니다.



And because different species live in different worlds, there will be a discomforting variety of "reallys." 

각 생물 종은 다른 세계에 살고 있으므로 불편하게도 다양한 "실제로"가 있을 것입니다. 






What we see of the real world is not the unvarnished world, 

우리가 아는 실제 세계라는 것은 덧칠하지 않은



but a model of the world, regulated and adjusted by sense data, 

원래의 세계가 아니라 세계의 모델 중 하나일 뿐입니다. 



but constructed so it's useful for dealing with the real world. 

이 모델은 감지된 자료로 규정되고 조정되며 실제 세계를 다루는데 유용하도록 고안된 것입니다. 



The nature of the model depends on the kind of animal we are. 

이 모델의 특성은 우리가 어떤 동물이냐에 달려 있습니다.



A flying animal needs a different kind of model from a walking, climbing or swimming animal. 

날아다니는 동물은 걷고, 기어오르고, 수영하는 동물과는 다른 종류의 모델을 필요로 합니다.



A monkey's brain must have software capable of simulating a three-dimensional world of branches and trunks. 

원숭이의 두뇌는 아마도 틀림없이 가지와 줄기의 3차원 세계를 모의 실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갖고 있을 것입니다. 



A mole's software for constructing models of its world will be customized for underground use. 

두더지 세계의 모델을 만들어내는 소프트웨어는 지하에 안성맞춤으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A water strider's brain doesn't need 3D software at all, 

소금쟁이의 두뇌는 아마 3차원 소프트웨어가 필요 없을 겁니다.



since it lives on the surface of the pond, in an Edwin Abbott flatland. 

에드윈 애벗의 평지에 있는 연못의 수면에 살고 있기 때문이죠. 



I've speculated that bats may see color with their ears. 

제가 추측하기로는 박쥐는 귀로 색깔을 볼 지도 모릅니다.



The world model that a bat needs in order to navigate through three dimensions catching insects must be pretty similar to the world model that any flying bird -- a day-flying bird like a swallow -- needs to perform the same kind of tasks. 

박쥐가 3차원의 세계를 돌아다니면서 벌레를 잡기 위해 필요한 세계 모델은 낮에 날아다니는 제비 같은 아무 새가 같은 종류의 일을 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세계 모델과 상당히 비슷할 것입니다. 



The fact that the bat uses echoes in pitch darkness to input the current variables to its model, 

그 모델에 현재 변수 값을 입력하기 위해서 박쥐가 칠흙같은 어둠 속에서 메아리를 활용하는 



while the swallow uses light, is incidental. 

반면에 제비가 빛을 활용한다는 것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Bats, I've even suggested, use perceived hues, such as red and blue, as labels, internal labels, for some useful aspect of echoes -- 

제가 추측하기로는 박쥐는 귀로 색깔을 볼 지도 모릅니다..



perhaps the acoustic texture of surfaces, furry or smooth and so on -- 

예컨대 털이 있는가, 매끄러운가 등 표면의 음향적 질감에 이름표를 붙여주는 것이죠. 



in the same way as swallows or indeed, we, use those perceived hues -- redness and blueness, etc. -- to label long and short wavelengths of light. 

이는 흡사 제비가 붉은, 푸른 등의 인지한 색상을 빛의 파장에 붙이는 것과 마찬가지인 셈입니다. 



There's nothing inherent about red that makes it long wavelength. 

원래부터 파장이 긴 것을 빨간 색이라고 할 이유는 없습니다. 



The point is that the nature of the model is governed by how it is to be used, 

요점은 모델의 특성이 그 모델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의해



rather than by the sensory modality involved. J.B.S. 

좌우되지 활용한 감각 방식과는 상관없다는 것입니다.



Haldane himself had something to say about animals whose world is dominated by smell. 

홀데인도 후각이 지배하는 세계를 가진 동물에 대하여 말한 적이 있습니다.



Dogs can distinguish two very similar fatty acids, extremely diluted: caprylic acid and caproic acid. 

매우 유사한 지방산인 카프릴산과 카프로산을 극도로 희석하여도 개는 구분할 수 있습니다. 



The only difference, you see, is that one has an extra pair of carbon atoms in the chain. 

보시는 바와 같이 유일한 차이는 원자 연쇄에 탄소 한 쌍이 더 있다는 것뿐입니다. 



Haldane guesses that a dog would probably be able to place the acids in the order of their molecular weights by their smells, 

홀데인이 추측하기로는 개는 아마도 냄새만 가지고 각종 산을 분자량에 따라 순서를 매길 수 있을 것입니다. 



just as a man could place a number of piano wires in the order of their lengths by means of their notes. 

 이는 마치 사람이 음의 높이를 가지고 피아노 선을 길이 순서로 배열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Now, there's another fatty acid, capric acid, which is just like the other two, 

이건 또 다른 지방산인 카프르산입니다. 다른 두 개와 같지만



except that it has two more carbon atoms. 

탄소 원자 두 개가 더 있습니다.



A dog that had never met capric acid would, perhaps, 

카프르산의 냄새를 한번도 맡아보지 않은 개라고 할지라도



have no more trouble imagining its smell than we would have trouble imagining a trumpet, say, playing one note higher than we've heard a trumpet play before. 

그 냄새가 어떤 것인지 상상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이는 마치 우리가 트럼펫의 어떤 음을 들었을 때 그보다 한 음 높은 소리를 상상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Perhaps dogs and rhinos and other smell-oriented animals smell in color. And the argument would be exactly the same as for the bats. 

개와 코뿔소 그리고 그 외 냄새 위주의 동물들은 총천연색으로 냄새를 맡는 것입니다. 똑같은 주장을 박쥐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Middle World -- the range of sizes and speeds which we have evolved to feel intuitively comfortable with -- 

우리가 직관적으로 편하게 느끼도록 진화한 크기와 속도의 범위를 가진 중간 세계는



is a bit like the narrow range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that we see as light of various colors. 

전자기 스펙트럼의 범위에서 우리가 색으로 볼 수 빛의 영역처럼 좁다고 할 수 있습니다. 



We're blind to all frequencies outside that, unless we use instruments to help us. 

그 범위 밖에 주파수에 대해서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한 우리는 장님입니다. 



Middle World is the narrow range of reality which we judge to be normal, 

중간 세계는 실세계 중 우리가 정상이라고 느끼는 좁은 영역에 지나지 않습니다. 



as opposed to the queerness of the very small, the very large and the very fast. 

너무 작거나 너무 크거나 너무 빠른 것의 기괴한 점들을 모두 배제한 것이죠. 



We could make a similar scale of improbabilities; nothing is totally impossible. 

있을 법 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도 비슷한 잣대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없습니다.



Miracles are just events that are extremely improbable. 

기적은 그저 몹시 있을 법 하지 않은 사건일 뿐입니다.



A marble statue could wave its hand at us; 

대리석상이 우리에게 손을 흔들어줄 수도 있는 거죠.



the atoms that make up its crystalline structure are all vibrating back and forth anyway. 

그의 결정 구조를 이루고 있는 원자들은 어차피 몽땅 앞뒤로 진동하고 있으니까요.



Because there are so many of them, and because there's no agreement among them in their preferred direction of movement, the marble, as we see it in Middle World, stays rock steady. 

너무나도 많은 원자가 있고 그들간에 어느 쪽으로 움직이는 것이 좋을지 약속이 없기 때문에 대리석은 중간 세계에서 보듯 돌처럼 굳어있는 것입니다.



But the atoms in the hand could all just happen to move the same way at the same time, and again and again. 

하지만 손에 있는 원자들이 우연히 한 순간 같은 방식으로 움직이고 이를 반복할 수도 있습니다.



In this case, the hand would move, and we'd see it waving at us in Middle World. 

그렇다면 손은 움직이게 되고 중간 세계에 사는 우리에게 손을 흔드는 것을 보게 될 것입니다.



The odds against it, of course, are so great that if you set out writing zeros at the time of the origin of the universe, you still would not have written enough zeros to this day. 

물론 그럴 가능성은 너무나도 작아서 우주가 시작되는 날로부터 소수점 아래 0을 쓰기 시작해도 오늘까지 충분한 개수의 0을 쓰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Evolution in Middle World has not equipped us to handle very improbable events; we don't live long enough. 

우리는 중간 세계에서 진화하는 바람에 무척 일어날 법 하지 않은 일을 다루는데 익숙하지 않습니다.



In the vastness of astronomical space and geological time, that which seems impossible in Middle World might turn out to be inevitable. 

충분히 오래 살지 않기 때문이죠. 우주 공간과 지질학적 시간의 방대함 속에서는 중간 세계에서는 불가능해 보이는 일이 불가피한 것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One way to think about that is by counting planets. 

이것을 생각해보는 한 가지 방법은 행성의 수를 세는 것입니다.



We don't know how many planets there are in the universe, 

우주에 몇 개의 행성이 있는 지는 모릅니다만



but a good estimate is about 10 to the 20, or 100 billion billion. 

적절한 예측으로는 약 2000경 내지 1해(역자주: 1아래로 0이 20개)개쯤 된다고 합니다.



And that gives us a nice way to express our estimate of life's improbability. 

이 수치는 생명이 얼마나 발생하기 어려운가를 어림잡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We could make some sort of landmark points along a spectrum of improbability, 

있을 성 싶지 않음의 스펙트럼을 따라서 일종의 표지를 세울 수 있습니다. 



which might look like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we just looked at. 

이는 흡사 우리가 살펴본 자기장의 스펨트럼과 비슷해 보일 것입니다. 


If life has arisen only once on any -- 

만약에 생명이 딱 한번 발생했다면




life could originate once per planet, 

생명은 행성마다 한번씩 발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could be extremely common or it could originate once per star or once per galaxy or maybe only once in the entire universe, 

즉, 극단적으로 흔한 거죠. 또는 항성(역자주: 한 항성에는 대개 여러 개의 행성이 있음) 당 한번씩 발생할 수 있었습니다. 또는 은하계 당 한번 또는 전체 우주에서 딱 한번이라면, 



in which case it would have to be here. 

만약에 그렇다면 그건 바로 여기라야 됩니다.



And somewhere up there would be the chance that a frog would turn into a prince, 

그리고 저기 위 어딘가에는 개구리가 왕자가 되거나



and similar magical things like that. 

그와 유사한 마술 같은 일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If life has arisen on only one planet in the entire universe, 

만약 전체 우주에서 딱 하나의 행성에서만 생명이 발생했다면,



that planet has to be our planet, 

그 행성은 우리 행성일 수 밖에 없죠. 



because here we are talking about it.

왜냐하면, 바로 여기서 우리가 그 얘기를 하고 있으니까요. 



And that means that if we want to avail ourselves of it, 

만약 이를 받아들인다면,



we're allowed to postulate chemical events in the origin of life which have a probability as low as one in 100 billion billion. 

우리는 1해분의 1처럼 낮은 확률을 가진 생명의 기원이 되는 화학 사건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도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I don't think we shall have to avail ourselves of that, 

우리가 꼭 그래야 한다고 저는 생각지 않습니다. 



because I suspect that life is quite common in the universe. 

왜냐하면 생명이 우주에서 상당히 흔하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And when I say quite common, 

제가 상당히 흔하다고 얘기했지만, 



it could still be so rare that no one island of life ever encounters another, 

그래도 여전히 너무 드물어서 생명을 지닌 어떤 섬도 다른 섬을 만난 적이 없을 수도 있는 정도입니다.



which is a sad thought. 

슬픈 일이죠. 



How shall we interpret "queerer than we can suppose?" 

"상상을 초월하게 기괴한"을 어떻게 받아 들여야만 할까요? 



Queerer than can in principle be supposed, 

원칙적으로 상상될 수 있는 것들 보다 더 기괴하다는 걸까요



or just queerer than we can suppose, given the limitations of our brain's evolutionary apprenticeship in Middle World? 

아니면 그저 중간 세계에서 진화의 수련을 겪은 우리 두뇌가 한정하는 범위에서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더 기괴하다는 걸까요?



Could we, by training and practice, emancipate ourselves from Middle World and achieve some sort of intuitive as well as mathematical understanding of the very small and the very large? 

훈련과 연습을 통하여 중간 세계로부터 해방되어 수학을 통해서는 물론이고 일종의 직관으로 극히 작은 것이나 극히 큰 것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을까요? 



I genuinely don't know the answer. 

저도 정말로 답을 모릅니다.



I wonder whether we might help ourselves to understand, say, quantum theory, 

다음과 같은 방법이 양자 이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if we brought up children to play computer games beginning in early childhood, 

아이들이 아주 어렸을 때부터 컴퓨터 게임을 하도록 키우는 겁니다.



which had a make-believe world of balls going through two slits on a screen, 

컴퓨터 게임에서 공이 막 위의 두 개의 슬릿(역자주:가늘고 갈라진 틈) 



a world in which the strange goings-on of quantum mechanics were enlarged by the computer's make-believe, 

양쪽 모두로 지나가는 세계(역자주:양자 역학의 이중 슬릿 실험은 파동성과 입자성을 설명함)를 보여준다던지 해서 양자 역학의 이상한 행실을 컴퓨터로 확대하여 그런 세계를 아이들이 믿게 만들어서



so that they became familiar on the Middle-World scale of the stream. 

 중간 세계의 규모에 익숙하게 하는 것은 어떨까.



And similarly, a relativistic computer game, in which objects on the screen manifest the Lorentz contraction, and so on, to try to get ourselves -- 

비슷한 식으로, 상대론적 컴퓨터 게임을 만들어서 화면상의 물체들이 로렌츠 수축(역자주: 이동중인 물체의 길이가 줄어드는 것으로 관찰되는 물리 현상)을 드러내게 하여



to get children into the way of thinking about it. 

아이들이 그런 현상을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게 한다면 어떨는지. 



I want to end by applying the idea of Middle World to our perceptions of each other. 

서로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중간 세계 개념을 적용하는 것으로 얘기를 마칠까 합니다.



Most scientists today subscribe to a mechanistic view of the mind: 

오늘날 대부분의 과학자는 마음을 기계론의 관점으로 보는데 동의합니다. 



we're the way we are because our brains are wired up as they are, 

우리가 이러저러한 것은 우리의 뇌가 그렇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our hormones are the way they are. 

우리의 호르몬이 그렇게 되어있기 때문이다라는 식의 생각이죠.



We'd be different, our characters would be different, 

만약의 신경구조와 생화학이 달랐더라면 



if our neuro-anatomy and our physiological chemistry were different. 

우리는 지금과 달랐을 것이고 우리의 특징도 다를 것이라는 거죠. 



But we scientists are inconsistent. 

하지만 우리 과학자들은 일관성이 없습니다. 



If we were consistent, our response to a misbehaving person, like a child-murderer, should be something like:

만약 우리가 일관성이 있다면, 유아 살해범과 같은 나쁜 사람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이런 식이라야 되는 거죠. 



this unit has a faulty component; it needs repairing. 

이 개체에는 고장난 부품이 들었군. 수리를 해야겠어. 



That's not what we say. 

하지만 우리는 그러지 않죠. 



What we say -- and I include the most austerely mechanistic among us, which is probably me -- what we say is, 

우리는 - 저와 이 중에서 가장 엄격히 기계론적인 사람 아마 저겠네요 이렇게 말하죠.



"Vile monster, prison is too good for you." 

"몸서리 나는 괴물 같은 놈, 감옥도 네놈에게 과분하다." 



Or worse, we seek revenge, 

심지어는 복수를 꾀하기도 하죠. 



in all probability thereby triggering the next phase in an escalating cycle of counter-revenge,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에 복수가 복수를 낳는 악순환의 고리가 끊이지 않습니다.



which we see, of course, all over the world today. 

오늘 현재 전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모습이죠.



In short, when we're thinking like academics, 

요컨대, 학술적으로 생각할 때에는,



we regard people as elaborate and complicated machines, like computers or cars. 

우리는 사람을 컴퓨터나 자동차처럼 정교하고 복잡한 기계라고 보지만,



But when we revert to being human, we behave more like Basil Fawlty, 

인간으로 되돌아 와서는 배즐 펄티(역자주: 영국의 시트콤 펄티 타워의 주인공)처럼 행동하죠. 



who, we remember, thrashed his car to teach it a lesson, when it wouldn't start on "Gourmet Night." 

기억하시겠지만 "식도락가의 밤" 에피소드에서 자동차가 시동이 안 걸린다고 가르친답시고 자동차를 마구 때리죠.



The reason we personify things like cars and computers is that just as monkeys live in an arboreal world and moles live in an underground world and water striders live in a surface tension-dominated flatland, 

자동차나 컴퓨터와 같은 물건을 의인화 하는 이유는 원숭이는 나무 세계에서 살고 있고 두더지는 지하 세계에서 살고 있고 소금쟁이는 표면 장력이 지배하는 2차원 세계에서 살고 있고 우리는 사회적 세계에서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we live in a social world. We swim through a sea of people -- a social version of Middle World. 

우리는 중간 세계의 사회 판인 사람의 바다에서 헤엄칩니다. 



We are evolved to second-guess the behavior of others by becoming brilliant, intuitive psychologists. 

우리는 명석하고 직관적인 심리학자가 되어 다른 이의 행동을 추측하도록 진화했습니다. 



Treating people as machines may be scientifically and philosophically accurate, 

사람을 기계로 대하는 것은 과학적으로나 철학적으로는 정확할 지는 몰라도, 



but it's a cumbersome waste of time if you want to guess what this person is going to do next. 

이 사람이 다음에 무슨 짓을 할지 예측하는 데에는 그저 성가신 시간 낭비일 뿐입니다. 



The economically useful way to model a person is to treat him as a purposeful, 

사람을 모델링 하는 경제학적으로 유용한 방법은 그를 목적을 가진 목표 지향적인 행위자로 취급하는 것입니다. 



goal-seeking agent with pleasures and pains, desires and intentions, guilt, blame-worthiness. 

즐거움과 고통, 욕망과 의도, 죄, 비난할 만한 것을 가진 존재로 보는 것이죠. 



Personification and the imputing of intentional purpose is such a brilliantly successful way to model humans,

의인화나 의도적 목적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인간을 모델링 하는데 너무나도 뛰어난 방법이기 때문에



it's hardly surprising the same modeling software often seizes control when we're trying to think about entities for which it's not appropriate, 

이 모델링 소프트웨어가 그 모델이 적절하지 않은 개체를 고려하려 할 때에도 장악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like Basil Fawlty with his car or like millions of deluded people, with the universe as a whole. 

배즐 펄티가 차를 다룰 때라던지 수백만의 사람들이 대우주라는 망상에 사로 잡힌다던 지 하는 것처럼요.



If the universe is queerer than we can suppose, 

만약 우주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이상으로 기괴하다면,



is it just because we've been naturally selected to suppose only what we needed to suppose in order to survive in the Pleistocene of Africa? 

그것은 단지 우리가 홍적세(역자주:1백80만년 전~1만년전의 시기로 인류가 발생한 시기)의 아프리카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상상해야 했던 것만을 상상하도록 자연 선택을 거쳤기 때문이 아닐까요?



Or are our brains so versatile and expandable that we can train ourselves to break out of the box of our evolution? 

혹시, 우리의 두뇌는 너무나도 융통성 있고 확장성이 있어서 훈련을 통하여 우리 진화의 테두리를 부수고 나갈 수 있는 걸까요?



Or finally, are there some things in the universe so queer that no philosophy of beings, however godlike, could dream them? 

그것도 아니라면, 우주에는 뭔가 너무나도 기괴한 것이 있어서 어떤 존재 심지어는 신과 같은 존재의 철학으로도 꿈조차 꿀 수 없는 걸까요?






Thank you very much. 

대단히 감사합니다.




https://www.ted.com/talks/richard_dawkins_why_the_universe_seems_so_strange/transcript?language=ko 








제가 30여년 전 즈음에 처음 나이지리아의 베닌에서 의사가 되었을 때, 

When I first became a doctor in Benin City, Nigeria, some 30-odd years ago,



사람들이 더 충만한 삶을 살도록 도와주게 되었습니다. 

I was drawn to help people live full lives.



그러나 종종 제가 무능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But often, I found myself feeling impotent. 



저는 기술이 많은 의사였지만, 만성질환이 있는 환자들을 치료하지는 못했어요. 

Here I was, a brand-new doctor with all these skills, but I couldn't cure my patients 



심장병, 천식, 당뇨병과 같은 질병들 말이죠. 

who had chronic diseases -- illnesses like heart disease, asthma, diabetes --



그저 처방전을 주는 것 이상의 무언가가 필요했습니다. 혹은 비관적인 상담으로 일을 빨리 끝내거나요. 

and needed more than just handing them a prescription or providing grief counseling in the office to get the job done. 



15년 후에 저는 조지아의 애틀란타에 있었습니다. 

Fast-forward 15 years later: I'm in Atlanta, Georgia;



그곳은 완전히 다른 세계였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기시감을 느꼈습니다. 

it's a different world, but it was déjà vu all over again. 



의사로서 우리는 만성 질환자들을 단편적으로 처리해야만 했습니다. 

As doctors, we see our patients who have chronic illnesses in an episodic way.



동시에, 환자들은 어떻게 스스로 많은 결정들을 해야할지 배워야 했습니다. 

In between, the patients have to learn how to make a lot of decisions for themselves.



예시를 알려드리죠. 

I'll give you examples.



만약 여러분이 매일 복용해야 하는 약이 있다면, 아플 때 무엇을 하나요? 

If you have medications you're supposed to take every day, what do you do when you're sick?



여전히 약을 복용하나요? 

Are you still supposed to take it?



복잡한 일이 일어났을 때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나요? 

How do you recognize a complication when it happens?



부작용이 발생하면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나요? 

How do you recognize a side effect when it happens? 



어떻게 해결하나요? 

What do you do with it? 



이 모든 것 외에도 만성 질환자들은 피할 수 없는 외로움, 고립감, 불안함과 마주합니다. 

In addition to all of this, they're dealing with the inevitable loneliness, isolation and anxiety that people who have chronic illnesses deal with.



미국에서만, 10명의 성인 중 6명은 만성질환이 있습니다. 

In the US alone, six in 10 adults have a chronic illness.



1억 2500만 명이죠. 

That's 125 million people.



로버트 우드 존슨 재단의 최신 자료에 의하면, 건강상의 습관이 사람들이 겪는 병의 50%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A recent report from the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showed that health habits account for 50 percent of the health outcomes that people experience,



의학적 치료가 오직 20%밖에 차지하지 않는데 말이죠. 

while medical care only accounts for 20 percent.



사실, 질병 관리 센터에서는 우리가 담배를 끊고, 

In fact,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says that if we could eliminate smoking,



운동을 꾸준히 하고 영양소를 잘 챙겨 먹는다면 80%의 심장병을 예방할 수 있고, 

physical inactivity and poor nutrition, that we can prevent 80 percent of heart disease,



80%의 2종류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고, 40%의 암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80 percent of type 2 diabetes and 40 percent of cancer. 






그러나 우리는 압니다, 건강상의 습관을 바꾸는 것은 매우 힘들다는 것을 말이죠. 

But we also know that changing health behaviors is very difficult.



그렇기에 질문하기를 만약 우리가 사람들이 습관을 바꿀 수 있게 동기를 주는 무언가를 만들면 어떨까? 

So we asked the question: What if we could create a resource that could motivate people to change health behavior?



사실, 사람들이 소위 말하는 자기 관리 능력을 돕는 것은 아주 많습니다. 

The truth is, there are a lot of these resources out there that help people acquire these so-called self-management skills.



그러나 그것은 쉽게 접근할 수 없고 와닿지도 않습니다. 

But many a time, they're not easily accessible or relatable,



특히 편견과 문화, 언어의 장벽을 마주하는 소수자나 서비스가 불충분한 지역사회에는 말이죠. 

particularly to individuals within minority and underserved communities, who face bias in addition to barriers like language and culture



불충분한 건강 보험도 마찬가지입니다. 

and inadequate health insurance coverage. 



지난 12년간, 저는 동료와 몰하우스 학교 약학과에서 만성질환을 돕기 위해 기술에 기반한 앱을 만들었습니다. 

And so in the last 12 years, my colleagues and I at Morehouse School of Medicine have created a technology-based application to assist with chronic illness care.



인터넷에서 앱이라는 형태로 간단하게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It's freely available on the web and as an app.



그것을 통해 사람들이 변화를 추적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And what we do is get people to track variables -- 



혈압, 혈당 같은 것을요. 

blood pressure, blood sugar --



그리고 그것을 다시 사용자에게 색상으로 구분된 형식으로 보냅니다. 

and then report it back to them in a color-coded format.



초록색은 건강한 범위를 의미하고, 빨강은 처리가 필요한 문제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So green would indicate a healthy range, and red would indicate a problem that needs something done about it.



우리는 이 데이터를 커리큘럼으로 연결시킵니다. 

We link these stats to a curriculum.



이 커리큘럼은 개개인들이 가지는 만성질환에 상관없이 건강상태를 알 수 있게 해주고 또한 헬스 코치의 조언을 통해 

The curriculum helps the individual learn about their health condition, whatever the chronic illness is.



그들의 질병의 복잡성을 방지하는 자기 관리 능력을 배울 수 있습니다. 

They also work with a health coach to learn self-management skills, skills that'll help them prevent complications of their illness. 



조언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선 그들은 함께 일하는 개개인의 신뢰를 얻어야 합니다. 

In order for the coach to be successful, they have to be able to gain the trust of the individual that they're working with.



우리는 헬스코치가 의학 도우미인 곳에서 이 앱을 시험했습니다. 

We tested this application in clinics, where the health coaches were medical assistants,



그리고 헬스코치가 보건복지부 자원봉사자인 도시의 큰 교회에서 시험했습니다. 

and in a large urban church, where the health coaches were volunteers from the health ministry.



일년 후, 1/3의 참가자들이 세 가지 자기 관리 능력을 얻게 되었고 지속보완이 가능하게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A year later, a third of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acquire three new self-management skills and maintain them to the extent that it was able to improve

그들의 혈압, 혈당 그리고 운동량까지요. 

their blood pressures, their blood sugar and their exercise. 



이제 간단하면서도 매혹적인 것은 교회의 그룹이 단순히 의학적 치료를 받는 그룹보다 더욱 훌륭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Now, what was simple yet fascinating to us was that the group from the church did just as well or even better than the group that were under purely medical care.



우리는 왜 이렇게 됐는지 알고 싶었습니다. 

And we wanted to learn why that was.



그래서 더 깊은 조사를 했고 400시간의 녹취록으로 알게 된 것은 

So we looked a little further into the research -- 400 hours of recorded conversation -- 



교회의 코치들은 환자들과 함께 하는 시간이 더 많았습니다. 

and what we learned was that the coaches from the church did have more time to spend with the patients,



환자들의 가족과도 말이죠. 

they had access to the patients' families,



그로 인해 코치는 환자의 요구를 잘 알고, 그에 맞는 해결책을 환자들에게 제시했습니다. 

and so they could figure out what people needed and provide those resources for them.






우리의 팀은 이를 "문화적으로 적합한 코칭" 이라고 부릅니다. 

My team and I call this "culturally congruent coaching." 



문화적으로 적합한 코칭의 개념을 묘사하기 위해, 

To illustrate this concept of culturally congruent coaching,



우리가 베르사라 부르는 환자 한 명을 예로 들겠습니다. 

I want to tell you about one of our patients.



베르사는 당뇨병과 고혈압이 있는 83세의 여성입니다. 

I'll call her Ms. Bertha. So Ms. Bertha is an 83-year-old lady with diabetes and hypertension.



그녀는 앤이라는 교회의 헬스코치에게 배정되었고 

She was assigned to Anne, her health coach in the church.



앤은 베르사와 수년 동안 그녀와 친구관계를 유지했던 사람이었습니다. 

Anne also happened to be a family friend to Ms. Bertha for many years, 



그들은 동료 교인이었죠. 

and they were fellow congregants. 



앤은 첫 몇 번의 방문 후 베르사가 성실히 데이터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Anne observed after the first few visits that even though Ms. Bertha faithfully recorded her stats,



모든 결과가 빨강인 걸 보았습니다. 

they were all showing up as red.



그래서 베르사가 왜 그런지 알기 위해 더 깊이 조사했고, 

So she probed a little deeper to try to understand what was going on with Ms. Bertha, 



베르사는 앤에게 사실을 알려주었습니다. 

and Ms. Bertha gave her the real-real. 



그녀는 이전에 약을 먹었을 때 이상한 감정을 느꼈다고 말했습니다. 

She told her that there were times when her medications made her feel weird,



또한 그녀는 처방대로 복용하지 않았습니다. 

and she wouldn't take them the way they were prescribed, 



왜냐하면 그 원인이 약이라 생각했지만. 

because she thought it was due to the medicines



이를 의사에게 말하지 않았습니다. 

but she didn't tell her doctor that. 



결국 그녀는 의사의 지시를 무시했습니다. 물론 많은 이유들이 있었겠지만요. 

She also skipped out on some doctor appointments for a variety of reasons,



그러나 그 중 하나는 그녀가 잘못된 행동을 했고 이 때문에 의사가 화내는 게 싫어서 가지 않았다는 겁니다 

but one of them was she wasn't doing better and she didn't want to make her doctor mad, so she just didn't go. 




그래서 앤은 메르사와 대화를 했고 다음에 의사를 방문할 때는 딸과 같이 가시라고 조언했습니다.

So Anne talked to Ms. Bertha and asked her to bring her daughter in for the next visit, which she did.



그리고 그 방문 때, 앤은 베르사가 모아놓은 모든 통계를 인쇄할 수 있었습니다. 

And at that visit, Anne was able to print out a log of all these stats that Ms. Bertha had been collecting,



이것을 그녀에게 주고 다시 의사를 보러 가자고 격려했고. 

gave them to her and encouraged them to go see the doctor together,



결국, 다시 갔습니다. 

which they did.



그 정보들 덕분에 의사는 베르사에게 변화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었고, 3달 내에, 베르사의 숫자들은 전부 녹색에 속하게 되었습니다. 

With that information, the doctor was able to make changes to Ms. Bertha's treatment. Within three months, Ms. Bertha's numbers were all in the green.



아무도 베르사 자신보다 놀라거나 흥분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No one was more excited or surprised than Ms. Bertha herself. 



지금, 앤은 성공적인 헬스코치입니다. 

Now, Anne was successful as a health coach



왜냐하면 그녀는 깊이 그녀를 돌보았고, 베르사 씨의 오래된 문화를 조사하고, 그녀를 더 나은 단계로 이끌었습니다. 

because she cared enough to go below the surface and probe Ms. Bertha's deep culture and was able to reach her at that level.



그녀는 필요한 것을 위해 어떻게 경청하는지 알고 어떻게 질문을 해야 하는지 압니다. 

She knew how to listen, and she knew how to ask the right questions to get to what was needed.



건강상의 결정을 내리는 방식에 있어서 우리는 모두 깊은 무의식적인 규칙이 있었습니다. 

We all have deep unconscious rules that drive the way we make our health decisions.



그것은 우리의 문화입니다. 

That's our culture. 



앤과 베르사 사이의 관계와 대화는 언제 환자와 대화를 하는 게 가능한지 알려줍니다. 

The relationship and the conversation between Anne and Ms. Bertha illustrates what's possible when we have conversations with our patients,



깊은 문화에 있는 우리의 환자 친구와 이웃들도 마찬가지이죠. 

our friends and our neighbors on a deep cultural level.



개인적으로, 간단한 개념의 문화적으로 적합한 코칭을 생각할 때면 매우 짜릿함을 느낍니다. 

And personally, I'm beyond excited to think that with this simple concept of culturally congruent coaching,



우리는 1억 2500만의 미국인의 삶에 이어 전세계인의 삶 또한 바꾸고 있습니다. 

we could change the lives of 125 million Americans and many others across the world






만성질환으로 힘들어하고 있는 사람들 말입니다 

that are living with chronic diseases. 



감사합니다. 

Thank you. 




https://www.ted.com/talks/priscilla_pemu_a_personal_health_coach_for_those_living_with_chronic_diseases?language=ko






I'd like to talk today about the two biggest social trends in the coming century, and perhaps in the next 10,000 years. 

오늘, 저는 다가올 시대, 아마 만년 후에도 지속될 제일 큰 사회적 트렌드 두가지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But I want to start with my work on romantic love, because that's my most recent work. 

우선 로맨틱한 사랑에 대한 저의 연구부터 시작해 봅시다. 왜냐하면 제 가장 최근의 연구거든요. 



What I and my colleagues did was put 32 people, who were madly in love, into a functional MRI brain scanner. 

동료들과 제가 했던 것은 32명의 사랑에 깊게 빠진 사람들을 자기 공명 영상 뇌 스캐너로 검사를 해 보았습니다. 



17 who were madly in love and their love was accepted; 

17명은 사랑에 빠져 결국 사귀게 된 사람들이고 



and 15 who were madly in love and they had just been dumped. 

15명은 사랑에 빠졌지만 결국 차인 사람들이였습니다.



And so I want to tell you about that first, and then go on into where I think love is going. 

연구에 대해서 먼저 말씀드리고, 그리고 나서 사랑이 어디로 가고있는지로 넘어가겠습니다. 



"What 'tis to love?" Shakespeare said. 

사랑이란 무엇인가, 셰익스피어가 말했습니다.



I think our ancestors -- 

우리의 조상님들-



I think human beings have been wondering about this question since 

인간은 대대로 사랑에 대해 궁금히 여겨왔습니다.



they sat around their campfires or lay and watched the stars a million years ago. 

그들이 백만년전 모닥불 중심으로 둘러 앉거나 누워서 별을 보기 시작했을때 부터요.



I started out by trying to figure out what romantic love was by looking 

저는 로맨틱한 사랑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at the last 45 years of the psychological research and as it turns out, 

지난 45년간의 연구들을 훑어보았습니다-심리학적인 연구들만이요.



there's a very specific group of things that happen when you fall in love. 

그 결과, 사람들이 사랑에 빠지면 특별한 현상들이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The first thing that happens is, a person begins to take on what I call, "special meaning." 

첫번째로 발생하는 현상은 사랑에 빠진 사람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합니다. 



As a truck driver once said to me, "The world had a new center, and that center was Mary Anne." 

한 트럭운전사께서 저에게 말씀하셨듯, "세상에 새로운 중심이 생겼지, 그것은 Mary Anne이었어." 



George Bernard Shaw said it differently. 

George Bernard Shaw씨는 약간 다르게 말씀하셨죠.



"Love consists of overestim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one woman and another." 

"사랑은 한 여자와 나머지 여자들의 차이를 확대해석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And indeed, that's what we do. 

사실, 맞는말이죠.



And then you just focus on this person. 

그리고 (사랑에 빠진) 당신은 그 사람에게만 집중합니다. 



You can list what you don't like about them, but then you sweep that aside and focus on what you do. 

그 사람에게서 싫어하는 점을 찾아내긴 하지만 부정적인 면은 잠시 잊은채 좋아하는 점에만 집중합니다.



As Chaucer said, "Love is blind." 

Chaucer가 말했죠. "사랑은 눈이 멀었다."



In trying to understand romantic love, 

로맨틱 사랑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던 중에,



I decided I would read poetry from all over the world, 

저는 전 세계의 시들을 읽어보기로 작정했습니다. 



and I just want to give you one very short poem from eighth-century China, 

그 중에서 여러분께 아주 짧게 8세기 중국시조를 들려드릴게요. 



because it's an almost perfect example of a man who is focused totally on a particular woman. 

왜냐하면 이건 한 남자가 특정 여인에게 완전 푹 빠져버린 거의 완벽한 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It's a little bit like when you are madly in love with somebody and you walk into a parking lot --their car is different from every other car in the parking lot. 

당신이 어떤사람과 미친듯한 사랑에 빠졌을 때와 같을거예요. 마치 주차장에서 자신들의 차가 다른 차들과는 다른 것처럼 말이죠.



Their wine glass at dinner is different from every other wine glass at the dinner party. 

자신들의 와인잔은 저녁파티에 있던 다른 와인잔들과는 다른 것처럼요.



And in this case, a man got hooked on a bamboo sleeping mat. 

이 경우에는, 한 남자가 대나무 매트에 푹 빠진경우입니다. 



And it goes like this. 

이렇게 시작해요.



It's by a guy called Yuan Zhen. 

작가 Yuan Chen: 



"I cannot bear to put away the bamboo sleeping mat. 

"나는 이 대나무 매트를 치울 수 없다. 



The night I brought you home, I watched you roll it out." 

내가 너를 우리집에 데려온 그날 밤, 나는 너가 구르는것을 보았다."



He became hooked on a sleeping mat, probably because of elevated activity of dopamine in his brain, 

아마도 그의 뇌의 도파민의 활동이 증가해서 그런걸거에요. 



just like with you and me. 

마치 여러분들과 저처럼 말입니다. 


02:45

But anyway, not only does this person take on special meaning, you focus your attention on them. 

하지만 사람들이 특별한 의미만을 부여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 사람에게 모든 관심을 쏟습니다.



You aggrandize them. But you have intense energy. 

그 사람을 확대해석 하기도 하고, 당신에게 강력한 기운을 주기도 합니다.



As one Polynesian said, "I felt like jumping in the sky." 

한 폴리네시아 사람이 말했죠, "나는 하늘로 점프하는 기분이예요."



You're up all night. 

밤을 꼬박 지새우기도 합니다.



You're walking till dawn. 

새벽까지 걸어다니기도 합니다.



You feel intense elation when things are going well; 

관계가 좋을 때는 강하게 의기양양해지죠.



mood swings into horrible despair when things are going poorly. 

하지만 잘 되어가지 않을 때에는 아주 심각한 절망상태에 빠집니다. 



Real dependence on this person. 

한 사람에 대한 진정한 의존상태이죠. 



As one businessman in New York said to me, "Anything she liked, I liked." Simple. 

뉴욕의 한 사업가가 말하길, "그녀가 좋아하는 모든 것을 난 좋아했다." 간단합니다. 



Romantic love is very simple. 

로맨틱한 사랑은 간단합니다. 



You become extremely sexually possessive. 

당신은 성적 소유욕이 극으로 달합니다. 



You know, if you're just sleeping with somebody casually, you don't really care if they're sleeping with somebody else. 

만약, 당신이 누군가와 일상적으로 잔다면 당신은 그 누군가가 또 다른 누군가와 자는 것에 대해 신경쓰지 않습니다.



But the moment you fall in love, you become extremely sexually possessive of them. 

하지만 당신이 사랑에 빠지는 순간, 당신은 그들에 대해 성적 소유욕을 갖게 됩니다.



I think there's a Darwinian purpose to this. 

저는 이 것에 진화론적인 목적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The whole point of this is to pull two people together strongly enough to begin to rear babies as a team. 

목적은 두 사람이 함께 아이를 기르기 위해 서로 붙어있을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Bu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romantic love are craving:

하지만, 로맨틱 사랑의 주 특징은 갈망입니다: 



an intense craving to be with a particular person, not just sexually, but emotionally. 

한 특정한 사람과 성적으로 뿐만 아니라 감성적으로 함께하고 싶은 갈망입니다.



It would be nice to go to bed with them, 

물론 연인과 함께 잠을 자도 좋겠지만,



but you want them to call you on the telephone, to invite you out, etc., to tell you that they love you. 

당신은 좀더 그 사람이 당신에게 전화해주길, 함께 시간을 보내길 바랍니다., 그가 당신을 사랑한다고 말해주기를 바라죠.



The other main characteristic is motivation. 

사랑의 또 다른 특징은 바로, 동기부여입니다. 



The motor in the brain begins to crank, and you want this person. 

당신의 뇌는 활발해지고, 당신은 그 사람을 원하게 됩니다. 



And last but not least, it is an obsession. 

마지막으로, 사랑은 강박 관념입니다.



Before I put these people in the MRI machine, I would ask them all kinds of questions. 

MRI검사를 하러 들어가기 전에, 저는 사람들에게 갖가지 질문을 합니다.



But my most important question was always the same. 

하지만 저의 가장 중요한 질문은 항상 같습니다. 



It was: "What percentage of the day and night do you think about this person?" 

그것은 "하루의 시간 중 몇%를 그 사람 생각을 하면서 보냅니까?" 입니다. 



And indeed, they would say, "All day. All night. I can never stop thinking about him or her." 

실제로, 그들은 "하루 내내, 하룻밤 내내, 그 사람에 대한 생각을 떨쳐버릴 수 없어요"라고 합니다. 



And then, the very last question -- I would always have to work myself up to this question, 

그러면, 저는 마지막 질문을 합니다. 저는 항상 이 질문에 제 자신을 대입해보곤 합니다.



because I'm not a psychologist. 

왜냐하면 저는 심리학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I don't work with people in any kind of traumatic situation. 

저는 심적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들과 일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My final question was always the same. 

그리고 제 마지막 질문은 항상 같죠.



I would say, "Would you die for him or her?" 

"그 사람을 위해 죽을 수도 있습니까?"



And, indeed, these people would say "Yes!" as if I had asked them to pass the salt. 

그리고, 실제로, 사람들은 "네!"라고 대답합니다. 마치 제가 소금 좀 건내달라는 말에 답하 듯이요. 



I was just staggered by it. 

저는 굉장히 놀랐습니다. 



So we scanned their brains, looking at a photograph of their sweetheart and looking at a neutral photograph, with a distraction task in between. 

그들이 각자 연인의 사진들, 일반적인 사진들을 보고 있을때 - 중간에 방해 과제를 주면서 - 뇌를 스캔해 보았습니다.



So we could look at the same brain when it was in that heightened state and when it was in a resting state. 

그리고 저희는 발견했습니다- 똑같은 뇌가 활성화 되었을 때와 쉬고있을 때를 비교하면서요.



And we found activity in a lot of brain regions. 

뇌의 활발한 활동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In fact, one of the most important was a brain region that becomes active when you feel the rush of cocaine. 

실제로, 가장 중요한 사실 중 하나는 코카인(마약)을 흡입했을 때 흥분을 느끼는 뇌 부분이 활성화 된다는 것이였습니다.



And indeed, that's exactly what happens. 

실제로 이것이 우리 뇌에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I began to realize that romantic love is not an emotion. 

로맨틱한 사랑은, 단순히 감정이 아니라



In fact, I had always thought it was a series of emotions, from very high to very low. 

사실 저는 사랑은 감정들의 연속이라고 생각했었거든요, 아주 격정적인 것부터 아주 가라앉은 감정들까지 말입니다.



But actually, it's a drive. 

하지만 사실 사랑은 욕구입니다.



It comes from the motor of the mind, the wanting part of the mind, the craving part of the mind. 

마음의 모터에서 나옵니다. 무언가를 원하는 마음이나 갈망하는 마음에서요.



The kind of part of the mind when you're reaching for that piece of chocolate, 

어떤 마음이냐면- 초콜렛에 손을 뻗을 때 우리가 느끼는 그런 마음,



when you want to win that promotion at work. 

혹은 회사에서 승진을 원하는 간절한 마음이요. 



The motor of the brain. It's a drive. 

뇌의 모터, 즉 욕구입니다. 



And in fact, I think it's more powerful than the sex drive. 

사실, 제 생각엔 성욕보다 더 강력한 것 같습니다.



You know, if you ask somebody to go to bed with you, and they say, "No, thank you,"

여러분도 알다시피, 여러분이 어떤 사람에게 잠자리를 갖자고 했을 때 그 사람이 거절을 했다면



you certainly don't kill yourself or slip into a clinical depression. 

여러분은 아마도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엄청난 우울증 증세에 빠지지는 않을 겁니다. 



But certainly, around the world, people who are rejected in love will kill for it. 

하지만 분명한 것은, 전 세계 곳곳에, 사랑에 거절당한 사람들은 그 것을 얻기 위해 물불을 가르지 않을 것입니다.



People live for love. They kill for love. They die for love. 

사람들은 사랑 때문에 살고, 사랑 때문에 죽이고, 사랑 때문에 죽습니다.



They have songs, poems, novels, sculptures, paintings, myths, legends. 

사람들은 노래, 시, 소설, 조각, 그림, 신화, 전설을 만들어 냅니다.



In over 175 societies, people have left their evidence of this powerful brain system. 

175개가 넘는 사회에, 사람들은 그들의 엄청난 뇌 활동의 증거를 남겨놨습니다. 



I have come to think it's one of the most powerful brain systems on Earth for both great joy and great sorrow. 

굉장한 즐거움과 굉장한 슬픔을 느낄 수 있는 지구에서 제일 강력한 뇌 시스템 중 하나라고 저는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And I've also come to think that it's one of three basically different brain systems that evolved from mating and reproduction. 

그리고, 짝짓기와 생식에서 진화된 기본적으로 다른 세가지 뇌 시스템 중 하나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One is the sex drive: the craving for sexual gratification. 

하나는 성욕입니다: 성적 충족을 위한 갈망입니다.



W.H. Auden called it an "intolerable neural itch," 

W.H. Auden은 '참을 수 없는 신경계의 가려움'이라고 불렀습니다. 



and indeed, that's what it is. 

그리고, 실제로 그렇습니다.



It keeps bothering you a little bit, like being hungry. 

배고픈 것 처럼, 조금씩 신경이 쓰입니다.



The second of these three brain systems is romantic love: that elation, obsession of early love. 

두 번째 뇌 시스템은 로맨틱한 사랑입니다: 사랑 초기의 희열감, 강박 관념입니다. 



And the third brain system is attachment: 

그리고 세 번째 뇌 시스템은 애착입니다: 



that sense of calm and security you can feel for a long-term partner. 

장기간 짝에 대한 평온함과 안정감 말입니다. 



And I think that the sex drive evolved to get you out there, looking for a whole range of partners. 

저는 그 경지에 다르기 위해 성욕이 진화했다고 생각합니다. 넓은 범위의 짝을 찾기 위해서죠.



You can feel it when you're just driving along in your car. 

차를 운전할 때의 그 기분을 느낄 수가 있죠. 



It can be focused on nobody. 

그 아무도에게 집중될 수 없습니다. 



I think romantic love evolved to enable you to focus your mating energy on just one individual at a time, 

저는 짝짓는 에너지를 한 때에 한 사람에게만 집중할 수 있도록 로맨틱 사랑이 진화했다고 생각합니다. 



thereby conserving mating time and energy. 

이로써 짝짓는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죠.



And I think that attachment, the third brain system, evolved to enable you to tolerate this human being 

그리고, 세 번째의 뇌 시스템인 애착은 이 사람을 견딜 수 있도록 진화했다고 생각합니다.



at least long enough to raise a child together as a team. 

적어도 팀으로서 애를 기를 수 있을 때까지 말입니다. 



So with that preamble, I want to go into discussing the two most profound social trends. 

그래서 그 서론을 이어서 제일 뜻 깊은 두 가지 사회적인 트렌드에 대해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One of the last 10,000 years and the other, certainly of the last 25 years, 

지난 몇 만년동안, 그리고 확실히 지난 25년 동안, 



that are going to have an impact on these three different brain systems: lust, romantic love and deep attachment to a partner. 

정욕, 로맨틱한 사랑과 짝에 대한 깊은 애착인, 이 세 개의 다른 뇌 시스템에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The first is women working, moving into the workforce. 

첫째는 여성들이 일하고 인력으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I've looked at 130 societies through the demographic yearbooks of the United Nations. 

저는 유엔의 인구 통계책을 통해서 150, 130개의 사회들을 보았습니다.



Everywhere in the world, 129 out of 130 of them, 

그리고 전세계 어디서나, 130 중 129개는,



women are not only moving into the job market --  

여성들의 취업이 증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 



sometimes very, very slowly, but they are moving into the job market --

어쩔 때는 아주 굉장히 느리지만, 취업을 하고 있습니다 -



and they are very slowly closing that gap between men and women in terms of economic power, health and education.

경제적 능력, 건강 및 교육에서 남녀 차이를 줄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It's very slow. 

굉장히 느립니다.



For every trend on this planet, there's a counter-trend. 

이 지구에서 모든 트렌드에는 반대-트렌드가 있습니다.



We all know of them, but nevertheless -- the Arabs say, "The dogs may bark, but the caravan moves on." 

우리 모두가 그 것들을 알고 있지만, 오래된 아랍 속담에 '개들이 짖을 순 있어도, 카라반은 여전히 움직인다.'



And, indeed, that caravan is moving on. 

그리고 실제로, 그 카라반은 움직이고 있습니다.



Women are moving back into the job market. 

여성들은 다시 직업 시장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And I say back into the job market, because this is not new. 

그리고 제가 돌아가고 있다고 말하는 이유는 이 것이 새롭지 않기 때문입니다.



For millions of years, on the grasslands of Africa, women commuted to work to gather their vegetables. 

몇백만년 동안, 아프리카의 초원에서 여성들은 야채를 모으러 일하러 나갔습니다.



They came home with 60 to 80 percent of the evening meal. 

저녁의 60 - 80%의 음식을 가지고 집에 돌아왔습니다. 



The double income family was the standard. 

두 개의 수입을 가진 가족이 표준이엇습니다.



And women were regarded as just as economically, socially and sexually powerful as men. 

그리고 여성들은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성적으로 남성만큼 강하게 여겨졌습니다.



In short, we're really moving forward to the past. 

요약해서, 우리는 과거로 진전하고 있습니다. 



Then, women's worst invention was the plow. 

그 때, 여성의 최악의 발명품은 쟁기였습니다.



With the beginning of plow agriculture, men's roles became extremely powerful. 

갈이 농사가 시작되면서 남성들의 역활이 매우 강해졌습니다. 



Women lost their ancient jobs as collectors, 

여성들은 채집자로서의 오래된 일을 잃었으나,



but then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ost-industrial revolution they're moving back into the job market. 

산업혁명과 포스트-산업혁명으로 인하여 그들은 다시 취업 마켓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In short, they are acquiring the status that they had a million years ago, 10,000 years ago, 100,000 years ago. 

요약해서, 만, 십만, 몇백만년 전에 가졌던 지위를 그들은 되 찾고 있습니다.



We are seeing now one of the most remarkable traditions in the history of the human animal. 

인간 역사에서 제일 주목할 만한 전통 중 하나를 우리는 현재 보고 있습니다.



And it's going to have an impact. 

그리고 그 것은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I generally give a whole lecture on the impact of women on the business community. 

일반적으로 저는 사업 단체에 여성들의 영향에 대해 전체 강의를 합니다. 



I'll say just a couple of things, and then go on to sex and love. 

몇 가지만 언급하고, 섹스와 사랑에 대해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There's a lot of gender differences; 

많은 남녀 차이가 있습니다. 



anybody who thinks men and women are alike simply never had a boy and a girl child. 

남녀가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남자 아이와 여자 아이를 키워보지 못했을 것입니다.



I don't know why they want to think that men and women are alike. 

왜 그들이 남녀가 비슷하다고 생각하고 싶은지 모르겠습니다.



There's much we have in common, but there's a whole lot that we do not have in common. 

남녀에게 맣은 공통점이 있지만, 아닌 점들도 많습니다.



We are -- in the words of Ted Hughes, 

우리는, Ted Hughes의 말로는, (*Ted Hughes-영국의 시인)



"I think that we are like two feet. We need each other to get ahead." 

'나는 우리가 이렇게 만들어졌다고 생각한다 - 마치 두 발처럼 말이다.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서로가 필요하다.' 



But we did not evolve to have the same brain. 

하지만 우리는 같은 뇌를 갖도록 진화하지 않았습니다.



And we're finding more and more gender differences in the brain. 

그리고 뇌에서 점점 더 많은 남녀 차이를 발견하고 있습니다.



I'll only just use a couple and then move on to sex and love. 

몇 가지만 말하고, 섹스와 사랑에 대해서 얘기하겠습니다. 



One of them is women's verbal ability. 

하나는 여성의 언어적인 능력입니다. 



Women can talk. 

성들은 말을 잘합니다. 



Women's ability to find the right word rapidly, 

여성들이 알맞은 단어를 빨리 찾는 능력, 



basic articulation goes up in the middle of the menstrual cycle, when estrogen levels peak. 

기본적인 표현은 월경 주기 중간에 상승합니다. 에스토로겐 호르몬이 제일 많을 때 말입니다.



But even at menstruation, they're better than the average man. 

월경 중일 때에도, 평균적인 남성보다 더 우수합니다.



Women can talk. 

여성들은 말을 잘합니다. 






They've been doing it for a million years; words were women's tools. 

그들은 몇백만년 동안 했습니다. 단어는 여성들의 도구입니다.



They held that baby in front of their face, cajoling it, reprimanding it, educating it with words. 

애기 얼굴을 마주보고 안으면서 단어로 부추기고, 꾸짖고, 교육시킵니다.



And, indeed, they're becoming a very powerful force. 

그리고 실제로 강력한 힘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Even in places like India and Japan, where women are not moving rapidly into the regular job market, 

심지어 인도나 일본같은 곳에서도, 여성들은 일반적인 취업 시장으로 빨리 움직이는 것뿐만 아니라, 



they're moving into journalism. 

저널리즘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And I think that the television is like the global campfire. 

그리고 저는 텔레비젼이 세계적인 캠프파이어같다고 생각합니다.



We sit around it and it shapes our minds. 

그 주위에 앉아 우리의 마음을 거의 언제나,



Almost always, when I'm on TV, the producer who calls me, who negotiates what we're going to say, is a woman. 

제가 텔레비젼에 출연할 때, 말할 내용을 협상하는 프로듀서는 여자입니다.



In fact, Solzhenitsyn once said, "To have a great writer is to have another government." 

Solzhenitsyn은 이렇게도 말한 적이 있습니다:  '훌륭한 작가를 가진 것은 또다른 정부를 갖는 것이다.' 

*Solzhenitsyn 솔제니친-구소련의 작가



Today 54 percent of people who are writers in America are women. 

오늘 미국에서 54%의 작가는 여성입니다. 



It's one of many, many characteristics that women have that they will bring into the job market. 

취업 시장으로 갖고 올 수 있는 여성들이 가진 많은 특징 중 하나입니다. 



They've got incredible people skills, negotiating skills. They're highly imaginative. 

그들은 대단한 사회적인 솜씨, 협상 솜씨들을 갖고 있습니다. 그들은 굉장히 상상력이 풍부합니다.



We now know the brain circuitry of imagination, of long-term planning. 

우리는 상상력의, 장기간 계획의 뇌 회로를 알고 있습니다.



They tend to be web thinkers. 

그들은 'web thinker'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Because the female parts of the brain are better connected, 

여성 뇌 부분들이 더 연결이 잘 되어 있기 때문에



they tend to collect more pieces of data when they think, put them into more complex patterns, see more options and outcomes. 

그들이 생각할 때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하며, 더 복잡한 패턴으로 이루어, 더 많은 옵션과 결과들을 생각합니다.



They tend to be contextual, holistic thinkers, what I call web thinkers. 

그들은 정황적으로, 전체적으로 생각을 하는 'web thinker'인 편이죠. 



Men tend to -- and these are averages -- tend to get rid of what they regard as extraneous, 

남성들은, 평균적으로, 그들이 외부적으로 고려하는 것들을 제거합니다. 



focus on what they do, and move in a more step-by-step thinking pattern. 

그들의 일에 집중하고, 단계에 따라 생각하는 패턴으로 일합니다.



They're both perfectly good ways of thinking.

둘다 생각하기 좋은 방식입니다.



We need both of them to get ahead.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둘다 필요합니다.



In fact, there's many more male geniuses in the world. 

실제로, 세상에는 남성 천재들이 더 많습니다. 



And there's also many more male idiots in the world. 

그리고 또한 세상에는 남성 바보들이 더 많습니다. 



When the male brain works well, it works extremely well. 

남성 두뇌가 잘 돌아갈 때는, 굉장히 일을 잘 합니다.



And what I really think that we're doing is, we're moving towards a collaborative society, 

그리고 제가 생각하기에는 우리는 협력적인 사회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a society in which the talents of both men and women are becoming understood and valued and employed. 

남녀 둘다의 재능을 이해하고, 존중되고 사용되는 사회를 말합니다. 



But in fact, women moving into the job market is having a huge impact on sex and romance and family life. 

하지만 여성들이 점점 더 일함으로써 섹스, 로맨스와 가정 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Foremost, women are starting to express their sexuality. 

먼저, 여성들은 그들의 성별을 표현하기 시작했습니다.



I'm always astonished when people come to me and say, "Why is it that men are so adulterous?" 

사람들이 저한테 와서 '왜 남성들은 그렇게 간통할까요?' 라고 물을 때 항상 놀랍니다.



"Why do you think more men are adulterous than women?" 

저는 '왜 당신은 남성보다 여성이 더 간통하다고 생각하지요?' 라고 물으면,



"Well, men are more adulterous!" 

'아 그냥, 남자들이 더 간통합니다!'라고 대답합니다.



And I say, "Who do you think these men are sleeping with?" 

그러면 저는 이렇게 말합니다: '이 남자들이 누구와 잔다고 생각합니까?'



And -- basic math! 

기초적인 산수이죠! 



Anyway. 

어쨌든.



In the Western world, women start sooner at sex, have more partners, express less remorse for the partners that they do, 

서양 사회에서는, 여성들이 더 일찍 성관계를 가지며, 더 많은 짝을 가지며, 이에 대해 덜 후회하며,



marry later, have fewer children, leave bad marriages in order to get good ones. 

더 늦게 결혼하며, 더 적게 아이를 가지며, 행복한 결혼을 찾으러 불행한 결혼들을 떠납니다.



We are seeing the rise of female sexual expression. 

우리는 여성 성별 표현의 상승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And, indeed, once again we're moving forward to the kind of sexual expression that we probably saw on the grasslands of Africa a million years ago, 

그리고 아마 몇백만년 전 아프리카 초원에서나 봤을 성별 표현으로 우리는 다가가고 있습니다. 



because this is the kind of sexual expression that we see in hunting and gathering societies today. 

왜냐하면 오늘날의 사냥과 채집의 사회에서 보는 성별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We're also returning to an ancient form of marriage equality. 

그리고 우리는 오래된 결혼 동등함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They're now saying that the 21st century is going to be the century of what they call the "symmetrical marriage," or the "pure marriage," or the "companionate marriage." 

21세는 '대칭적인 결혼', '순수한 결혼' 및 '우애 결혼'인 세기가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This is a marriage between equals, 

동등한 사람들끼리의 결혼입니다. 



moving forward to a pattern that is highly compatible with the ancient human spirit. 

오래된 인간 정신과 극히 호환성이 있는 패턴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We're also seeing a rise of romantic love. 

우리는 또한 로맨틱 사랑의 상승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91 percent of American women and 86 percent of American men would not marry somebody who had every single quality they were looking for in a partner, if they were not in love with that person. 

미국 여성의 91%와 미국 남성의 86%가 짝에서 찾는 모든 특징을 가졌어도 사랑하지 않는다면 결혼하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People around the world, in a study of 37 societies, want to be in love with the person that they marry. 

전세계 곳곳에 사람들이, 37사회를 연구한 실험에서, 결혼하는 사람과 사랑에 빠져있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Indeed, arranged marriages are on their way off this braid of human life. 

중매 결혼들은 현재 인간 삶에서 사라지고 있습니다. 


15:04

I even think that marriages might even become more stable because of the second great world trend. 

심지어 저는 이 두 번째의 세계 트렌드 때문에 결혼들이 더 안정적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The first one being women moving into the job market, the second one being the aging world population. 

첫 번째는 여성들이 취업 시장으로 움직이는 것이고, 두 번째는 노화하는 세계 인구입니다. 



They're now saying that in America, that middle age should be regarded as up to age 85. 

미국에서는 중년 나이가 85살까지라고 여겨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Because in that highest age category of 76 to 85, as much as 40 percent of people have nothing really wrong with them. 

왜냐하면 제일 높은 나이 범위인 76에서 85 중에서는 오로지 40%까지 진정으로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So we're seeing there's a real extension of middle age. 

그래서 우리는 중년 나이의 진정한 연장을 보고 있습니다. 



For one of my books, I looked at divorce data in 58 societies. 

제 책들 중 하나를 위해서, 58개 사회의 이혼 자료들을 보았습니다. 



And as it turns out, the older you get, the less likely you are to divorce. 

그 결과, 늙을 수록 이혼할 가능성이 준다는 것입니다. 



So the divorce rate right now is stable in America, and it's actually beginning to decline. 

미국에서 이혼률이 현재 안정적이고, 실제로 감소하기 시작했습니다. 



It may decline some more. 

조금 더 감소할 수 있습니다.



I would even say that with Viagra, estrogen replacement, hip replacements and the incredibly interesting women -- 

그리고 비아그라, 에스트로겐 대체, 히프 대체들, 및 굉장히 흥미로운 여성들 - 



women have never been as interesting as they are now. 

여성들은 그 어느 때보다 지금처럼 흥미롭지 않았습니다.



Not at any time on this planet have women been so educated, so interesting, so capable. 

이 행성에서 그 어느 때보다 여자들이 더 교육 받고, 흥미롭고, 능력 있지 않았습니다. 



And so I honestly think that if there really was ever a time in human evolution when we have the opportunity to make good marriages, that time is now. 

솔직히 제 생각에는 인간 진화 중 좋은 결혼을 맺을 기회가 있더라면 그 시간은 지금입니다. 



However, there's always kinds of complications in this. 

그러나, 언제나 문제점들이 있습니다.



These three brain systems -- lust, romantic love and attachment -- don't always go together. 

세 뇌 시스템들은 - 정욕, 로맨틱 사랑과 애착 - 언제나 같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They can go together, by the way. 

같이 작동될 때도 있습니다. 



That's why casual sex isn't so casual. 

그래서 캐쥬얼 섹스는 캐쥬얼하지 않습니다.



With orgasm you get a spike of dopamine. 

오르가즘을 겪으면 도파민이 치솟습니다.



Dopamine's associated with romantic love, 

도파민은 로맨틱 사랑과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and you can just fall in love with somebody who you're just having casual sex with. 

그리고 캐쥬얼 섹스를 하는 사람과 사랑에 빠질 수 있습니다. 



With orgasm, then you get a real rush of oxytocin and vasopressin -- those are associated with attachment. 

오르가즘을 겪으면 애착과 연관된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이 분비됩니다.






This is why you can feel such a sense of cosmic union with somebody after you've made love to them. 

그래서 누군가과 사랑을 나눴을 때 무한한 조합을 느낄 수 있습니다. 



But these three brain systems: 

하지만 이 세 뇌 시스템들은 - 



lust, romantic love and attachment, aren't always connected to each other. 

정욕, 로맨틱 사랑과 애착 - 언제나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You can feel deep attachment to a long-term partner while you feel intense romantic love for somebody else, 

장기간 짝에서 깊은 애착을 느낄 수 있지만 다른 사람에게 강렬한 로맨틱 사랑을 느낄 수 있고, 



while you feel the sex drive for people unrelated to these other partners. 

그들과 다른 사람들에게 성욕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In short, we're capable of loving more than one person at a time. 

요약해서, 우리는 한 때에 한 사람 이상 사랑할 수 있습니다. 



In fact, you can lie in bed at night and swing from deep feelings of attachment for one person to deep feelings of romantic love for somebody else. 

밤에 침대에 누워있을 때 한 사람을 향한 깊은 애착과 다른 사람을 향한 깊은 로맨틱 사랑 사이에서 흔들릴 수 있습니다.



It's as if there's a committee meeting going on in your head as you are trying to decide what to do. 

어떻게 해야될 지 결정하려는 머릿 속에 위원회 미팅이 있듯이 말입니다.



So I don't think, honestly, we're an animal that was built to be happy; 

그래서 솔직히 저는 행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동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we are an animal that was built to reproduce. 

우리는 생식하기 위해 만들어진 동물입니다.



I think the happiness we find, we make. 

 저는 행복은 우리가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And I think, however, we can make good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그리고 서로와 좋은 관계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So I want to conclude with two things. 

저는 두 가지와 함께 결론을 맺고 싶습니다.



I want to conclude with a worry, and with a wonderful story. 

저는 걱정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어 멋진 이야기도 있습니다.



The worry is about antidepressants. 

항우울증에 대한 걱정입니다.



Over 100 million prescriptions of antidepressants are written every year in the United States. 

미국에서 몇백만이 넘는 항우울증 처방이 쓰여집니다.



And these drugs are going generic. 

그리고 이 약들은 일반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They are seeping around the world. 

세계 전체에 스며들고 있습니다.



I know one girl who's been on these antidepressants, SSRIs, serotonin-enhancing antidepressants -- since she was 13. 

저는 13살 때부터 항우울증, 세로토닌-향상하는 SSRI, 세로토닌-향상하는 항우울증을 복용하는 여자를 압니다.



She's 23. She's been on them ever since she was 13. 

그녀는 23입니다. 그녀는 13살 때부터 약을 먹기 시작했습니다. 



I've got nothing against people who take them short term, when they're going through something horrible. 

끔찍한 일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단기간 복용하는 것에 대해서 이의는 없습니다.




They want to commit suicide or kill somebody else. 

그들은 자살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살해하고 싶어합니다.



I would recommend it. 

그들에겐 추천하고 싶습니다.



But more and more people in the United States are taking them long term. 

하지만 미국에서는 더더욱 많은 사람들이 장기간 복용하고 있습니다.



And indeed, what these drugs do is raise levels of serotonin. 

그리고 이 약들은 세로토닌의 양을 증가시킵니다. 



And by raising levels of serotonin, you suppress the dopamine circuit. 

세로토닌을 증가시키면, 도파민 회로를 막습니다.



Everybody knows that.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Dopamine is associated with romantic love. 

도파민은 로맨틱 사랑과 연관이 있습니다.



Not only do they suppress the dopamine circuit, but they kill the sex drive.

도파민 회로를 막는 것뿐만 아니라, 성욕도 죽입니다.



And when you kill the sex drive, you kill orgasm. 

성욕을 죽이면 오르가즘도 죽습니다. 



And when you kill orgasm, you kill that flood of drugs associated with attachment. 

그리고 오르가즘을 죽이면, 애착과 연관된 호르몬들도 다 죽입니다. 



The things are connected in the brain. 

뇌의 것들은 다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And when you tamper with one brain system, you're going to tamper with another. 

뇌의 한 시스템에 간섭하면, 다른 시스템도 간섭합니다.



I'm just simply saying that a world without love is a deadly place. 

저는 단지 사랑이 없는 세상은 치명적인 곳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So now -- 

그래서 - 



Thank you. 

감사합니다. 



I want to end with a story. 

저는 이야기로 끝내고 싶습니다. 



And then, just a comment. 

그리고, 코멘트도도요. 



I've been studying romantic love and sex and attachment for 30 years. 

저는 30년 동안 로맨틱 사랑과, 섹스와 애착을 연구해 왔습니다.



I'm an identical twin; I am interested in why we're all alike. 

저는 일란성 쌍둥이입니다. 우리가 왜 비슷한지 저는 궁금합니다. 



Why you and I are alike, why the Iraqis and the Japanese and the Australian Aborigines and the people of the Amazon River are all alike. 

왜 당신과 내가 같은지, 왜 이라크인들, 일본인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 및 아마존 사람들이 비슷한지 말입니다. 



And about a year ago, an Internet dating service, Match.com, came to me and asked me if I would design a new dating site for them. 

한 1년 전, 인터넷 연애 서비스인 Match.com이 제가 새로운 연애 사이트를 디자인해 줄수 있는지 물어봤습니다.



I said, "I don't know anything about personality. 

저는, '성격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릅니다. 



You know? I don't know. 

여러분은 아십니까? 저는 모릅니다. 



Do you think you've got the right person?" 

제가 맞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나요?'



They said, "Yes." 

그들은 '예'라고 대답했습니다. 



It got me thinking about why it is that you fall in love with one person rather than another. 

왜 다른 사람이 아닌 그 한 사람과 사랑에 빠지게 되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That's my current project; it will be my next book. 

이것이 제 현재 프로젝트이며 제 다음 책 주제가 될 것입니다.



There's all kinds of reasons that you fall in love with one person rather than another. 

왜 다른 이가 아닌 그 한 사람과 사랑에 빠지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Timing is important. 

타이밍이 중요합니다. 



Proximity is important. 

가까움이 중요합니다.



Mystery is important. 

신비성이 중요합니다. 



You fall in love with somebody who's somewhat mysterious, in part because mystery elevates dopamine in the brain, 

약간 신비한 사람과 사랑에 빠지는 부분적인 이유는 신비성이 뇌의 도마핀을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probably pushes you over that threshold to fall in love. 

아마 사랑에 빠지게 되는 한계를 넘게 말입니다.



You fall in love with somebody who fits within what I call your "love map," an unconscious list of traits that you build in childhood as you grow up. 

제가 'love map'이라고 부르는, 조건에 맞는 사람과 사랑에 빠집니다. 자라면서 무의식적으로 지은 특징들입니다.



And I also think that you gravitate to certain people, actually, with somewhat complementary brain systems. 

그리고 저는 특정한 사람들, 보완적인 뇌 시스템을 가진 사람들에게 끌린다고 생각합니다. 제



And that's what I'm now contributing to this. 

제가 기여하는 것이 이 것입니다. 



But I want to tell you a story, to illustrate. I've been carrying on here about the biology of love. 

사랑의 생물학에 대해 말했던 것을 보여주는 이야기 하나를 말하고 싶습니다.



I wanted to show you a little bit about the culture of it, too, the magic of it. 

그리고, 사랑의 문화에 대해, 마법에 대해서도 조금 보여주고 싶습니다. 



It's a story that was told to me by somebody who had heard it just from one -- probably a true story. 

해당 인물에게서 들은 사람이 저에게 얘기해 준 이야기입니다. 아마 실화일 것입니다. 한 대학원생의 이야기입니다. 



It was a graduate student -- I'm at Rutgers and my two colleagues -- Art Aron is at SUNY Stony Brook. 

저는 제 두 동료는 Rutgers에 있고, Art Aaron은 SUNY Stonybrook에 있습니다. 



That's where we put our people in the MRI machine. 

거기에서 사람들은 자기 공명 영상 기계에 넣습니다. 



And this graduate student was madly in love with another graduate student,

이 대학원생은 다른 대학원생과 미친듯이 사랑에 빠져 있었습니다. 



and she was not in love with him. 

하지만 그녀는 그를 사랑하지 않았습니다. 



And they were all at a conference in Beijing. 

그들은 베이징의 컨퍼런스에 있었습니다.



And he knew from our work that if you go and do something very novel with somebody, 

그리고 그는 연구에서 나왔듯이, 누군가와 새로운 것을 접하면 뇌의 도파민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you can drive up the dopamine in the brain, and perhaps trigger this brain system for romantic love. 

그리고 로맨틱 사랑을 위한 뇌 시스템을 자극할 지도 모르죠. 



So he decided he'd put science to work. 

그래서 그는 과학을 실험해 보기로 결정했습니다.



And he invited this girl to go off on a rickshaw ride with him. 

그리고 여자한테 같이 인력거를 타러 가자고 초대했습니다. 



And sure enough -- I've never been in one, but apparently they go all around the buses and the trucks and it's crazy and it's noisy and it's exciting. 

저는 한 번도 타 본 적이 없지만 버스와 트럭들을 돌아다니며, 산만하고, 시끄럽고 흥분시키게 했습니다. 



He figured that this would drive up the dopamine, and she'd fall in love with him. 

그는 이 게 도파민을 증가시키고 그녀가 그와 사랑에 빠질 거라고 추측했습니다.



So off they go and she's squealing and squeezing him and laughing and having a wonderful time. 

그래서 탔을 때 그녀는 소리 지르고, 그를 꽉 쥐고, 웃고 좋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An hour later they get down off of the rickshaw, and she throws her hands up and she says, "Wasn't that wonderful?" 

 한 시간 후 인력거에서 내릴 때, 그녀는 손을 올리며 '너무나도 멋지지 않았니?'라고 말하며,






And, "Wasn't that rickshaw driver handsome!" 

'그 인력거 운전사 너무나도 잘생기지 않았니!'라고 말했습니다.



There's magic to love! 

사랑에는 마법이 있습니다!



But I will end by saying that millions of years ago, we evolved three basic drives: 

결론적으로, 몇 백만년전 3개의 기본 욕구가 진화했습니다: 



the sex drive, romantic love and attachment to a long-term partner. 

성욕, 로맨틱 사랑과 장기간 짝에 대한 애착입니다.



These circuits are deeply embedded in the human brain. 

이 회로들은 인간 뇌의 깊숙히 묻혀있습니다.



They're going to survive as long as our species survives on what Shakespeare called "this mortal coil." 

우리 종이 생존할 때까지, 세익스피어가 '이 필멸의 고리'라고 부르는 것을, 그것들도 생존할 것입니다. 



Thank you. 

감사합니다.



https://www.ted.com/talks/helen_fisher_why_we_love_why_we_cheat/transcript?language=ko







So if you live on planet Earth and you're one of seven billion people that eats food every day, I need you to pay attention, 

지구에 살고 계시고 매일 식사를 하는 70억 인구 중 한 분이시라면 집중해주세요.



because over the next three decades, we will need to address one of the most critical global challenges of our generation. 

향후 30년이 넘도록 우리는 우리 세대의 가장 중요한 전세계적인 과제 중 하나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And I'm not talking about climate change. 

그리고 저는 기후 변화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I'm talking about food and agriculture. 

저는 음식과 농업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In 2050, our global population is projected to reach 9.8 billion, with 68 percent of us living in urban city centers. 

2050년에 전 세계 인구는 98억 명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중 68%는 도심에 살 것입니다.



In order to feed this massive population, we will need to increase our agricultural output 

이 엄청난 인구를 먹여 살리려면, 우리는 농업 성과를 높여야 합니다.



by 70 percent over current levels.

현재 수준의 70%를 늘여야 하죠.



 Just to put this number into perspective, 

이 수치를 넓게 보면,



we will need to grow more food in the next 35 to 40 years than the previous 10,000 years combined. 

우리는 향후 35-40년 사이에 과거 만년 동안 생산량을 모두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해야 합니다.



Put simply, not only is our global population becoming bigger, 

간단히 말해서 전세계 인구가 커질 뿐 아니라 더 밀집될 것이고



but it's also getting denser, and we will need to grow significantly more food using significantly less land and resources. 

훨씬 더 적은 땅과 자원으로 훨씬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해야 할 것입니다. 



Complicating our current efforts to address these major demographic shifts are the challenges facing the agricultural industry today. 

이런 주요 인구학적 변화를 해결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오늘날 농업의 도전과제들입니다.



Globally, one third of all the food that we produce is wasted, 

전세계적으로 우리가 생산하는 식량의 3분의 1이 버려집니다.



acquitting to 1.6 billion tons of food that spoiled on the way to the market or expired in our refrigerators or were simply thrown out by supermarkets and restaurants at the end of the day. 

이는 16억톤에 해당하는 음식인데, 유통 과정 중 상하거나, 냉장고에서 유통기한이 다 되거나, 하루의 끝에 수퍼마켓이나 음식점에서 그저 버려지는 것들입니다.



Every single year, up to 600 million people will get sick eating contaminated food, 

매해 6억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오염된 음식을 먹고 탈이 나는데, 



highlighting the challenge that we have of maintaining global food safety. 

전 세계 식품 안전성 유지라는 과제를 부각시켜줍니다.



And, maybe unsurprisingly, the agricultural industry is the single largest consumer of fresh water, accounting for 70 percent of global usage. 

그리고 아마 놀랍지 않게도 농업이 담수를 소모하는 최대의 단일 소비 주체이고 전세계 사용량의 70%를 차지합니다.



Now, you'll be relieved to know that the agricultural industry and that the global movement by universities, companies 

여러분께서는 이를 아시면 안심이 되실 것입니다. 농업 산업과 대학교, 회사,



and NGOs is putting together comprehensive research and developing novel technology to address all of these issues. 

그리고 NGO 단체들의 전세계적인 운동이 이 모든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광범위한 연구와 새로운 기술 개발을 통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And many have been doing it for decades. 

그리고 많은 이들이 이를 수십년 동안 해왔죠.



But one of the more recent innovations in food production being deployed in industrial parks in North America, 

하지만 더 최근에 이루어진 식량 생산의 혁신 중 하나는 북미 공업 단지, 



in the urban city centers of Asia, and even in the arid deserts of the Middle East is controlled environment agriculture. 

아시아의 도심, 그리고 심지어 중동의 건조한 사막에서도 시행되고 있는 제어 환경 농업입니다.



Controlled environment agriculture is actually just a fancy way of saying weather- or climate-proof farming, 

제어 환경 농업은 사실 날씨 또는 기후에 영향 받지 않는 농업을 일컫는 근사한 말이고,



and many of these farms grow food three-dimensionally in vertical racks, 

다수의 이런 농장들은 식량을 3차원적인 수직 받침대에서 기릅니다. 



as opposed to the two dimensions of conventional farms. 

관례적인 2차원적인 농장에 대비해서 말이죠.



And so this type of food production is also referred to as indoor vertical farming. 

이런 종류의 식량 생산은 또한 실내 수직 농업이라고 불립니다. 



I've been involved in the indoor vertical farming space for the past five and a half years, 

저는 실내 수직 농업 공간 프로젝트에 지난 5년 반 동안 참여해왔고, 



developing technology to make this type of food production more efficient and affordable. 

이러한 식량 생산 방식을 더욱 효율적이고 가격을 감당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한 기술을 개발해 왔습니다.



This picture was taken outside of a decommissioned shipping container that we converted into an indoor farm and then launched into the heart and the heat of Dubai. 

이 사진은 해체된 선박 컨테이너 외부에서 찍은 사진인데 이는 우리가 실내 농장으로 개조해서 두바이의 뜨거운 심장부에 설치한 것입니다.






Indoor vertical farming is a relatively recent phenomena, commercially speaking, 

실내 수직 농업은 비교적 최신 현상으로 여겨집니다. 상업적으로 이야기하자면,



an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consumers care more about food safety and where their food comes from, 

그 이유는 소비자들이 식품 안전성과 식량의 원산지에 더욱 신경을 쓰기 때문입니다.



and also, the necessary technology to make this possible is more readily available and lower cost, 

그리고 또한 이를 가능하게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보유 가능해 지고



and the overall cost of food production globally is actually increasing, making this type of food production more competitive. 

전세계적 식량 생산 비용이 실제로 증가하고 있기에 이런 종류의 식량 생산을 더욱 경쟁력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So if you want to build an indoor vertical farm, 

따라서 만약 실내 수직 농장을 짓고 싶으시다면,



you will need to replace some of the conventional elements of farming with artificial substitutes, starting with sunlight. 

농업의 관례적인 요소 일부를 인공적인 것들로 대체하셔야할 겁니다. 햇빛부터 시작해서요.



In indoor vertical farms, natural sunlight is replaced with artificial lighting like LEDs. 

실내 수직 농장에서는 자연광이 LED와 같은 인공광으로 대체됩니다.



While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LEDs being used, the one that we decided to install here is called "full spectrum LEDs," 

많은 서로 다른 종류의 LED가 사용되고 있지만 우리가 여기에 설치하기로 했던 것은 “완전 스펙트럼 LED”인데, 



which was optimized for the type of vegetables that we were growing. 

이는 우리가 키웠던 야채의 종류에 최적화되어 있었습니다.



Also, in order to maximize production for a given space, 

또한 일정한 공간에서 생산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indoor vertical farms also utilize and install racking systems to grow vegetables vertically, 

실내 수직 농장 또한 받침대 시스템을 사용하고 설치하여 야채들을 수직으로 재배해야 합니다.



and some of the biggest facilities stack their production 14 to 16 floors high. 

그리고 몇몇 큰 시설에서는 14층에서 16층 높이까지 쌓아서 생산하죠.



Now most of these farms are hydroponic or aeroponic systems, 

현재 이런 농장의 대부분은 수경 및 수기경 재배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which means that instead of using soil, they use a substitute material like polyurethane sponges, biodegradable peat moss 

흙 대신 폴리우레탄 스폰지, 생분해 물이끼와 같은 대체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and even use inorganic materials like perlite and clay pellets. 

심지어 펄라이트나 찰흙 알갱이같은 무생물 재료를 사용하기도 하죠.



Another unique aspects about these farms is that they use a precise nutrient formula that is circulated and recycled throughout the facility, 

이런 농장의 또다른 독특한 면은 그들이 시설 전체에서 순환되고 재활용되는 정확한 영양분 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and this is pumped directly to the vegetables' root zone to promote plant growth. 

그리고 이것은 식물의 성장 촉진을 위해 직접 야채의 뿌리로 주입됩니다.



And lastly, these farms use a sophisticated monitoring and automation system to significantly increase productivity, efficiency and consistency,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농장들은 생산력, 효율성과 일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정교한 모니터링과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and these tools also provide the added benefit of producing food that is more traceable and safe. 

또한 이러한 기술들은 생산되는 음식들을 더 안전하게 그리고 추적가능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Some of the obvious benefits of growing food in this way is that you have year-round vegetable production, 

이런 기술들의 명백한 장점들은 일년 내내 야채를 생산 할수있는 것과 



you have consistent quality and you have predictable output. 

일관된 품질을 얻고 생산량이 예측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Some of the other major benefits include significant resource use efficiencies, particularly water. 

일부 다른 주요 장점들은 주요 자원 특히 그 중 물을, 효율성있게 사용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For every kilogram of vegetables grown in this way, 

이렇게 자라난 야채들은 1kg 당 기존의 농업방법과 비교하였을때,



hundreds of liters of water is conserved compared to conventional farming methods. 

수백 리터의 물이 보존됩니다. 



And with the water savings come similar savings in the use of fertilizer. 

그리고 물 절약과 동시에 비료 사용도 절약 될 수 있습니다.



One of the highest-yielding farms grows over 350 times more food per square meter than a conventional farm. 

수확량이 가장 많은 농장 중 하나는 기존 농장 보다 평방 미터 당 350배 이상의 식량을 재배합니다. 



And weatherproofing means complete control of incoming contaminants and pests, completely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use of chemical pesticides. 

그리고 '내후성'이란 유입되는 오염 물질 및 해충의 완전한 통제하여 화학 살충제의 필요성을 제거함을 의미합니다. 



And not to be mistaken, these farms can produce enormous amounts of food, 

다시 한번 말하자면, 하루에 3만 개의 야채를 생산하는 가장 큰 시설중에 하나를 통해



with one of the biggest facilities producing 30,000 heads of vegetables a day. 

이 농장들은 엄청난 양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However, as with any new technology or innovation, there are some drawbacks. 

하지만 모든 새로운 기술과 혁신에는 몇 가지 단점들이 따르기 마련입니다.



As you would imagine, growing food in this way can be incredibly energy-intensive. 

여러분께서 상상 하시는 것처럼, 이렇게 식량재배를 하는 것은 매우 에너지 집약적입니다. 



Also, these farms can only produce a small variety of vegetables commercially and the overall cost of the production still is quite high. 

또한 농장들은 상업적으로 오직 적은 종류의 야채만 생산 가능하고, 여전히 생산 비용은 꽤 높습니다. 



And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some of the biggest and most sophisticated farms are making significant investments, starting with energy efficiency. 

그리고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몇몇 가장 크고 복잡한 농장들은 에너지 효율성부터 시작해 상당한 투자를 하고있습니다.



In order to reduce the high energy usage, there are efforts to develop higher-efficiency LEDs, to develop lasers optimized for plant growth 

높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효율적인 LED를 개발하고 식물 성장에 최적화된 레이저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and using even fiber-optic cables like these to channel sunlight directly into an indoor vertical farm during the day to reduce the need for artificial lighting. 

그리고 낮에는 인공 불빛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 심지어 이와 같은 광섬유를 사용하여 실내 수직 농장에 직접적으로 햇빛이 들게끔합니다.



Also, to reduce the labor costs associated with hiring a more sophisticated, more urban and also more high-skilled labor force, robotics in automation is used extensively in large-scale facilities. 

또한 정교하고 도시적이며 숙련된 노동력 사용으로 인한 인건비의 절감을 위해서 자동화된 로봇들은 대규모 시설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And you can never really be too resource-efficient. 

그리고 여러분은 결코 완벽하게 자원 효율적일 수 없습니다.



Building indoor vertical farms in and around urban city centers can help to shorten the agricultural supply chain and also help to maintain the nutritional content in vegetables. 

실내 수직 농장 건설로 인하여 도시 중심가의 농작물 연쇄 공급과정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야채의 야채의 영양 성분을 유지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Also, there are food deserts in many countries that have little to no access to nutritious vegetables, 

또한 많은 국가에는 음식이 거의 전혀 접근 할 수 없는 음식 사막화가 있습니다.



and as this industry matures, 

하지만 이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it will become possible to provide more equitable access to high-quality, 

심지어 대부분의 혜택 받지 못하는 공동체에도 고품질과



highly nutritious vegetables in even the most underprivileged of communities. 

고양분의 야채들에 대한 공평한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And finally, and this is really exciting for me personally,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가는 것인데, 



indoor vertical farming can actually be integrated seamlessly into the cityscape to help repurpose idle, underutilized and unused urban infrastructure. 

실내 수직 농업은 실제로 도시에 매끄럽게 통합되어 충분히 활용되지 않았던 도시 하부구조를 다른 용도로 바꾸는 데 도움을 줍니다.



In fact, this is already happening today. 

사실 이는 이미 일어나고 있습니다.



Ride-sharing services have taken hundreds of thousands of cars off the road and they have significantly reduced the need for parking. 

승차 공유 서비스는 도로의 수많은 자동차를 줄였고, 주차의 필요성을 상당히 줄였습니다.



This is a farm that we installed in central Beijing in an underutilized underground parking structure to grow vegetables for the nearby hotels. 

이것은 우리가 베이징의 중심부에 위치한 활용도가 낮은 근처호텔의 지하 주차장을 이용하여 지은 야채를 재배하는 한 농장 입니다.



Underutilized infrastructure is not simply limited to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projects, 

활용도가 낮은 하부구조들은 단순히 대규모 토목 프로젝트에 제한 되어있지 않습니다. 



and they can also include smaller spaces like idle restaurant corners. 

그리고 거기에는 사용하지 않는 음식점 코너같이 좁은 곳도 포함됩니다.



This is an example of a farm that we installed directly into the partition of a hotel entrance in order to grow fresh herbs and microgreens on-site for the chefs. 

이것은 우리가 요리사를 위해 신선한 허브와 녹색 채소들을 현장에서 키우기 위해 호텔 입구를 분할하여 설치한 농장의 예입니다. 



Honestly, if you look around, you will find underutilized space everywhere, under, around and inside of urban developments. 

사실 주변을 둘러 보면, 도시 개발의 아래, 주변 혹은 안쪽 등 어디에서나 활용하지 않는 공간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This is a farm that we installed into an empty office corner to grow fresh vegetables for the employees in nearby cafes. 

이것은 우리가 근처 카페 직원들을 위한 신선한 야채를 재배하기 위해 빈 사무실 코너에 설치 한 농장입니다.



I get to be a part of all these cool projects 

저는 이 모든 멋진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and working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to improve access and affordability to fresh and nutritious produce, hopefully soon by anyone anywhere, 

그리고 이 농업 산업에서 신선하고 영양가 있는 농산물에 대한 바라건대 곧 모든 곳에서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접근성과 저렴한 가격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했는데,



has been the greatest joy and also the most humbling and intellectually challenging thing I've ever done. 

이는 제 최대의 기쁨이며 또한 현재까지 제가 했던 것 중 가장 지적으로 도전적이며 겸손했던 일입니다. 



And now that I've convinced you that agriculture can be quite sexy, 

그리고 이제 제가 농업이 상당히 매력적일 수 있다는 것을 확신시켰으니,



you'll be surprised and shocked to know that I still have trouble fully articulating how and why I decided to work, and continue to work,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제가 농업 산업에서 어떻게 그리고 왜 일을 계속하기로 결심했는지 아직도 완전히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면 놀라움과 충격을 받을 것입니다.



But a couple of years ago, I found a rather unique answer hiding in plain sight. 

그러나 몇 년 전, 저는 잘 보이지 않던 독특한 답을 찾았습니다.



You see, I read an article about how your name, particularly your last name, can have a strong influence on everything from your personality to your professional career. 

보시면, 저는 어떻게 하여 이름 중 특히 성이 여러분의 성격부터 전문적인 직업까지 모든 것에 대해 얼마나 큰 영향을 줄수있는 지에 대한 기사를 읽은적이 있습니다.



This is my Japanese last name: Oda. 

오다, 이게 저의 일본 성입니다.






And the characters translate literally into "small farm." 

그리고 이 단어들은 말 그대로 "작은 농장"의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Thank you. 

감사합니다.



https://www.ted.com/talks/stuart_oda_are_indoor_vertical_farms_the_future_of_agriculture?language=ko







Over the past couple of days, as I've been preparing for my speech, 

지난 며칠동안 오늘 강연을 준비했는데요,



I've become more and more nervous about what I'm going to say and about being on the same stage as all these fascinating people.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초조해졌어요 이렇게 훌륭한 분들과 같은 자리에 서야 한다는 것과 무엇을 얘기해야 하는지 걱정스러웠거든요.



Being on the same stage as Al Gore, who was the first person I ever voted for. And -- 

제가 처음으로 투표한 알 고어씨와 같은 연단에 서야한다는 것도 그렇고.. 그리고 --



So I was getting pretty nervous and, you know, I didn't know that Chris sits on the stage, 

그리고, 지금도 엄청나게 긴장되는데요.. 왜냐면.. 크리스씨가 저기 연단에 앉아있을 줄 몰랐거든요,



and that's more nerve-racking. 

그래서 더욱 긴장되네요.



But then I started thinking about my family. 

그래서 전 일단 가족을 떠올려 봤습니다.



I started thinking about my father and my grandfather and my great-grandfather, 

저희 아버지, 할아버지, 그리고 증조할아버지,,



and I realized that I had all of these Teds going through my bloodstream -- 

그리곤 알게 되었어요 우리 가문에 이렇게 TED와 관련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요--



that I had to consider this "my element." 

제가 바로 그 분들의 피를 물려받은거죠.



So, who am I? 

그럼 전 누굴까요?



Chris kind of mentioned I started a company with my husband. 

크리스씨가 이미 말했듯이, 남편과 함께 회사를 만들었는데요.



We have about 125 people internationally. 

세계적으로 약 125명 정도가 일하고 있습니다.



If you looked in the book, you saw this ... 

책을 보다 보면 아마 이 그림을 보실 수 있을거에요..



which I really was appalled by. 

사실 전 이 그림에 충격을 받았는데요



And because I wanted to impress you all with slides, since I saw the great presentations yesterday with graphs, 

어제 강연에서 그래프를 이용한 멋진 발표들을 보고 저도 좋은 인상을 주고 싶어서 움직이는 그래프를 만들어봤습니다



I made a graph that moves, and I talk about the makeup of me. 

제 얼굴 생김새에 관한 그래프에요.



So, besides this freakish thing, this is my science slide. 

이 별스런 내용은 일단 넘어가구요. 이 슬라이드는 과학에 관한 것입니다.



This is math, and this is science, this is genetics. 

수학이기도 하구요. 과학 그리고 유전학에 관한 내용입니다.



This is my grandmother, and this is where I get this mouth. 

이 분은 저의 할머니입니다. 제 입은 이분에게서 물려받았나봐요.



So -- I'm a blogger, which, probably, to a lot of you, means different things. 

그러니까,, 전 블로거입니다. 여기 계신 많은 분들에게는 좀 다른 의미 일 수도 있겠네요.



You may have heard about the Kryptonite lock brouhaha, 

아마 '크립토나이트 자물쇠' 얘기를 들어 보셨을텐데요,



where a blogger talked about how you hack or break into a Kryptonite lock using a ballpoint pen, and it spread all over. 

한때 난리였죠. 어떤 블로거가 이 크립토나이트 자물쇠를 볼펜하나만으로 여는 방법에 관한 글을 올린거에요.



Kryptonite had to adjust the lock, and they had to address it to avoid too many customer concerns. 

그게 사방에 알려져서, 크립토나이트사는 자물쇠를 개선한다고 발표하고 소비자들을 안심시켜야 했습니다.



You may have heard about Rathergate, 

그리고 레더게이트(Rathergate) 사건도 들어보셨을텐데요,



which was basically the result of bloggers realizing that the "th" in 111 is not typeset on an old typewriter; it's on Word. 

결론만 말하자면.. 블로거들이 '111th'에서 'th'의 식자가 구형 타자기에는 없다는 것과, 워드로 만든 문서임을 알아냈죠.



Bloggers exposed this, or they worked hard to expose this. 

그리고 블로거들은 이 사실을 폭로했습니다.



You know, blogs are scary. 

이 사실을 알아내기 위해서 엄청난 노력을 했죠 블로그는 무섭습니다. 



This is what you see. 

이런 사례들을 봐도 그렇죠.



I see this, and I'm sure scared -- I swear on stage -- shitless about blogs, 

저도 이런 경우를 보면, 정말 무섭습니다 -- 이 자리에서 밝히건데 -- 블로그는 잔인해요.



because this is not something that's friendly. 

다정함이란 찾아볼 수 없거든요.



But there are blogs that are changing the way we read news and consume media, 

하지만, 어떤 블로그들은 우리가 신문을 읽고, 대중매체를 접하는 방법을 바꾸게 만들기도 합니다.



and these are great examples. 

이것들이 좋은 사례죠.



These people are reaching thousands, if not millions, of readers, 

이 사람들이 수천에서 수백만에 달하는 독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and that's incredibly important. 

이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During the hurricane, you had MSNBC posting about the hurricane on their blog, updating it frequently. 

태풍이 왔을 때, MSNBC 방송국은 자신들의 블로그에 태풍관련 글을 올렸고, 계속해서 업데이트를 했습니다.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easy nature of blogging tools. 

손쉬운 블로깅 도구가 있었기에 가능했죠.



You have my friend, who has a blog on PVRs, personal recorders. 

제 친구도 PDR이나 기록장치 같은 디지털기기로 블로깅을 하고 있는데요.



He makes enough money just by running ads, to support his family up in Oregon. 

블로그의 광고를 통해서 돈을 벌고 있고, 가족들의 생활비에 보태고 있죠.



That's all he does now, and this is something that blogs have made possible. 

지금 그는 블로깅을 '직업'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런 점도 블로그가 가진 가능성의 일종이겠죠. 



And then you have something like this, which is Interplast. 

인터플라스트(Interplast)의 사례도 있습니다.



It's a wonderful organization of people and doctors who go to developing nations to offer plastic surgery to those who need it. 

인터플라스트는 개발도상국에서 성형수술이 필요한 사람들을 돕는 의사들과 봉사자들의 모임인데요.



Children with cleft palates get it, and they document their story. 

입술성형을 받은 아이들의 이야기를 블로그에 올리기도 합니다.



This is wonderful. I am not that caring. 

정말 대단해요. 저 같으면 그렇게 못할거에요.



I talk about myself.

이제 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That's what I am. I'm a blogger. 

저는 블로거에요.



I have always decided that I was going to be an expert on one thing, 

전 늘 한가지 분야에서 만큼은 전문가가 되어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and I am an expert on this person, 

그리고 제 전문분야는 이사람에 대한 것이죠.



and so I write about it. 

그래서 이 사람에 대한 글을 씁니다 



it started in 2001, I was 23. 

저는 블로그를 23살 때인 2001년에 시작했습니다.






I wasn't happy with my job, because I was a designer, but I wasn't being really stimulated. 

그때는 제 직업에 만족하지 못했어요 전 디자이너였는데 일에 별로 흥미가 없었습니다.



I was an English major in college. 

영문학을 전공했지만,



I didn't have any use for it, but I missed writing. 

전공을 살릴 기회가 없었죠 전 글쓰는 일을 하고 싶었고



So, I started to write a blog and I started to create things like these little stories. 

그래서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런 짧막한 이야기를 만들어 올렸습니다.



This was an illustration about my camp experience when I was 11 years old, 

이 그림은 제가 11살때 캠프에서의 경험을 그린 것인데요,



and how I went to a YMCA camp, Christian camp, and basically by the end, 

YMCA의 성경학교 캠프에 갔을 때 캠프가 끝날 무렵,



I had made my friends hate me so much that I hid in a bunk, 

친구들이 절 너무나 싫어해서 전 침대에 숨었는데요. 



They couldn't find me, they sent a search party, and I overheard people saying they wish I had killed myself -- jumped off Bible Peak. 

친구들은 절 찾지 못했고, 결국 수색대가 동원되고, 사람들은 이렇게 말했어요 친구들이 절 자살하게 만들어서 바이블 피크에서 뛰어내렸다고요 .



You can laugh, this is OK. 

아, 비웃으셔도 상관없어요. 괜찮습니다.



This is me. 

바로 저에요.



This is what happened to me. 

모두 제가 실제로 겪은 일들입니다.



And when I started my blog, it was really this one goal -- 

그리고, 블로그를 시작할 때 한가지 목표가 있었습니다.



I said, "I am not going to be famous to the world, but I could be famous to people on the Internet." 

"세계적으로 유명인이 되지는 못하더라도 인터넷에서는 유명해져야 겠다고 생각했죠."



And I set a goal. I said, "I'm going to win an award," 

그리고 이제 목표를 이루었고, 상도 받게 됐습니다.



because I had never won an award in my entire life. 

제 일생동안 상이라고는 받은 적이 없었는데.



And I said, "I'm going to win the South by Southwest Weblog award." 

이번에 SXSW.com이 주는 웹블로그 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And I won it -- I reached all of these people, and I had tens of thousands of people reading about my life every day.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고 제 일상의 이야기를 읽은 수만명의 독자들 덕분에 받는 상이죠 



And then I wrote a post about a banjo. 

블로그에는 밴조 악기에 대한 일화도 있는데요.



I wrote a post about wanting to buy a banjo -- 

무슨 내용이냐면 밴조를 구입하고 싶었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a $300 banjo, which is a lot of money. 

 밴조가 한 300불 정도하는데요. 정말 비싸죠.



And I don't play instruments; I don't know anything about music. 

전 다룰 줄 아는 악기도 없고 음악에 대해 아는 것도 없었지만,



I like music, and I like banjos, 

음악이 좋았고, 밴조가 좋았어요,



and I think I probably heard Steve Martin playing, and I said, "I could do that." 

그리고 스티브 마틴의 밴조 연주를 들으면서 "나도 할 수 있다고 생각했죠"



And I said to my husband, "Ben, can I buy a banjo?" 

그래서 남편에게 "벤, 밴조하나 사도 돼?" 라고 물었더니



And he's like, "No." 

"안돼."라고 하더군요 



And my husband -- 

그리고 제 남편은 --



this is my husband, who is very hot -- he won an award for being hot. 

이 사람이 제 남편인데요. 정말 섹시한 남자입니다 '섹시한 남자에게 주는 상'도 받은 적이 있어요



He told me, "You cannot buy a banjo. 

남편이 말하길, "당신..벤조 사면 안돼,



You're just like your dad," who collects instruments. 

당신이나 장인어른이나 똑같아. 악기를 그냥 사모으기만 하잖아"



And I wrote a post about how I was so mad at him, he was such a tyrant -- 

전 남편때문에 화가 치밀어서 블로그에 글을 썼습니다.



he would not let me buy this banjo. 

폭군같은 남편이 밴조도 못 사게 한다고요.



And those people who know me understood my joke --  

저를 아는 사람들은 저의 이런 농담을 이해하겠죠 --



this is Mena, this is how I make a joke at people.

저 미나는 이런 식으로 농담을 하거든요.



Because the joke in this is that this person is not a tyrant,

사실 제 남편은 폭군이나 독재자는 아니에요 농담일 뿐이죠.


this person is so loving and so sweet that he lets me dress him up and post pictures of him to my blog. 

사실 제 남편은 사랑스럽고 부드러운 남자에요 자기를 이렇게 차려 입혀놔도 가만 있거든요 이 사진을 블로그에 올려도 아무 말 안하구요.



And if he knew I was showing this right now -- I put this in today -- he would kill me. 

그래도.. 여기서 이 사진을 공개한 걸 알면 아마 절 죽이려 들지도 모르겠네요.



But the thing was, my friends read it, and they're like, 

아무튼, 제가 이런 글을 올리면, 제 친구들은 그걸 읽습니다 그러면 친구들은 아마,



"Oh, that Mena, she wrote a post about wanting a stupid thing and being stupid." 

"미나가 글을 올렸는데 이상한 걸 사려고 그러고 별 멍청한 짓을 한다고 그러겠죠"



But I got emails from people that said, 

그런데 사람들로부터 이런 메일이 오기도 합니다.



"Oh my God, your husband is such an asshole. 

"세상에, 그런 망할 남편이 다 있나요.



How much money does he spend on beer in a year? 

남편이 술마신다고 일년동안 쓴 돈이 도대체 얼마에요?



You could take that money and buy your banjo. 

그 돈을 뺏어서 밴조를 사세요.



Why don't you open a separate account?" 

아니면 통장을 따로 만들지 그러세요"



I've been with him since I was 17, we've never had a separate bank account. 

17살때부터 남편을 알았지만, 한번도 통장을 따로 만든 적이 없거든요.



They said, "Separate your bank account. Spend your money; spend his money, that's it." 

그리고 이러더군요 "통장을 따로 만들어서 쓸 돈을 각자 쓰면 되는거에요."



And then I got people saying, "Leave him." 

남편과 헤어지라고 한 사람도 있었어요.



I was like, "OK, what? Who are these people? And why are they reading this?" 

그리고 -- 전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좋아, 그런데 이 사람들 도대체 누구길래 내 글을 읽는거지?



And I realized: I don't want to reach these people. 

그리고 깨달았습니다. 이 사람들을 멀리해야 겠다고요.



I don't want to write for this public audience. 

이런 내용을 공개적으로 쓰면 안되겠다고 생각했죠.



And I started to kill my blog slowly. 

그래서 블로깅을 자제하기 시작했습니다.



I'm like, I don't want to write this anymore. 

더이상 글도 쓰기 싫어졌어요. 



Slowly and slowly -- 

아주 서서히-- 



And I did tell personal stories from time to time. 

가끔 개인적인 이야기를 쓰곤 했습니다.



I wrote this one, and I put this up because of Einstein today. 

이건 오늘 쓴 글인데요. 아인쉬타인을 위해 쓴 글입니다.



I'm going to get choked up, 

목이 메이려고 하네요..



because this is my first pet, and she passed away two years ago. 

제 첫번째 애완동물인데요 2년전에 세상을 떠났죠.



And I decided to break from, "I don't really write about my public life," 

결국 다시는 공개적으로 글을 쓰지 않겠다는 결심을 깨뜨렸습니다



because I wanted to give her a little memorial. 

왜냐하면 제 애완동물과의 추억을 좀더 남기고 싶었거든요.



But anyways, it's these sorts of personal stories -- 

아무튼 이런 식의 개인적인 이야기들이죠.



You know, you read the blogs about politics or about media, and gossip and all these things. 

여러분은 정치관련 블로그나 미디어나, 가십거리 같은 것들을 다루는 블로그를 보시죠.



These are out there, but it's more of the personal that interests me, and this is who I am. 

그런 블로그는 많아요. 하지만 전 개인적인 이야기에 관심이 더 많고. 이게 바로-- 이게 바로 저입니다. 



You see Norman Rockwell, and you have art critics say, 

노먼 락웰의 그림을 보고 미술비평가들은 이렇게 말하죠,



"Norman Rockwell is not art. Norman Rockwell hangs in living rooms and bathrooms, and this is not something to be considered high art." 

노먼 락웰의 그림은 예술도 아니라고요 노먼 락웰의 그림은 거실이나 욕실 같은 장소에 걸려있고, 수준 높은 예술로는 평가받지 못합니다 .



And I think th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us as humans. 

전 이렇게 생각해요.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그러니까.. 사람입니다.



These things resonate with us, 

사람은 우리를 감동시키죠.



and, if you think about blogs, you think of high art blogs, 

그리고 블로그 중에서도 수준높은 예술 블로그도 있죠,



the history paintings about, you know, all the biblical stories, and then you have this. 

성경 이야기를 그린 고전미술 같은 걸 다루는 블로그요 반면에 이런 블로그도 있습니다.



These are the blogs that interest me: the people that just tell stories. 

전 이런 블로그가 더 흥미있어요. 평범한 이야기를 다루는 사람들의 블로그죠.



One story is about this baby, and his name is Odin. 

예를 하나 들어드릴께요 이 아기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름은 오딘이구요.



His father was a blogger. 

그 아버지가 블로거입니다.



And he was writing his blog one day, and his wife gave birth to her baby at 25 weeks. 

어느날 그가 글을 하나 올렸어요 부인이 아기를 낳았는데 25주만에 태어났다고요.



And he never expected this. 

예상도 못했던 일이었겠죠.



One day, it was normal; the next day, it was hell. 

평범했던 어느 날이었는데 자고 나니 지옥같이 변한거죠.



And this is a one-pound baby. 

아기 몸무게는 450그램에 불과했습니다.



So Odin was documented every single day. 

매일 오딘에 대한 이야기가 올라왔어요.



Pictures were taken every day: 

사진도 매일 올라왔죠.






day one, day two ... You have day nine -- they're talking about his apnea; 

첫째날, 둘째날.. 9일째가 되었을때, 아기가 무호흡증을 앓고 있다고 했구요;



day 39 -- he gets pneumonia. 

39일째는 폐렴을 앓았습니다.



His baby is so small, and I've never encountered such a -- just -- a disturbing image, 

아기가 정말 작았고 전 한번도 이런.. 그러니까.. 충격적인 사진을 본 적이 없어서..



but just so heartfelt. And you're reading this as it happens, 

진심으로 마음이 아팠고 마치 내 자신의 일처럼 느끼게 되었던 것이죠.



so on day 55, everybody reads that he's having failures:

그리고 55일째 올라온 글은 아기가 호흡도 멈추고, 심장마비도 일으킨다는 내용이었어요.



breathing failures and heart failures, and it's slowing down, and you don't know what to expect. 

심장박동이 점점 느려지고 있고,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몰랐습니다.



But then it gets better. Day 96, he goes home. 

하지만 그 후로 호전되어서, 96일째에는 집에 갈 수 있었습니다.



And you see this post. 

이 글을 좀 보세요.



That's not something you're going to see in a paper or magazine 

이런 이야기는 신문이나 잡지에서는 볼 수 없죠,



but this is something this person feels, and people are excited about it -- 28 comments. 

이건 이 사람의 감정에 대한 것이고 사람들은 그것에 동화됩니다 28개의 덧글이 달렸는데요.



That's not a huge amount of people reading, but 28 people matter. 

엄청나게 많은 사람이 읽은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28명에게는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And today, he is a healthy baby, who, if you read his blog -- 

그리고 이제 아기는 건강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오딘의 블로그를 보고 싶다면,



it's snowdeal.org, his father's blog -- 

아버지의 블로그인 snowdeal.org를 방문하시면 됩니다.



he is taking pictures of him still, 

그는 아직도 오딘의 사진을 올리고 있어요. 



because he is still his son and he is, I think, at his age level right now because he had received such great treatment from the hospital. 

왜냐면 여전히 그의 아들이니까요 그리고 오딘은 그 또래 아이들에 비해 병원에서 많은 치료를 받아왔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So, blogs. So what? 

그래서 블로그란.. 블로그란 뭘까요?



You've probably heard these things before. 

이런 얘기 전에도 들어보셨을거에요.



We talked about the WELL, and about all these sorts of things throughout our online history. 

오늘 WELL 커뮤니티에 대한 이야기도 했고 온라인 역사 전반에 대한 여러가지 이야기를 나눴는데요.



But I think blogs are basically just an evolution, and that's where we are today. 

전 블로그는 기본적으로 진화라고 생각합니다, 오늘날 우리들의 현주소이기도 하죠.



It's this record of who you are, your persona. 

자신이 누구인가에 대한 기록이고, 자신의 본모습이기도 합니다.



You have your Google search, where you say, "What is Mena Trott?" 

구글검색으로 '미나 트롯'을 검색했을 때



And then you find these things and you're happy or unhappy. 

이런 개인적인 이야기들을 나오게 되면, 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죠.



But then you also find people's blogs, and those are the records of people that are writing daily --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블로그도 찾아보면 거기에는 사람들이 매일 쓰는 기록들이 남아 있습니다.



not necessarily about the same topic, but things that interest them. 

같은 주제일 필요는 없어요. 그들이 흥미있어 하는 내용일 뿐입니다.



And we talk about the world flattens, being in this panel, and I am very optimistic -- 

오늘 강연중에 세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는 내용도 있었는데요 전 매우 낙관적으로 봅니다.



whenever I think about blogs, I'm like, 

블로그에 대한 생각을 할 때마다,



"We've got to reach all these people." 

전 세상 사람들과 가까워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Hundreds of millions and billions of people. 

수백만, 수억, 수십억의 사람들과 가까워지고 있는 거죠.



We're getting into China, we want to be there, 

우리는 중국에 진출하려고 합니다. 원했던 일이에요,



but there are so many people that won't have the access to write a blog. 

아시다시피 중국에는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를 만들 기회를 얻지 못합니다.



But to see something like the $100 computer is amazing, 

하지만 100달러짜리 컴퓨터 같은 걸 보면 그저 놀라워요.



because blogging software is simple. 

왜냐하면 블로깅 소프트웨어는 간단하거든요.



We have a successful company because of timing, and because of perseverance, but it's simple stuff -- 

저는 성공적으로 회사를 이끌고 있습니다. 시기가 좋았고 끈기를 가진 덕분이죠. 하지만 간단한 일이었어요 ==



it's not rocket science. 

로켓을 만드는 일도 아닌걸요.



And so, that's an amazing thing to consider. 

고려해 봐야 할 놀라운 점이 바로 그것입니다.



So -- the life record of a blog is something that I find incredibly important. 

그리고, 인생을 기록한다는 점에서 블로그는 무언가.. 대단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And we started with a slide of my Teds, and I had to add this slide, 

오늘 시작할 때 저 주변의 TED인들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이 슬라이드는 반드시 추가해야 했습니다.



because I knew the minute I showed this, my mom -- my mom will see this, 

제가 이걸 보여드리는 걸, 저희 엄마는 어떻게든 이 장면을 보게 되실텐데요,



because she does read my blog 

왜냐면 제 블로그를 읽으시거든요.



and she'll say, "Why wasn't there a picture of me?" 

그러면 아마 이렇게 말하실거에요. "왜 발표 슬라이드에 내 사진이 없는거니?"



This is my mom. 

이 분이 저희 엄마구요.



So, I have all the people that I know of. 

제가 아는 사람들은 여기에 다 있습니다.



But this is basically the extent of the family that I know in terms of my direct line.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이 정도의 규모가 저희 가족입니다.



I showed a Norman Rockwell painting before, and this one, I grew up with, looking at constantly. 

전문용어로는 저의 직계가족이죠 조금 전에 노먼 락웰의 그림을 보여드렸는데요 저는 이 그림을 늘 보면서 자라왔습니다.



I would spend hours looking at the connections, saying, 

가족관계를 한 시간 동안이나 보곤 했죠 이렇게 중얼거리면서요.



"Oh, the little kid up at the top has red hair; so does that first generation up there." 

"아 맨위에 아이는 빨간 머리네, 이 사람이 우리 가족의 1세대구나."



And it's just these little things. 

사소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죠.



This is not science, but this was enough for me to be really interested in how we have evolved and how we can trace our line. 

이건 과학은 아니지만, 저에게는 충분히 흥미로왔습니다. 우리 가족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알 수 있고 가계를 거슬러 올라가 볼 수 있기 때문이죠.



So that has always influenced me. 

전 늘 그런 것들에서 영향을 받아왔습니다.



I have this record, this 1910 census, of another Grabowski -- that's my maiden name -- 

전 이런 기록도 가지고 있어요 이건 1910년도 인구조사표인데요 제 결혼전 이름인 Grabowski와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의 것입니다.



and there's a Theodore, because there's always a Theodore. 

여기 Theodore라는 사람도 있네요. 이게 제가 가진 전부입니다.



This is all I have, a couple of facts about somebody. 

누군가에 대한 몇가지 정보만 갖고 있는 셈이죠.



I have their date of birth, their age, what they did in their household, if they spoke English, 

그들의 생일, 나이, 가정안에서의 위치, 그리고 영어를 쓰는지도요.



and that's it, that's all I know of these people. 

제가 이들에 대해 아는 것은 이게 다에요.



And it's pretty sad, because I only go back five generations, and that's it. 

그리고, 슬픈 사실은 다섯 세대 정도만 거슬러 올라가 보면 그걸로 끝나버립니다.



I don't even know what happens on my mom's side, 

저희 모계는 어떻게 되는지도 모릅니다.



because she's from Cuba and I don't have that many things. 

왜냐하면 어머니는 쿠바태생이고, 그외에는 별로 아는 것이 없어요.



Just doing this, I spent time in the archives -- 

이걸 알아내려고 문서기록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들였습니다.



that's why my husband's a saint -- 

저희 남편이 천사인 이유가 여기에도 있는데요.



I spent time in the Washington archives, just sitting there, looking for these things. 

제가 오랫동안 워싱턴 기록보관소에 앉아서 이 서류들을 뒤지고 있을때,



Now it's online, but he sat through that. 

지금은 다 온라인화되었지만요. 남편은 끝까지 옆에 있어줬거든요. 



And so you have this record and -- This is my great-great-grandmother. 

아무튼 이 기록들을 보셨구요. 그리고 이 분은 저희 고조할머니이십니다.



This is the only picture I have. 

제가 가진 유일한 사진이죠.



And to think of what we have the ability to do with our blogs; 

블로그를 통해서 무얼 할 수 있을까 생각해 보면;



to think about the people that are on those $100 computers, 

이런 생각이 떠오릅니다. 사람들이 100달러짜리 PC를 이용해서



talking about who they are, sharing these personal stories -- 

자신이 누군지 얘기하고, 개인적인 이야기들을 나누는 거죠.



this is an amazing thing. 

이건 정말 놀라운 일이에요. 



Another photo that has greatly influenced me, or a series of photos, 

저에게 많은 영향을 준 다른 사진을 보여드리죠. 여러 장의 사진인데요.



is this project that's done by an Argentinean man and his wife. 

어느 아르헨티나 남성이 자신의 와이프와 함께 한 프로젝트입니다. 






And he's basically taking a picture of his family every day for the past, 

단순히 가족사진을 매일 찍어 둔 것입니다. 



what is '76? -- 20 ... Oh my God, I'm '77 -- 29 years? 

과거 76년부터 20년전, 아 이런, 제가 77년생이니까 29년인가요?



Twenty-nine years. 

29년동안이네요.



There was a joke, originally, about my graph that I left out, which is: 

사실, 오늘 발표에서는 빼 버린 그래프에 관한 재밌는 얘기가 있는데요.



You see all this math? 

수학있잖아요?



I'm just happy I was able to add it up to 100, because that's my skill set. 

전 100까지 더하기가 되는 것만해도 다행이에요. 제 능력이 그 정도죠.



So you have these people aging, and now this is them today, or last year. 

그러니까 여기 -- 가족들 나이먹는 게 보이시죠, 그리고 이건 오늘, 아니면 작년 모습입니다.



And that's a powerful thing to have, to be able to track this. 

이렇게 과거를 돌아 볼 수 있다는 것이 참 대단한 점이죠.



I wish that I would have this of my family. 

우리 가족도 이렇게 해 봤으면 좋겠네요.



I know that one day my children will be wondering -- 

어쩌면 언젠가는 제 아이들도 궁금해 할거라 생각해요 -- 



or my grandchildren, or my great-grandchildren, 

제 손자나, 아니면 증손자들도 그렇겠죠, 



if I ever have children -- what I am going to -- who I was. 

아이가 생긴다면요 아이를 가질 계획이거든요. 아이들이 나에 대해 궁금해 하리라고,



So I do something that's very narcissistic -- 

그런 자아도취에 빠지곤 합니다. 



I am a blogger -- that is an amazing thing for me, 

저는 블로거 입니다 -- 그게 저의 놀라운 점이죠.



because it captures a moment in time every day. 

블로깅을 하며 매일의 순간 순간을 잡아두죠.



I take a picture of myself -- 

전 제 사진도 찍곤 합니다.



I've been doing this since last year -- every single day. 

작년부터 그래왔어요. 매일 제 사진을 찍어두죠.



And, you know, it's the same picture; it's basically the same person. 

그리고, 보시는 것처럼 같은 사진일 뿐이에요; 그리고 똑같은 인물이죠.



Only a couple of people read it. 

이걸 읽는 사람도 몇 명에 불과합니다.



I don't write this for this audience; 

여러 사람들이 보라고 쓴 것도 아니에요;



I'm showing it now, but I would go insane if this was really public. 

여기서 보여 드리긴 하지만, 만약 정말 대중에게 공개돼 버리면 전 미칠지도 몰라요.



About four people probably read it, and they tell me, "You haven't updated." 

대략 네 명 정도가 이글을 읽었네요 그리고 그들은 왜 업데이트 하지 않냐고 묻습니다.



I'm probably going to get people telling me I haven't updated. 

사람들이 왜 업데이트 하지 않냐고 물을지도 모르겠어요.



But this is amazing, because I can go back to a day -- 

하지만 과거의 어느 날로 돌아가 볼 수 있다는 건 정말 놀라운 일입니다.



to April 2005, and say, what was I doing this day? 

2005년 4월의 어느 날로 돌아가서 그날 무슨 일이 있었지?



I look at it, I know exactly. 

이걸 들춰보면 바로 알게 되죠.



It's this visual cue that is so important to what we do. 

우리가 무엇을 하던지 이런 시각적 동기는 참으로 중요합니다.



I put the bad pictures up too, because there are bad pictures. 

그리고, 저는 이런 볼품없는 사진도 올리는데요, 왜냐하면 볼품없는 사진이기 때문이죠.



And I remember instantly: 

바로 기억이 떠오르죠.



I am in Germany in this -- I had to go for a one-day trip. 

이 때 난 독일에 있었는데 -- 당일치기 여행을 떠났을 때죠.



I was sick, and I was in a hotel room, and I wanted not to be there. 

저는 아파서, 호텔 방에 있었는데 정말 거기 있기 싫었어요.



And so you see these things, it's not just always smiling. 

여기 사진 보이시죠. 평소에는 잘 웃지 않지만,



Now I've kind of evolved it, so I have this look. 

지금은 좀 발전해서 이런 표정도 가능해요.



If you look at my driver's license, I have the same look, and it's a pretty disturbing thing, 

제 운전면허증에는 이런 표정의 사진이 붙어 있죠 참 충격적인 사실이죠.



but it's something that is really important. 

하지만 정말로 중요한 점이기도 합니다. 



And the last story I really want to tell is this story,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얘기를 들려드리고 싶었어요,



because this is probably the one that means the most to me in all of what I'm doing. 

이 이야기는 어쩌면 저에게 있어서 제가 하는 일에 대해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입니다.



I'll probably get choked up, because I tend to when I talk about this. 

이 얘기를 할 때마다 목이 메이곤 하는데요.



So, this woman, her name was Emma, and she was a blogger 

그러니까, 이 여성은 그녀 이름은 엠마구요. 그녀도 블로거였습니다.



on our service, TypePad. And she was a beta tester, 

우리 회사의 서비스인 타입패드의 베타 테스터였죠.



so she was there right when we opened -- 

서비스를 오픈할 때도 함께 했습니다.



you know, there was 100 people. 

그 때 이용자가 100명 정도였는데요.



And she wrote about her life dealing with cancer. 

그녀는 암과 투병하는 그녀에 삶을 블로그에 실었습니다.



She was writing and writing, and we all started reading it, 

그녀는 글을 쓰고, 쓰고, 또 썼고 우리 모두가 그 글을 읽었습니다.



because we had so few blogs on the service, we could keep track of everyone. 

왜냐하면 그 때는 블로그 수가 적었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을 파악할 수 있었죠.



And she was writing one day, and then she disappeared for a little bit. 

그녀는 어느 날 글을 남기고는, 그러니까.. 잠깐 동안 자취를 감춰버렸어요.



And her sister came on, and she said that Emma had passed away. 

그리곤 그녀 여동생이 와서는 엠마가 세상을 떠났다고 말했습니다.



And all of our support staff who had talked to her were really emotional, and it was a very hard day at the company. 

그녀와 대화했던 우리 지원팀 스탭들 모두는 정말로 감상에 빠져서 그날 회사 분위기는 정말 힘든 하루였습니다. 



And this was one of those instances where I realized how much blogging affects our relationship, 

이 일은 -- 블로깅이 우리의 인간관계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게 해준 사례중의 하나였습니다.



and flattening this sort of world. 

세상의 경계를 허물어 버리죠. 



That this woman is in England, and she lives -- she lived -- a life where she was talking about what she was doing. 

그녀는 영국에 살구요 그리고 그녀는 -- 일상에 무엇을 하며 지내는지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살았습니다.



But the big thing that really influenced us was, her sister wrote to me, and she said -- 

하지만 우리에게 영향을 준 가장 중요한 사실은 그녀 여동생이 제게 글을 남겼는데요 --



and she wrote on this blog -- 

그녀가 블로그에 남긴 글은 --



that writing her blog during the last couple of months of her life was probably the best thing that had happened to her, 

엠마가 생을 마감하기 전 몇 달 동안 블로깅을 하는 순간이 어쩌면 그녀에게 있어서 가장 좋았던 경험이었고,



and being able to talk to people and to share what was going on, and being able to write and receive comments. 

사람들과 대화할 수 있고,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함께 공유하고, 남긴 글의 코멘트를 받을 수 있어서 좋았었다고요.



And that was amazing, 

그건 정말 놀라운 사실이었습니다.



to be able to know that we had empowered that, 

우리가 블로깅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and that blogging was something that she felt comfortable doing, 

그녀는 블로깅을 통해서 평안을 얻을 수 있었다는 사실이요.



and the idea that blogging doesn't have to be scary, 

그리고 블로깅을 두려워 하지 않고,



that we don't always have to be attack of the blogs, that we can be people who are open, and wanting to help and talk to people. 

블로그가 공격당할까봐 늘 고민하지도 않고, 우리 모두가 열린 마음을 갖고 사람들과 대화하면서 도움을 구하고 있었다는



That was an amazing thing. 

사실은 정말 놀라운 일이죠. 



And so I printed out and sent a PDF of her blog to her family, 

그래서 저는 그녀의 블로그를 출력해서 그녀 가족에게 PDF 파일로 보내주었고,



and they passed it out at her memorial service, 

그녀 가족은 추도식에서 그걸 배포했습니다.



and even in her obituary, they mentioned her blog, 

심지어 그녀의 부고에도 블로그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because it was such a big part of her life. 

그만큼 그녀의 인생에서 중요한 일부분이었죠. 



And that's a huge thing. 

정말 대단한 일이에요. 



So, this is her legacy, 

이것은 그녀가 남긴 유산입니다. 



and I think that my call to action to all of you is: 

그리고 제 생각에 오늘 여러분들께 하고 싶은 말은 






think about blogs, think about what they are, think about what you've thought of them, and then actually do it, 

블로그에 대해 생각해 보고, 그것이 무엇인지, 그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왔는지 되돌아 보고, 그리고 실제로 블로그를 해보시라는 겁니다.



because it's something that's really going to change our lives. 

블로그는 진정으로 우리 삶을 바꿔줄 테니까요.



So, thank you. 

고맙습니다.



https://www.ted.com/talks/mena_trott_meet_the_founder_of_the_blog_revolution?language=ko






The Vikings came from the rugged, inhospitable north known today as Scandinavia. 

바이킹들은 척박하고 살기 어려운 북쪽땅에서 왔는데 오늘날 스칸디나비아라고 불리는 곳이죠.



As the Roman Empire flourished further south, Scandinavians had small settlements, no central government, and no coinage. 

멀리 남쪽에서 로마제국이 번성할 때, 스칸디나비아인들의 정착지는 작았고 중앙정부나 화폐도 없었습니다. 



Yet by the 11th century, the Vikings had spread far from Scandinavia, 

하지만 11세기에 이르러서는 바이킹들은 스칸디나비아로부터 멀리까지 퍼져나갔고,



gaining control of trade routes throughout Europe, conquering kingdoms as far as Africa, 

유럽 전역의 무역로를 장악했으며 멀리 아프리카에 있는 왕국들까지 정복했습니다. 



and even building outposts in North America. 

그리고 심지어 북아메리카에 전초기지까지 건설합니다. 



The secret to their success was their ships. 

이 성공의 비밀은 바이킹 배였습니다. 



The formidable Viking longship had its origins in the humble dugout canoe, or log boat. 

가공할 만한 바이킹 배는 조촐한 카누나 통나무배에서 유래하였습니다.



For millennia, the inhabitants of Scandinavia had used these canoes for transportation. 

천 년 동안 스칸디나비아인들은 카누를 운송수단으로 사용했습니다.



Dense forests and tall mountains made overland travel difficult, 

우거진 숲과 높은 산들때문에 육로 이동은 어려웠습니다.



but long coastlines and numerous rivers, lakes, and fjords provided a viable alternative. 

대신에 긴 해안선과 수많은 강과 호수 그리고 협만이 현실성있는 대안이 되었죠.



The first canoes were simply hollowed out logs rowed with paddles. 

초기 카누는 단순히 나무 줄기를 파고 작은 노로 저었습니다.



Over time, they added planks to the log boat base using the clinker, or "lapstrake," technique, 

시간이 지나면서, 통나무배 바닥에 널빤지를 추가합니다. 클링커 또는 겹판이라고 부르는데,



meaning the planks overlapped and were fastened to each other along their edges. 

널빤지들을 겹쳐 붙여서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고정이 되게 하는 거죠.



As the Roman Empire expanded north, some Scandinavians served in their new neighbors’ armies— 

로마제국이 북쪽으로 확장하면서 일부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은 로마 군대에서 복무를 했고,



and brought home Roman maritime technology. 

로마의 해상기술을 익혀서 돌아왔습니다.



The Mediterranean cultures at the heart of the Roman Empire had large warships that controlled the sea, 

로마제국 중심부에 있는 지중해 문화는 바다를 장악한 큰 전함들이 있었고



and cargo ships that transported goods along the waterways. 

수로를 따라 짐을 나르는 화물선도 있었습니다.



These ships were powered by sail and oars and relied on a strong skeleton of internal timbers fastened to the outer planks with copper, iron, and wood nails. 

이 배들은 돛과 노로 움직였고 내부에 튼튼한 뼈대가 있었습니다. 늑재는 구리, 쇠, 나무못을 써서 외벽에 결합하였습니다. 



At first, Scandinavians incorporated this new technology by replacing their loose paddles with anchored oars. 

처음에 스칸디나비아인들이 이 신기술을 도입한 것은 노를 고정시킨 것이었습니다.



This change hugely improved the crew’s efficiency, but also required stronger ships. 

이 변화는 선원의 능률을 크게 높였지만 더 튼튼한 배가 필요해졌죠.



So boat builders began to use iron nails for fasteners rather than sewing. 

그래서 꿰매는 대신 쇠못을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They abandoned the log boat base for a keel plank, and the boats became higher and more seaworthy. 

통나무 바닥을 버리고 용골을 설치해서 배는 더 높아지고 항해에 더 적합하게 됩니다.



But these early ships retained the concept of the original log boat: 

하지만 초기의 배들은 통나무 배의 개념을 유지했습니다.



their strength depended on the outer shell of wood, not internal frames and beams. 

내구성을 나무 외벽에 의존한 거죠. 내부의 뼈대나 기둥 대신에요. 






They were built as shells— thin-walled but strong, and much lighter than the Roman ships. 

얇지만 강한 외벽을 써서 로마의 배보다 훨씬 가벼웠죠. 



Competing chieftains quickly refined the new ships to be even more efficient. 

족장자리에 대한 경쟁으로 배가 더욱 효율적으로 되었습니다.



The lighter the boat, the more versatile it would be and the less investment of resources it would require— 

배가 가벼울수록 더 많은 용도로 쓸 수 있었고 더 적은 자원을 썼죠. 



an essential advantage in a decentralized culture without large supplies of people. 

분산된 문화에서 매우 큰 이점이었죠. 많은 인력이 필요 없었으니까요.



These ships still had no sails— sails were costly, and for now the rowed ships could meet their needs. 

이 배들은 아직 돛이 없었는데 돛은 매우 비쌌고 현재로서는 노로도 충분했죠. 



That changed after the Western Roman Empire collapsed in the 5th century. 

하지만 서로마 제국이 5세기에 무너지면서 사정이 바뀌게 됩니다.



Western Europe took a heavy economic blow, leveling the playing field a bit for the Scandinavians. 

서유럽은 심한 경제적 타격을 받았고 나름 공평한 경쟁의 장이 스칸디나비아인들에게 펼쳐졌죠.



As the region revived, new and vigorous trade routes extended into and through Scandinavia. 

지방이 다시 활발해지면서 새롭고 활발한 거래 통로가 스칸니나비아를 통해서 확장되었습니다.



The wealth that flowed along these routes helped create a new, more prosperous and powerful class of Scandinavians, 

이 동선들로 흐른 부로 인해 일부 스칸디나비아인들은 더욱 번창하고 강력해졌습니다.



whose members competed constantly with each other over trade routes and territory. 

이들은 지속적으로 서로 경쟁을 했는데 무역로와 영토가 그 목표였습니다. 



By the 8th century, a sailing ship began to make sense: 

8세기에 이르러서는 범선이 전면에 등장했습니다.



it could go further, faster, in search of newly available plunder. 

새로 약탈가능한 곳을 찾아서 더 멀리, 더 빨리 갈 수 있게 됐죠. 



With the addition of sails, the already light and speedy ships became nearly unbeatable. 

돛을 추가하면서 이미 가볍고 빨랐던 배들은 거의 무적이 됩니다.



The Viking ship was born. 

바이킹 배가 탄생한 것이죠.



Viking longships could soon carry as many as 100 Vikings to battle. 

곧 바이킹 배는 100명의 바이킹을 전장으로 보낼 수 있었습니다.



Fleets of them could land on open beaches, penetrate deep into river systems, and be moved over land if need be.

이들은 해변에 상륙하거나 강을 따라 깊숙히 침투했고 필요하면 내륙에서도 이동했습니다.



When not at war, the vessels were used to transport goods and make trade journeys. 

전시가 아닐 때는 배들은 짐을 옮기거나 무역에 쓰였습니다.



There were smaller versions for fishing and local excursions, 

작은 것들은 낚시나 근처 여행에 쓰였고 



and larger adaptations for open sea voyages capable of carrying tens of tons of cargo. 

큰 것들은 먼바다 항해용으로 개조해서 수십 톤의 짐을 실을 수도 있었죠.



Thanks to their inventiveness in the face of difficult terrain and weak economies, the Vikings sailed west, 

허약한 경제와 척박한 땅에 맞선 창의력 덕분에 바이킹들은 서쪽으로 항해를 했고



settled the North Atlantic and explored the North American coast centuries before any other Europeans would set foot there. 

북대서양 연안에 정착했고 북아메리카 해안을 탐험했습니다. 다른 유럽인들이 나타나기 수 세기 전에 말이죠. 






https://www.ted.com/talks/jan_bill_what_was_so_special_about_viking_ships?language=ko







You know, when Chris first approached me to speak at TED, I said no, 

크리스씨가 처음 제게 TED에 참석해 달라고 부탁했을 때, 전 거절했습니다



because I felt like I wasn't going to be able to make that personal connection, you know, that I wanted to. 

왜냐면 제가 원하는 개개인간의 교감을 느끼지 못할 것 같았기 때문이죠,



It's such a large conference. 

정말로 큰 행사잖습니까?



But he explained to me that he was in a bind, 

그런데 크리스씨는 준비중에 문제가 생겼는데,



and that he was having trouble finding the kind of sex appeal and star power that the conference was known for. 

그 문제가 매 행사마다 섹스어필을 할 수 있고 스타파워를 가진 연사를 찾는 것에 대한 것이라 말씀하셨죠. 



So I said fine, Ted -- I mean Chris. 

전 "알겠습니다, 테드.. 아니 크리스.



I'll come on two conditions. 

대신 조건이 두 개 있습니다.



One: I want to speak as early in the morning as possible. 

첫째, 가능한 이른 아침에 강연을 하고 싶습니다. 



And two: I want to pick the theme for TED 2006. 

그리고 둘째, 제가 TED2006의 테마를 정하고 싶습니다"



And luckily he agreed. And the theme, in two years, is going to be "Cute Pictures Of Puppies." 

다행히도 그가 동의했고 2년후의 테마는 "강아지의 귀여운 사진들" 입니다 



I invented the Placebo Camera. 

전 플라시보 카메라를 발명했습니다.



It doesn't actually take pictures, but it's a hell of a lot cheaper, 

이게 사진을 찍을 수는 없지만, 매우 싸다는 장점이 있죠,



and you still feel like you were there. 

그리고 꼭 그 곳에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해줍니다.



"Dear Sir, good day, compliments of the day, 

"친애하는 신사분께, 안녕하십니까, 멋진 날입니다.



and my best wishes to you and family. 

선생님과 가족의 안녕을 빕니다.



I know this letter will come to you surprisingly, 

이 편지를 받으시고 당황할 것이란 걸 압니다만



but let it not be a surprise to you, for nature has a way of arriving unannounced, 

너무 놀라지 말아주십시오. 자연엔 많은 일들이 예고없이 일어나니 말입니다.



and, as an adage says, originals are very hard to find, 

격언중에 원래의 소리는 찾는 것이 힘들지만, 



but their echoes sound ouder. 

메아리는 크게 들린다는 말이 있잖습니까.



So I decided to contact you myself, for you to assure me of safety and honesty, 

그래서 전 선생님께 연락해서 안전성과 정직성을 확인한 뒤,



if I have to entrust any amount of money under your custody. 

제 재산을 맡길 수 있는 지 결정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I am Mr Micheal Bangura, the son of late Mr Thaimu Bangura 

전 마이클 뱅구라라고 합니다. 돌아가신 티아무 뱅구라씨의 아들이지요. 



who was the Minister of Finance in Sierra Leone 

아버진 시에라리온의 재무부장이셨습니다 



but was killed during the civil war. 

하지만 내전 중 사망하셨죠.



Knowing your country to be economical conducive for investment, 

선생님의 나라가 투자하기에 경제적으로 유리하고,



and your people as transparent and trustworthy to engage in business, 

즈니스에 있어 국민들이 투명하고 믿을만하다고 알고 있기에



on which premise I write you. 

이 편지를 보냅니다. 



Before my father death, he had the sum of 23 million United States dollars, 

아버지께서 돌아가시기 전 그분은 2천3백만 달러를 가지고 계셨습니다.



which he kept away from the rebel leaders during the course of the war. 

전쟁 동안 반란군의 지도자들에게 뺏기지 않고 지킨 돈 이었죠. 



This fund was supposed to be used for the rehabilitation of water reserves all over the country, before the outbreak of war. 

이 돈들은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나라 전체의 상수원 재건에 이용될 예정이었지요.



When the war broke out, the rebel leader demanded the fund be given to him, 

하지만 전쟁이 시작되고 난 후 반란군 지도자가 아버지께 돈을 내놓으라고 요구했습니다. 



my father insisted it was not in his possession, 

아버지는 자신의 소유가 아니라며 거부하셨고,



and he was killed because of his refusal to release the fund. 

돈을 내놓지 않았단 이유로 살해당하셨습니다. 



Meanwhile, my mother and I is the only person who knows about it because my father always confide in me. 

한편, 아버지께서 언제나 저에게 이야기 해주셨기 때문에 그 자금의 위치를 알았습니다.



I made an arrangement with a Red Cross relief worker, 

저는 당장 적십자사 직원과 약속을 잡았고,



who used his official van to transport the money to Lungi Airport, Freetown, 

그 직원은 회사 밴으로 돈을 프리타운의 런지 공항으로 옮겼습니다.



although he did not know the real contents of the box. 

안엔 뭐가 들었는지 전혀 모른채로요.



The fund was deposited as a family reasure, 

그 돈은 저희 가족이 재기하는 데에 쓰기 위해



in a safe, reliable security company in Dakar, Senegal, 

세네갈의 다카르에 있는 믿을만한 증권회사에 맡겨두었습니다.



where I was only given temporary asylum. 

제가 임시로 망명해있던 곳이었죠.



I do not wish to invest the money in Senegal due to unfavorable economic climate, and so close to my country. 

전 세네갈의 경제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시에라리온에서 가까워서 제 돈을 세네갈에서 굴리는 걸 원치 않습니다.



The only assistance I need from you, which I know you would do for me, are the following: 

제가 선생님께 받고 싶은 도움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주실 것이라고 믿습니다.



one, be a silent partner and receive the funds in your account in trust; 

첫째, 비밀을 지켜주십시오 그리고 그 돈을 선생님이 관리하는 계좌로 받으십시오.



two, provide a bank account under your control to which the funds will be remitted; 

둘째, 송금받으실 선생님 명의의 계좌를 알려주십시오



three, receive the funds into your account in trust; 

셋째, 돈을 선생님의 계좌로로 받으십시오



take out your commission; and leave the rest of the money until I arrive, after the transfer is complete. 

송금이 완료된 후에, 수수료는 가지시고 남은 돈은 제가 돌아올때까지 놔두십시오



Sincerely, Mr Micheal Bangura." 

친애하는 마이클 뱅구라로부터." 



This is really embarrassing. 

상당히 부끄럽네요.



I was told backstage that I have 18 minutes. I only prepared 15. 

강연시간이 18분이라 들었습니다 15분밖에 준비 안했는데 말이죠.



So if it's cool, I'd like to just wait for three. 

괜찮으시다면 3분을 기다릴까합니다.



I'm really sorry. 

정말로 죄송합니다.



What's your name? 

성함이 어떻게 되시죠? 






Mark Surfas. It's pretty cool, huh? Pursuing happiness. 

마크 설파스요? 좋은 이름이네요. 행복을 추구한다라 



Are you a virgin? Virgin? 

총각이세요? 총각이시라고요? 



I mean -- no, I mean like in the TED sense? 

그게 아니라 테드센스로 물어본겁니다.



Are you? Oh, yeah? So what are you, like, a thousand, two thousand, somewhere in there? 

그러세요? 그렇다면 1000, 2000 그정도 되시나요? 



Huh? Oh? 

네? 



You don't know what I'm talking about? 

아 무슨 뜻인지 모르시는군요? 



Ah, Mark -- 

음 마크 



Surfas. 

설파스.



1,860 -- am I good? 

1860이라... 맞나요? 



And that's nothing to be ashamed of. 

부끄러워하실게 아니에요, 



That's nothing to be ashamed of. 

절대 부끄러워하지 마세요.



Yeah, I was hanging out with some Google guys last night. 

어젯밤에 구글다니는 친구들과 놀았습니다.



Really cool, we were getting wasted. 

좋았죠, 완전 취해버렸으니까요. 



And they were telling me that Google software has gotten so advanced that, 

그 친구들은 제게 구글의 소프트웨어가 상당히 발전했고, 



based on your interaction with Google over your lifetime, 

인생동안 구글과 주고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they can actually predict what you are going to say -- 

제가 할말을 예측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And I was like, "Get the fuck out of here. That's crazy." 

제가 말했죠. "당장 여기서 꺼져. 미친 소리하지 말고." 



But they said, "No, but don't show anyone." 

친구들은 "아냐, 아무도 보여주지마."



But they slipped up. 

실수한거죠. 



And they said that I could just type in "What was I going to say next?" and my name, and it would tell me. 

 '내가 다음에 할 말, 이름' 을 쳐보라고 하더군요 그럼 나온다는겁니다. 



And I have to tell you, this is an unadulterated piece of software, 

여기서 바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이건 정말로 순수한 소프트웨어입니다.



this is a real Internet browser and this is the actual Google site, 

그리고 이건 진짜 인터넷 브라우저고 제대로 접속한 구글 사이트입니다.



and we're going to test it out live today. 

 그리고 지금 생생하게 시연해보려합니다.



What was I going to say next? 

'내가 다음에 할 말이 뭐지?'



And "Ze Frank" -- that's me. Am I feeling lucky? 

그리고 제 프랭크 -- 네 접니다 운이 좋을까요? 



(Shouting) Am I feeling lucky? 

운이 좋을까요? 



Audience: Yes! Yeah! 

관중 : 네 



Ze Frank: Oh! Amazing. 

제 프랭크 : 오 놀라워라 



In March of 2001 -- 

2001년 3월 



I filmed myself dancing to Madonna's "Justify My Love." 

저는 혼자서 마돈나의 "Justify My Love"란 곡에 맞춰 춤추는 영상을 찍었습니다.



On a Thursday, I sent out a link to a website that featured those clips to 17 of my closest friends, 

그리고 목요일, 그 링크를 웹사이트에 올렸죠 그리고 이 영상을 제 친한 친구 17명에게 보냈습니다.



as part of an invitation to my -- an invitation to my th -- th -- 26th birthday party. 

그 친구들-- 그 친구들을 제-- 제 26번째 생일파티에 초대하려고요.



By Monday, over a million people were coming to this site a day. 

월요일이 되자, 매일 백만명의 사람들이 이 사이트로 오기 시작했죠 



Within a week, I received a call from Earthlink that said, 

그리고 일주일이 안되서 호스팅 업체가 전화를 해



due to a 10 cents per megabyte overage charge, 

1메가당 10센트씩의 초과료를 물리겠다고 했습니다.



I owed them 30,000 dollars. 

3만달러를 빚진거죠.



Needless to say, I was able to leave my job. 

일을 그만둘 수 있었던건 말할 필요도 없죠. 



And, finally, you know, become freelance. 

그리고 전 프리랜서가 됐습니다.



But some people refer to me more as, like, an Internet guru or -- 

하지만 몇몇 사람들은 절 인터넷 구루 같은 걸로 언급하더군요. 



swami. 

스승이었죠. 



I knew I had something. 

제게 뭔가 있다는 걸 느꼈습니다



I'd basically distilled a very difficult-to-explain and complex philosophy, which I won't get into here, 

저는 여러분께는 좀 깊은 내용이라 여기에선 이야기하지 않을 복잡한 철학을 만들어냈습니다.



because it's a little too deep for all of you, but -- 

조금 어려운 내용인데 말씀드리자면-- 



It's about what makes websites popular, and, you know, it's -- 

웹사이트를 유명하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또 -- 



It's unfortunate that I don't have more time. 

시간이 더 없다는게 안타깝네요.



Maybe I can come back next year, or something like that. 

 내년에 다시 말씀드리거나 아니면 나중에 말씀드리죠.



I'm obsessed with email. I get a lot of it. 

전 이메일을 많이 받았습니다. 꽤 많죠.



Four years later, I still get probably two or three hundred emails a day from people I don't know, 

4년이 지난 뒤에도 모르는 사람들한테서 하루에 2-300통의 이메일을 받습니다.



and it's been an amazing opportunity to kind of get to know different cultures, you know? 

다양한 문화에 대해 알게 해준 정말로 놀라운 기회였지요.



It's like a microscope to the rest of the world. 

마치 전세계를 망원경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You can kind of peer into other people's lives. 

다른 사람들의 삶을 들여다 볼 수 있고, 



And I also feel like I get a lot of inspiration from the average user. 

사람들에게서 많은 영감을 얻을수 있습니다.



For example, somebody wrote, "Hey Ze, if you ever come to Boulder, 

예를 들면, 어떤 분이 이메일로 "헤이 제, 혹시 볼더에 오실일 있으면 저희랑 함께 즐겨봅시다" 라 보내서



you should rock out with us," and I said, "Why wait?" 

"뭘 기다려요?" 라 답했죠.



And they said, "Hey Ze, thanks for rocking out, 

그러자 돌아온 답장이 "헤이 제, 재밌게 해준건 고마운데,



but I meant the kind of rocking out where we'd be naked." 

내가 말한 즐기자는 건 옷벗고 즐기는걸 말한겁니다." 였죠 



And that was embarrassing. 

부끄러웠죠.



But you know, it's kind of a collaboration between me and the fans, so I said, "Sure." 

하지만 이것도 저와 팬사이의 협동같은 거라서 전 "알겠습니다"라고 답했습니다 



I hear a lot of you whispering. 

지금 속닥거리시는거 다 들립니다.



And I know what you're saying, "Holy crap! How is his presentation so smooth?" 

그리고 뭐라 말하시는지도 다 알아요 "우와 어떻게 저 사람은 강연을 저렇게 매끄럽게 하는거야?" 



And I have to say that it's not all me this year. 

그리고 저뿐만이 아닌 많은 분들의 강연도 그럴겁니다.



I guess Chris has to take some credit here, 

크리스씨가 이에 기여를 하신 것 같습니다.



because in years past, I guess there's been some sort of subpar speakers at TED. 

몇년동안 TED에 좀 수준 낮은 연사분들이 몇분 계셨나봅니다.



I don't know. 

전 잘 모르겠지만요. 



And so, this year, Chris sent us a TED conference simulator. 

그래서인지 크리스씨가 TED 강연 시뮬레이터를 보내주셨습니다 



Which really allowed us as speakers to get there, in the trenches, and practice at home so that we would be ready for this experience. 

연사로서 이 곳에 서 있는 것처럼 해주고 집안에서 발표를 연습을 하게 해줌으로써 실제 강연에 대비할 수 있게 해주죠



And I've got to say that, you know, it's really, really great to be here. 

제가 이 곳에 있을 수 있어 정말로 정말로 기분이 좋다는 걸 말씀드려야겠네요 



I'd like to tell all of you a little joke. 

재밌는 얘기하나 해드리죠.



Not just the good stuff, though. 

좋은 반응만 있는건 아닙니다.



You can do heckler mode. 

방해 모드도 있어요.



Voice: Hey, moron, get off the stage! 

목소리 : 야, 멍청아, 내려가 



ZF: You get off the stage. 

제 프랭크 : 너나 내려가시지 



Voice: We want Malcolm Gladwell. 

목소리 : 말콤 글래드웰을 보여줘 



In case you run over time. 

18분이 지나갔을 때도 연습할 수 있지요.



Just one last thing I'd like to say, I'd, really -- 

여러분들께 마지막으로 말씀드리고 싶은게 있는데 



I'd like to thank all of you for being here. 

제 강연을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nd frog mode. 

개구리 모드도 있어요.



(Sings) "Ah, the first time that I made love to a rock shrimp --" 

아.. 내가 처음으로 새우랑 잤을때 말이지~ 



[Spam jokes are the new airplane jokes] 

쓸데없는 농담은 새로운 비행기 농담이다. 



It's true. Some people say to me,

이건 사실입니다. 몇몇분들이 제게 말합니다.



 "Ze, you're doing all this stuff, this Internet stuff, and you're not making any money." 

제, 네가 만드는 건 모두 인터넷에서 쓰는 것들이고 넌 돈을 하나도 못 벌고 있어라고



"Why?" And I say, "Mom, Dad -- 

왜 그렇죠? 그리고 제가 말하죠 "엄마, 아빠 -- 



I'm trying." I don't know if you're all aware of this, but the video game market, kids are playing these video games, 

노력하고 있다고요" 알고 계신지는 모르겠지만 비디오 게임 시장에서는 어린이들이 게임을 하고 놀죠,



but, supposedly, there's tons of money. 

하지만 이건 정말 대박입니다



I mean, like, I think, 100,000 dollars or so a year is being spent on these things. 

1년에 10만달러이상이 비디오 게임에 소비되는걸 보고 생각을 많이했죠.



So I decided to try my hand. 

그래서 제가 만들어보기로 했습니다. 



I came up with a few games. 

게임을 몇 개 준비해왔습니다 



This is called "Atheist." 

'무신론자'란 게임입니다.



I figured it would be popular with the young kids. 

어린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거에요. 



OK. Look, I'll move around and say some things. 

보세요, 움직이고 말할 수 있죠.



[Game over. There is no replay.] 

게임종료. 다시보기는 없습니다. 



So that didn't go over so well. 

그리 잘되지는 않았습니다. 



I don't really understand why you're laughing. 

왜 웃으시는지 모르겠네요.



Should have done this before I tried to pitch it. "Buddhist," of course, looks very, very similar to "Atheist." 

제가 보여드리기 전에 해보셨어야하는데 말이죠. "불자" 물론 "무신론자"와 비슷해 보이죠.



But you come back as a duck. 

하지만 오리로 환생할수 있습니다.



And this is great because, you know, for a quarter, you can play this for a long time. 

이 게임이 좋은 이유는 오랫동안 할 수 있다는 겁니다.



And Chris had said in an email that we should really bring something new to TED, something that we haven't shown anyone. 

크리스씨가 이메일을 보내셨을 때 우리는 TED에 아무에게도 공개하지 않은 무언가를 들고 와야했죠.



So, I made this for TED. It's "Christian."

TED를 위해 만들었습니다. "기독교인" 입니다.



It's the third in the series. 

시리즈 3편입니다.



I'm hoping it's going to do well this year. 

올해엔 이게 잘됐으면 좋겠네요.



Do you have a preference? 

어느 쪽을 선호하시죠? 



Good choice. 

좋습니다.



So you can wait for the Second Coming, 

그리고 여러분은 재림을 기다리시는 겁니다.



which is a random number between one and 500 million. 

1과 5억중에 한수에서 일어납니다.



So really, what are we talking about here? Oh, tech joy. 

그러니까, 뭘 말하고 있던거죠? 아 즐거운 기술 



Tech joy, to me, means something, because I get a lot of joy out of tech. 

제게 즐거운 기술이란 큰 의미를 갖습니다. 전 기술로부터 많은 즐거움을 얻거든요. 



And in fact, making things using technology -- and I'm being serious here, 

그리고 사실 기술을 이용해 뭔가를 만드는 것이 저는 진지합니다.



even though I'm using my sarcastic voice -- I won't -- hold on. 

제가 좀 비아냥대듯 말하는 것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Making things, you know -- making things actually does give me a lot of joy. 

뭔가를 만드는건, 뭔가를 만든다는 것은 제겐 엄청난 기쁨을 줍니다.



It's the process of creation that keeps me sort of a bubble and a half above perpetual anxiety in my life, 

창조의 과정은 제 삶의 끊임 없는 불안으로부터 약간 벗어날 수 있도록 해줍니다.



and it's that feeling of being about 80 percent complete on a project -- 

그리고 어떤 프로젝트의 80퍼센트가 끝났을때의 기분은



where you know you still have something to do, 

뭔가 계속 해야할게 있다는 느낌을 주죠,



but it's not finished, and you're not starting something -- that really fills my entire life. 

하지만 끝난것이 아닙니다, 아직 스스로의 삶을 완벽히 채울 것을 시작하지 않았습니다.



And so, what I've done is, 

그래서 제가 한 일은,



I started getting interested in creating online social spaces to share that feeling with people who don't consider themselves artists. 

제가 흥미를 가지기 시작한건 스스로를 예술가라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과 교감을 나눌 수 있는 온라인 상의 사회적 공간을 만드는 일입니다.



We're in a culture of guru-ship. 

우리는 전문가들의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It's so hard to use some software because, you know, it's unapproachable, 

몇몇 소프트웨어는 사용하기 어렵죠. 그게 전혀 다가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people feel like they have to read the manual. 

사람들이 꼭 설명서를 읽어야하는 느낌을 주죠.


So I try to create these very minimal activities that allow people to express themselves, and, hopefully -- 

그래서 저는 이런 아주 짧은 과정을 만들었습니다, 사람들이 스스로를 표현하도록 말이죠, 그리고 희망적으로-- 



Whoa! I'm like -- on the page, but it doesn't exist. 

이런... 페이지는 열었는데 존재하진 않네요.



It's, like -- seriously, though -- 

계속 말씀드리자면 --



I try to create meaningful environments for people to express themselves. 

전 사람들이 스스로를 표현할수 있는 의미있는 공간을 창조하려 했습니다.



Here I created a contest called, "When Office Supplies Attack," 

이건 제가 만든 콘테스트인 "사무실에서 공격을 지원할 때" 입니다.



which, I think, really resonated with the working population. 

이건 정말로 많은 수의 직장인들의 참가가 있었죠.



Over 500 entries in three weeks. Toilet paper fashion. 

3주동안 500명 이상이 들어온 화장지 패션입니다.



Again, people from all over the country. 

또 전국 각지의 사람들이 참가해주셨죠. 



The watch is particularly incredible. 

특히 저 손목시계 죽여주네요.



Online drawing tools -- you've probably seen a lot of them. 

온라인 그림프로그램들을 많이 보셨을겁니다.



I think they're wonderful. 

전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하죠.



It's a chance for people to get to play with crayons and all that kind of stuff. 

전 그게 사람들이 크레용과 같은 여러가지들을 갖고 놀 기회를 준다고 생각합니다.



But I'm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as the real event that I'm interested in. 

하지만 전 그 과정에 더 관심이 갑니다 창조의 과정이 제겐 더 관심이 가는 과정입니다.



And the problem is that a lot of people suck at drawing,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그림엔 소질이 없다는 겁니다,



and they get bummed out at this, sort of, you know, stick figure, awful little thing that they created. 

그리고 그들은 스스로가 그린 작고 못생긴 작대기 같은 것에 낙담합니다.




And eventually, it just makes them stop playing with it, or they draw penises and things like that. 

결국 사람들은 이용을 그만두거나 성기같은 것들이나 그리고 맙니다. 



So, the Scribbler is an attempt to create a generative tool. 

스크리블러는 창작프로그램에 대한 새로운 시도인데요.



In other words, it's a helping tool. 

다른말로 하자면 도움을 주는 도구이죠.



You can draw your simple stick figure, 

여러분이 간단하게 줄만 그어놓으시면,



and it collaborates with you to create sort of a post-war German etching. 

이게 알아서 여러분이 전후 독일 동판화처럼 그리는 것을 도와줍니다. 



In fact, it's tuned to be better at drawing things that look worse. 

여러분은 이상해 보이는 그림보다 더 잘 그릴 수 있습니다.



So, we go ahead, and we start scribbling. 

 계속 말씀드리자면, 스크리블을 써보지요.



So the idea is that you can really, you know, partake in this process, 

이 아이디어는 여러분이 실제로 그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but watch something really crappy look beautiful. 

이상한 것이 상당히 아름답게 보이지요.



And here are some of my favorites. 

이건 제가 좋아하는 겁니다.



This is the little trap marionette that was submitted to me. 

제게 보내진 작은 마리오네트그림입니다. 



Very cool. 

아주 멋지죠 .



Darling. Beautiful stuff. 

사랑스럽죠. 예쁜 그림들입니다.



I mean this is incredible.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건



An 11-year-old girl drew this and submitted it. 

이 그림을 11살짜리 소녀가 그리고 등록했다는 겁니다. 



It's just gorgeous. 

정말로 멋지죠.



I'm dead serious here. This is not a joke. 

전 정말 심각하게 말씀드리는 겁니다. 정말 농담이 아닙니다.



But, I think it's a really fun and wonderful thing. 

전 이것들이 재미있고 아름다운 것이라 생각합니다.



So this is called the "Fiction Project." 

이건 "픽션 프로젝트"라고 불리는 겁니다.



This is an online space, which is basically a refurbished message board that encourages collaborative fiction writing. 

온라인 상에 새롭게 만든 메세지 보드인데요 사람들이 협력해서 소설을 쓸 수 있도록 해주지요.



These are haikus. 

이건 하이쿠들입니다.



None of the haikus were written by the same person. 

이 하이쿠들은 한 사람이 쓴 게 아닙니다.



In fact, each line is contributed by a different person at a different time. 

사실, 한 행도-- 각각의 행은 각자 다른 사람들이 쓴겁니다 각자 다른 시간에 말이죠.



I think that the "now tied up, tied down, mistress cruel approaches me, now tied down, it's up." 

저는 "조여졌다 느슨해졌다 '잔인한 주인님'이 내게 다가 오셨다. 이제 느슨해졌다 끝났다."



It's an amazing way, and I'll tell you, 

이 시가 정말 대단하다 생각합니다, 계속 말씀드리죠.



if you come home, and your spouse, or whoever it is, says, "Let's talk" -- 

집에 가셨는데 배우자분이나 누구든 여러분께 "얘기 좀 하자"라고 말한다면 



That, like, chills you to the very core. 

상당히 오싹하시겠죠.



But it's peripheral activities like these that allow people to get together, doing fun things. 

하지만 이건 별 의미없는 행동이지요 사람들이 친하게 뭉칠수 있도록 해주지요, 재밌는 일들로요.



They actually get to know each other, 

실제로 서로를 알 수 있게 되지요. 



and it's sort of like low-threshold peripheral activities that I think are the key to bringing up some of our bonding social capital that we're lacking. 

전 이런 약간의 자극적인 의미없는 행동들이 우리들에게 부족한 사회적 결합을 만들어 줄 수 있는 해답이라 생각합니다.



And very, very quickly -- I love puppets. 

빨리 진행하겠습니다. 전 인형들을 좋아합니다.



Here's a puppet. 

여기 인형이 있지요.



It dances to music. 

음악에 맞춰 춤추지요.



Lotte Reiniger, an amazing shadow puppeteer in the 20s, that started doing more elaborate things. 

 20년대의 놀라운 인형극 감독인 로테 라이니거씨는 인형들의 더욱 정교한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였죠.



I became interested in puppets, and I just want to show one last thing to you. 

이 덕에 인형에 관심을 갖게 되었지요 마지막으로 보여드리고 싶은게 있네요.



Oh, this is how you make puppets. 

아 이게 인형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Chris Anderson: Ladies and gentlemen, Mr. Ze Frank. 

크리스 앤더슨 : 신사 숙녀 여러분 지금까지 제 프랭크씨였습니다.



https://www.ted.com/talks/ze_frank_nerdcore_comedy?language=ko


+ Recent posts